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원격탐사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이론적 배경

토지피복분류(Land Cover Classification)는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초지, 습지, 나지 등과 같이 자연 상태의 지표면의 물리적인 상황을 분류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의 간섭에 의한 토지의 이용현황 및 계획 상태를 반영하는 토지이 용(Land Use)과 개념상 차이가 있다. 토지피복지도(Land Cover Map)란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여 물리적인 형태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동질의 특성을 지닌 지역을 추 출하여 지도로 표현한 주제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토지피복지도는 현재의 물리적인 지표면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국토의 공간구 조 실태 및 변화추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자연환경 및 물환경, 기후 및 대기환경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수립을 지원하는 기초 공간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시가지, 산림, 농경지, 습지, 초지 등 다양한 토지피복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토지부문의 통계 및 조사는 수치 위주 의 통계조사로 공간적인 요인과의 통합적인 분석이 곤란하다. 이를 단시간 및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 토지피복의 현황 및 상태변화를 파악해야 한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1998년부터 GIS와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지도를 지속 적으로 제작해 왔으며, 국토환경성 평가, 생태・자연도, 도시생태현황도 등을 작성하는 데 필수 기초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전지역 설정, 환경영향평가 및 환경계획 수립, 수질오염총량관리, 기후 모델링 및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최근에는 국토변화지역탐 지, 산림자원조사, 농경지면적조사 등 타 분야에서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나. 토지피복분류체계

1) 주요 선진국의 토지피복분류체계

미국의 미국지질조사소(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에서는 Land Cover Trends Project를 운영하고 있으며, Water(수역), Developed/urban(개발지/도시), Mechanically disturbed(기계적 간섭지역), Barren(나대지), Mining(광산), Forests/

woodlands(삼림/산림지대), Grassland/shrubland(초지/관목지), Agriculture(농경지), Wetland(습지), Nonmechanically disturbed(비기계적 간섭지역), Ice/snow(빙하/만년설) 와 같이 11개의 LevelⅠ 체계를 기반으로 한 분류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이 분류 방법을 바탕으로 MRLC(Multi-Resolution Land Characteristics Consortium)에서는 NLCD(Land Cover Database) 2011을 구축하였고, 20개의 세분화된 분류체계를 활용하고 있다.

미국 NLCD 2011 분류체계의 특징은 대분류 내에서 피복률에 따라 세분화하였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산림, 관목지, 초지 등 식생과 관련한 지역에서는 세분화된 분류 항목의 식생 비율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특히 개발지에서는 불투수면의 면적 비율을 기준 으로 밀도가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료: MRLC(http://www.mrlc.gov/nlcd2011.php).

<그림 2-1> 미국 NLCD 2011

<표 2-1> 미국 NLCD 2011 분류체계 정의 및 특징

자료: MRLC(http://www.mrlc.gov/nlcd2011.php).

호주의 지질자원연구원(Geoscience Australia)에서는 National Dynamic Land Cover Dataset을 제작하여 운영 중이다. 분류체계는 17개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농경지의 경우 rainfed(천수)와 irrigated(관수)로, 식생의 경우 closed(폐쇄), open(개방), sparse(저 밀도), scattered(산재) 등으로 나뉘어 총 32개의 항목으로 구분된다.

자료: Geoscience Australia(http://www.ga.gov.au/scientific-topics/earth-obs/landcover).

<그림 2-2> 호주 NDLC Dataset - Geoscience Australia

<표 2-2> 호주 NDLC Dataset 분류체계 정의 및 특징

자료: Geoscience Australia(http://www.ga.gov.au/scientific-topics/earth-obs/landcover).

유럽연합이 1985년부터 추진해온 CORINE(Coordination of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프로젝트는 현재 유럽환경청(European Environment Agency, EEA) 대 책본부에 이관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Copernicus Land Monitoring Services를 통하여

- Astrebla, Austrodanthonia, Austrostipa, Dicanthium, Eragrostis, Poa, Themeda, Sorghum, Heteropogon, Ophiuros, Oryza, Eragrostis and Spinifex 등 특정

자료: Copernicus Land Monitoring Services(http://land.copernicus.eu/).

<그림 2-3> 유럽 CLC - Copernicus Land Monitoring Services

<표 2-3> 유럽 CORINE Land Cover 분류체계 정의 및 특징 자료: Copernicus Land Monitoring Services(http://land.copernicus.eu/).

2) 환경부 토지피복분류체계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는 미국 USGS의 National Land Cover Characterization Project와 유럽연합의 CORINE Project에서 채용한 분류체계를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하도록

다. 원격탐사 영상자료의 특성 및 주요 위성

원격탐사는 물리적인 접촉이 없이 지상의 물체를 파악하는 종합적인 기술로 지표면의 임의의 지점에서 반사 또는 방사되는 전자기 복사에너지를 측정하여 그곳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환경분야의 경우 조사 대상지역이 대부분 광범위하고 시계열 적 변화가 자주 발생하므로 이를 조사하는 데 적합하며, 광범위한 자료 취득의 경제성이 높고 자료 분석 시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데이터의 크기와 처리용량의 한계로 인해 공간적, 분광적, 방사적 제약이 있으므로 활용 목적에 따라 적합 한 영상과 방법을 선정하여 처리 및 분석하여야 한다.

