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기존 연구(2009년)와 구축방안 비교

기존 「토지피복지도 활용도 제고를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환경부, 2009)과 본 연구 의 구축방안을 비교하여 요약하면 <그림 3-1>과 같다. 기존 연구는 남한과 동일한 22개 항목에 대하여 전수 육안판독하였다면 본 연구는 활용수요와 구축가능성을 고려하여 16 개 항목에 대하여 시가화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기타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영상 분석(NDVI)과 수치지형도 레이어를 활용한 자동분류기법을 도입하도록 하였으며 구축 비용과 시간 절감, 균질성 확보, 활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축방안을 개선하였다.

<그림 3-1> 기존 연구(2009년)와 본 연구의 구축방안 비교

나. 분류항목별 정의 및 분류기준 개선(안)

2) 제작절차

3) 분류일반적용기준

4)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항목별 정의 및 분류기준 - 시가화건조지역

○ 시가화건조지역의 단계별 분류방안은 <표 3-6>과 같이 총 4단계로, 1단계는 시가

<표 3-6> 시가화건조지역의 단계별 분류방안

1단계 2단계

시가화지역과 산림지역의 구분

수치지형도 도로 레이어로 시가화지역 내 교통지역과 비교통지역 구분

3단계 4단계

임계값을 이용한 시가화지역 세부 분류 (고밀시가화지역과 저밀시가화지역 구분)

최종 육안 수정을 통한 시가화건조지역의 분류 작업 완성(고밀시가화, 자밀시가화, 교통지역)

5)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항목별 정의 및 분류기준 - 산림지역

○ 산림지역의 단계별 분류방안은 <표 3-8>과 같이 총 4단계로, 1단계는 영상분석을 통해 산림의 외곽경계를 구분하고, 2단계에서는 확실한 지역의 샘플링을 통한 식생지수의 임계값을 이용하여 고밀과 저밀산림을 구분한다. 3단계는 육안 수정을 통해 경계 및 속성을 수정하고 최종 4단계에서는 부가정보로 침・활・혼효림의 비 율에 대해 영상분석기법과 육안판독을 혼용하여 속성에 추가한다.

<표 3-8> 산림지역의 단계별 분류방안

1단계 2단계

영상분석(NDVI 등)을 통한 산림의 외곽경계 구분

확실한 지역의 샘플링을 전 영상에 적용하 여 고밀과 저밀산림을 구분

3단계 4단계

경계 및 속성에 대한 육안 수정 부가정보로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 비율을 영상분석 및 육안판독을 통해 속성에 추가

6)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항목별 정의 및 분류기준 - 농업지역

○ 농업지역은 시가화건조지역과 산림지역을 완성한 후에 분류하도록 한다.

○ 단계별 분류방안은 <표 3-10>과 같이 총 2단계로, 1단계는 수치지형도의 논과 밭 경계를 추출하여 외곽경계를 구축하고 2단계에서는 육안 수정을 통해 경계를 수정하고 속성을 입력한다. 특히 구글 등 오픈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계절별 영상을 통해 논, 밭, 기타재배지의 생육적 특성을 고려해 분류를 실시한다.

<표 3-10> 농업지역의 단계별 분류방안

1단계

수치지형도의 논과 밭 레이어를 추출하여 외곽경계 구축 2단계

원 영상과 계절별 타 영상(오픈플랫폼 영상 등)을 참조하여 논, 밭의 경계 수정 및 기타재배지(과수, 비닐하우스 포함)의 경계 및 속성 입력

7)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항목별 정의 및 분류기준 - 수역, 습지, 초지, 나지

○ 수역과 습지는 시가화건조지역과 산림지역, 농업지역을 완성한 후에 분류하도록 한다. 단계별 분류방안은 <표 3-12>와 같이 총 3단계로, 1단계는 수치지형도의 하천과 제방, 저수지, 해안선 경계를 추출하여 외곽경계를 구축하고 2단계에서는 식생지수를 통해 수역과 식생이 자라는 습지를 구분한다. 3단계에서는 육안판독을 통해 경계를 수정하고 속성을 입력한다.

<표 3-12> 수역과 습지의 단계별 분류방안

1단계

수치지형도의 하천과 제방, 저수지, 해안선 레이어를 추출하여 외곽경계 구축

2단계 3단계

영상분석(식생지수)을 이용한 수역과 습지의 구분 경계 및 속성에 대한 육안 수정

○ 초지와 나지는 시가화건조지역과 산림지역, 농업지역, 수역과 습지를 완성한 후 마지막 단계에 육안분류를 통해 작성하도록 한다. 수치지형도에서 해당 정보와 관련 있는 레이어가 없으므로 아리랑 3호 위성영상과 구글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분류를 실시한다. 초지는 식생이 자라고 있기 때문에 영상분석을 통한 식생지수가 봄~가을 영상을 기준으로 0.2~0.3의 값을 나타내며, 나지는 0.2 이하의 값이 분포 하므로 이를 참조하여 초지와 나지를 구분한다.

<표 3-13> 초지와 나지의 분류방안

초지

타 영상자료를 이용한 초지의 육안분류 사례(좌: 영상, 우: 식생 활력도) 나지

공사 중이거나 운동장을 조성한 기타나지(좌: 영상, 우: 식생 활력도)

∣제4장 ・ 접근불능지역의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시범 구축∣

1. 연구대상지역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