•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항목 작성에서 주로 활용된다. 국토환경성평가지도에서 각각의 환경성평가 기준은 산림,

항목마다 평가한 후에, 평가된 주제도를 중첩하여 겹쳐지는 평가항목 중 가장 높은 등급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 항목에서 토지피복지도는 허약성 항목에서 활

<표 2-11>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항목으로서 토지피복지도 활용

<표 2-12>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보전적 가치평가 항목 및 기준

국토환경성평가지도와 광역생태축의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자연환경보전과 관련된 평가에서 토지피복지도는 직접적으로 활용되지 않는다. 기 개발지로부터의 영향을 평가 하기 위한 용도와 각각의 권역을 설정하는 소재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연환경평가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는 이미 많은 주제도들이 구축되어 있어, 토지피복 지도보다는 각각의 주제도를 직접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북한지역에서 보전지역 설정을 위한 자연환경평가에서는 구축된 환경정보가 없기 때문에 토지피복지도 가 구축된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나. 도시분야 활용

본 연구에서는 도시분야, 특히 도시확장 예측이나 개발가능지 예측을 위한 분야의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토지피복지도의 수요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북한지역의 도시계획과 같은 도시분야에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신규 북한지역 토지피복지도의 분류체계에 반영하 고자 한다.

김영표 외(2003, 2004)는 GIS기반 공간분석방법론 개발 연구, GIS기반 공간분석방법 론 적용 연구를 통해 각종 공간분석연구와 공간계획수립에 필요한 GIS기반 공간분석방법 론과 관련된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공간분석방법론을 정립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사례를 보여줌으로써 적용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위 연구에서는 수도권을 사례로 도시성장 예측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시기별 위성영상을 분류하여 도시, 비도시, 제외지역으로 구분하여 시기별 도시영역 자료 를 구축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추가적으로 지형적 조건을 위한 경사도, 도로유발 성장 을 검토하기 위한 도로망, 개발과 관련된 법률적 여건을 고려하기 위한 지역지구 데이터 를 이용하였다.

자료: 김영표 외(2004), 「GIS기반 공간분석 방법론 적용 연구」.

<그림 2-9> 모델에 사용된 공간데이터

이 연구에서는 도시계획법에 근거한 기존의 CA방법을 난수발생확률에 차등을 두고 보완한 도시성장 시뮬레이션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토지피복지도는 시기별 도시 영역을 추출하는 데 활용하였다. 이러한 도시영역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 김영표 외(2004), 「GIS기반 공간분석 방법론 적용 연구」.

<그림 2-10> 도시성장 시뮬레이션 결과 예측된 시가화구역

최병남 외(2005, 2006)는 시공간통합 분석방법론을 기반으로 국토정책의 파급효과를 시뮬레이션하는 실험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시스템다이내믹스기법과 GIS기반의 공간분석방법을 통합하여 국토시뮬레이션모형의 틀을 만들고 모형을 실험하여 시공간통 합모형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최병남 외, 2005, 2006).

위 연구에서는 국토정책에 의한 지역 간 부문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동태적 실험모형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동태모형은 지역을 전국 16개 광역시・도로 구분하고, 각 도시를 구성하는 부문은 인구, 주택, 산업, 토지이용, 교통 등 5개로 구분하였다(최병남 외, 2006).

자료: 최병남 외(2006), 「시공간통합 국토시뮬레이션모형 개발 연구2」.

<그림 2-11> 토지잠재력 평가과정

위 연구에서는 토지이용변화 잠재력을 분석하기 위해 경사도, 도로접근성, 시・군청과 의 접근성, 용도지역지구, 국토환경성 등급, 토지피복상태 6가지 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여기서 토지이용과 관련하여 대분류 토지피복지도의 항목들을 적용하여 각각의 항 목별 도시화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토지가 현재 상태에서 시가화로 변화할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 개발용이성을 측정하는

변수로서 경사도를 검토하였고, 도로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지역이 도시적 용도로 개발하 기에 적합하다 판단하였다. 시・군청 접근성은 기존 도시의 중심부로부터 가까울수록 개발 잠재력이 높게 측정되도록 설정하였으며, 용도지역지구나 환경성 평가차원에서 설정한 국토환경성등급에 의해 영향을 받고, 기존의 토지피복상태의 영향을 고려하도록 하였다.