영상자료를 취득하는 센서는 크게 태양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수동형 센서인 광학 센서와 자체 에너지를 사용하는 능동형 센서로 구분할 수 있다. 수동형 센서는 일반적으 로 널리 활용되는 센서로 사람의 눈에 보이는 그대로 광범위한 지역의 균질한 자료를 획득하며 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이다. 능동형 센서는 태양광선과 날씨에 큰 영향이 없이 어두운 상태나 궂은 날씨에도 자료를 취득할 수 있으며, 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의 광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원격탐사의 해상도는 공간적으로 가깝거나 스펙트럼 상에서 유사한 신호를 구별할 수 있는 광학시스템의 능력에 대한 측정단위이다(Davis, S. M.et al, 1978). 원격탐사 영상을 분석하기 전에 분석목적에 적합한 영상자료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분광 및 공간해상도, 시간적인 주기, 방사적인 해상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분광해상도는 원격탐사 센서가 얼마나 다양한 파장대를 통해 취득할 수 있는지를 나타 낸다. 분광적인 특성에 의한 모든 물질은 반사 또는 복사되는 에너지의 세기가 다르므로 다양한 파장대에서 얻어진 영상자료를 이용할 경우 분석기법으로 물질들을 분류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가 세 개 이상인 영상은 색합성을 통하여 컬러 영상으로 표현이 가능하며 밴드가 한 개인 흑백 영상에 비해 보다 많은 정보를 표현한다. 공간해상도는 하나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일정한 크기의 공간영역을 의미한다.

즉 공간해상도가 10×10m인 것은 하나의 화소가 차지하는 지표면 상에서의 면적이

100m2임을 나타낸다. 시간 주기 해상도는 동일한 지역의 정보를 얼마나 주기적으로 수집 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시간 주기 해상도는 소요시간 및 일자 등으로 표시되며 그 주기가 빠를수록 원하는 지역의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방사해상도는 하나의 화소에 얼마나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가를 표현하며 비트(bit)로 나타낸다. 방사해상도 가 높을 경우 밝기나 색의 미세한 차이를 보다 더 잘 식별할 수 있으며 영상분석 결과물의 정확도가 방사해상도가 낮은 자료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사용자가 활용할 컴퓨터 의 처리성능이 낮을 경우 해상도가 높은 자료를 처리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최근 들어 대용량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H/W 및 S/W가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면 보다 다양한 분석과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원격탐사용 영상자료는 크게 위성영상과 항공사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1970~80년 대 LANDSAT에서부터 2000년대 이후 국내의 아리랑 2~3A호가 발사되어 공간해상도가 0.55m에 이르고 있다. 항공사진의 경우에도 기존 아날로그 흑백 항공사진에서 2000년대 후반에서부터 공간해상도 0.12m급의 컬러 디지털 항공사진이 촬영・활용되고 있다.

<그림 2-4> 우리나라에서 활용 중인 시대별 주요 위성의 변천과정

라. 토지피복분류방법

토지피복지도 작성을 위한 분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활용목적, 원격탐사 영상자료의 센서 특성, 분류항목 및 체계, 요구 정확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료 및 기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계절적인 변화에 따라 동일한 대상일지라도 토지피 복의 특성이 달라지므로 계절적인 변화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논의 경우 5~6월에 모내기를 위해 물을 담고 있으며, 9~10월은 벼가 성장함에 따라 영상의 질감과 분광특성에 차이가 나타난다. 또한 도시개발, 산림벌채와 같이 인간의 간섭 등에 의한 경년변화가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주기성이 없이 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따 라서 이에 대한 변화를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서는 각 시기별 영상자료 간 환경이 최대한 유사하여야 한다.

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는 유사한 분광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집단화하는 방법 의 원격탐사기법을 널리 쓰고 있다. 분류 기법은 크게 자동분류와 수동분류(육안판독)로 나뉘며, 자동분류의 경우 무감독분류와 감독분류로 구분할 수 있다.

무감독분류는 분류하고자 하는 대상 범위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영상자료 가 지니고 있는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분광적으로 유사한 지역을 분류하는 기법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상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분류한다. 특징으로는 사용자의 주관이 배제되 며 영상 장면(scene) 단위의 동일한 분류기준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단기간에 작업 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지만 뷴류정확도가 비교적 낮은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대상지역 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고 분석해상도가 높은 영상자료를 사용할 경우 무감독분류를 실시

무감독분류는 분류하고자 하는 대상 범위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영상자료 가 지니고 있는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분광적으로 유사한 지역을 분류하는 기법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상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분류한다. 특징으로는 사용자의 주관이 배제되 며 영상 장면(scene) 단위의 동일한 분류기준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단기간에 작업 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지만 뷴류정확도가 비교적 낮은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대상지역 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고 분석해상도가 높은 영상자료를 사용할 경우 무감독분류를 실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