붉은색으로 표시된 셀들이 토지이용변화 가능성이 높은 지역들이다(최병남 외, 2006).

자료: 최병남 외(2006), 「시공간통합 국토시뮬레이션모형 개발 연구2」.

<그림 2-12> 토지이용변화 가능성 분석 결과

안홍기 외(2010, 2011, 2012)는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의 구축 연구 1, 2, 3」을 통해 국토정책에 따른 국가 및 지역경제의 변화와 정책변화에 따른 인구와 고용의 지역이동, 산업의 공간적 재배치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할 수 있는 정책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고 자 하였다. 위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인 K-Sim 모형은 지역경제부분, 지역간이동부분, 토지이용변화부문 등 3개의 핵심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안홍기 외(2012),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의 구축연구3」.

<그림 2-13> K-Sim의 토지이용변화모형 흐름

특히 위 연구에서 토지피복지도가 활용되는 토지이용변화부문은 국토정책이 시행되는 해당 지역 및 주변지역의 토지이용변화에 영향을 분석하는 부문으로, 셀룰라오토마타 모 형(CA)의 일부를 이용한 LCM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성하였다. 위 모형에서 이용하는 토지피복지도는 대분류 수준의 토지피복지도로서, 시가화지역, 농엽지역,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수역으로 구분하여 토지피복변화가 입력자료로 이용되며, 토지이용변화 예측 또한 정책이 시행된 후의 변화결과로 시가화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수역으로 구분되어 결과가 도출된다.

자료: 안홍기 외(2012),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의 구축연구3」.

<그림 2-14> 변화예측 결과

환경부(2010)는 기 구축된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해 국토의 토지피복변화를 연구하고, 이러한 토지피복변화에 기반한 빈도비모델, 계층화분석방법,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의 방 법을 활용하여 도시화 확률지도 작성하고 2020년 도시성장 분석을 수행하였다. 위 연구 에서는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 2-13> 연구에 사용된 지리공간정보 자료 목록

이와 같이 도시확장 예측이나 개발가능지 예측을 위한 도시분야의 선행연구들을 리뷰 한 결과 각각의 연구에서는 대분류 토지피복지도의 항목들을 모델의 입력자료로 활용하 였으며, 이러한 입력자료들이 각각의 조건에 따라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세분화되어 있는 중분류,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기보다는 좀 더 단 순하지만 모델의 적용과 확률 등 수학적 계산에 적용할 수 있는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하고 있었다.

다. 산사태분야에서의 활용

토지피복지도는 산사태와 같은 방재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산사태 예측 관련 연구에서는 통계 또는 확률이론 기반의 빈도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산사 태나 위험지역을 예측하는 데 토지피복지도의 분류체계들을 독립변수로 활용하여 결과를 평가하였다.

이사로(1999), 이명진 외(2004), 이용준 외(2006), 오현주(2010) 등은 토지피복지도 를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빈도비, 로지스틱 회귀분석, Weight of Evidence 등 확률과 통계 기법의 적용을 통해 산사태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자료: 오현주(2010),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법을 이용한 지질현상 예측모델 개발 및 응용」.

<그림 2-16> 우도비를 활용한 산사태 취약지역 도출

이러한 산사태 위험지역을 예측하는 데 대분류 토지피복지도 또는 중분류 토지피복지 도를 활용하여 각각의 분류체계가 산사태 발생과 관련하여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상관분 석을 수행하고 이러한 상관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산사태 위험지역을 도출하는 데 토지피 복지도를 이용하고 있었다.

라. 비점오염원관리 활용

토지피복지도는 비점오염원의 부하량 산정 향상에도 활용되고 있다. 점오염원의 경우에는 정화시설을 통한 정화과정을 거치고 있으나,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과는 다르게 오염원관리 가 힘들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질이 관리 없이 하천이나 호소로 유입되었을 때 심각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점오염원의 경우 관리나 조절이 힘들기 때문에 예측과 관리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비점오염원관리에 활용되고 있는 자료가 토지피복자료이다.

이우성 외(2006)는 토지피복 특성별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유역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토지피복특성이 수질오염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우성 외, 2006).

위 연구에서는 2000년 대분류 토지피복지도 8개 항목 중 습지와 수역, 논과 밭을 합쳐

위 연구에서는 2000년 대분류 토지피복지도 8개 항목 중 습지와 수역, 논과 밭을 합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