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카사바

문서에서 캄보디아 (페이지 60-80)

P: 토양에 따라 정하여진 헥타르 당 연간 토지가격, R: 선호비율

3. 카사바

2장 캄보디아 농업 진출 유망분야 |

61

고 있다.(그림 2-7 및 표 2-5)

그림 2-7 캄보디아의 연도별 재배면적 및 생산량

표 2-5 연도별 카사바 재배 면적과 생산량

연도 재배면적,ha 생산량,톤 생산성,톤/ha

2007 108,122 2,215,427 20.49

2009 188,661 3,980,964 21.10

2010 190,525 4,005,586 21.02

2011 391,714 8,033,843 20.51

2012 361,854 7,613,697 21.04

캄보디아 카사바의 재배면적은 최근 급격한 증가를 보여오다 2012년 다소 주춤한 현상을 보였다. 2010년 206,226ha에서 2011년 391,714ha 로 1.9배로 증가한 후 2012년도에는 361,854ha로 감소하였다. 이는 2012 년도에 바탐방과 파일린의 태국인접 지역이 태국의 수입규제로 인해 생 산에 커다란 차질을 빚었으며, 이에 농민들이 카사바 재배를 옥수수로 전 환한 것이 원인이다.

지역별 카사바의 재배면적과 생산은 그림 2-8 및 표 2-6과 같다.

그림 2-8 캄보디아의 지역별 재배면적 비율(%)

표 2-6 카사바 주요 3개 주의 재배면적 및 생산

지 역 재배면적,ha 생산량,톤 생산성, 톤/ha

바탐방 57,064(16%) 2,003,801(26%) 35 깜퐁짬 67,427(19%) 970,558(13%) 14 반떼민쩨이 46,951(13%) 911,994((12%) 19

재배면적을 보면 카사바 최대 재배지역은 바탐방이었으나 2012년에 는 깜퐁짬이 67,427ha의 재배면적으로 전체의 19%를 차지하여 최대 재 배면적을 심었으나 생산량은 총 생산량의 13%에 그쳐 카사바를 재배하 는 기술이 아직 발달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깜퐁짬과 바탐방 및 반떼민 쩨이를 포함한 3개주가 재배면적으로 보면 절반에 가까운 48%를 차지하 였으며 생산량으로는 51%를 차지하였다. 이는 오랫동안 카사바를 재배하

2장 캄보디아 농업 진출 유망분야 |

63

여 온 바탐방 지역의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월등하게 높은 ha당 35톤을 생 산한 반면 최근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깜퐁짬은 ha당 14톤에 그 쳤다. 이 3개주 지역은 캄보디아 카사바 재배의 주산지이다.

카사바는 식용을 비록하여 전분 및 사료와 바이오에탄올의 원료로 다 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중국의 곡물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 금지로 인하여 옥수수를 이용하던 에탄올 생산이 뿌리작물인 카사바로 바뀌고 난 후 많 은 양의 카사바가 중국으로 들어가고 있다. 이에따라 재배면적은 계속 증 가할 것이며, 또한 카사바의 국제가격 상승도 지속될 전망이다.

카사바는 배수가 잘 되는 모래, 점토 등에서 잘 자라지만 수분이 많으 면 견디기가 힘들다. 카사바는 다른 작물들처럼 알칼리성 토양에서 잘 자 라지 못하고 산성토양에서 잘 자란다.

카사바는 특별히 성숙기간이 없기 때문에 언제든지 수확을 할 수 있 다. 대체적으로 농가에서는 기후, 판매 및 가격에 의존하기 때문에 심은 지 10~11개월 후에 카사바를 수확한다.

고소득이 가능한 작물인 카사바에도 몇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높은 인 플레이션에 대한 인건비, 농산물 및 서비스가격의 상승과 다수확 품종의 구입지원, 마케팅 정보, 기반 시설의 부족 등이다. 또한 카사바의 판매가격 도 바로 수확한 카사바의 경우 톤당 70~80달러 선으로 매우 저렴하다. 그 러나 수확시기에는 노동력이 집중되어 노동력의 부족현상을 겪어야 하며, 보관성이 나쁘기 때문에 수확후 바로 판매하여야 하지만 인근 국가에서의 수입규제와 같은 조치가 발생하면 이들 생산 농가는 판로의 어려움을 겪 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카사바에 대한 명확한 정책 및 관련기관의 설립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고 기관과 재정의 강화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마케팅 체계를 다양화하고 카사바 부가가치의 향상을 통해 앞으 로 캄보디아 내 카사바 생산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여겨진다.

2012년도 캄보디아의 카사바 수출을 보면 총 225,681톤을 수출하였 다. 세부적으로 보면 카사바전분 가루 48,874톤, 카사바 칩 126,276톤 그 리고 생(生) 카사바 50,540톤이다. 이들은 거의 베트남과 태국으로 수출 되었으며, 이곳에서 가공되어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중국으로의 수출 량은 미약하지만 2012년 프로토콜이 적용되어 향후 수출물량이 크게 증 가할 것으로 보인다. 15개 기업이 카사바칩을 중국으로 수출하려고 등록 한 상태다.

2장 캄보디아 농업 진출 유망분야 |

65 4. 고무

1876년 영국이 고무나무 묘목을 동남아시아 지역에 처음 도입하였고, 캄보디아로 고무나무가 들어온 것은 1910년 프랑스에 의해서였다.

기본적으로 고무나무는 기원지인 아마존과 유사한 열대기후에서 잘 자란다. 전 세계의 고무나무 재배지역은 북위 15도에서 남위 15도 사이의 위도에 위치한다. 월 평균 기온이 섭씨 25℃에서 28℃이고 강우량이 연중 고르게 2,000~3,000mm이면 적합하다. 습도는 80%, 일사량은 하루 평 균 6시간 정도로 1년에 총 2,000시간, 강한 바람이 없는 곳이어야 한다.

2011년 세계 천연고무 총 생산량은 약 1,100만 톤에 달했다. 그 중 캄보디아에서 생산된 고무의 양은 약 5만 톤으로 세계 천연고무 생산의 0.5%를 차지했다. 2011년 기준 캄보디아 내 고무나무 재배면적은 약 21 만 ha로 조사되었으며, 캄보디아 정부는 2020년까지 29만 톤의 수량을 낼 수 있도록 고무나무 재배면적을 30만 ha까지 늘리는 것으로 목표를 두 고 있다.

캄보디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태국은 현재 세계 천연고무 생산량 1 위 국가이다. 연 생산량이 305만 톤으로 세계 고무 생산량의 29%를 차지 하며 세계 고무산업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접 국가인 베트 남 또한 고무산업에 있어 캄보디아보다 앞서 있다. 특히 베트남은 헥타르 당 라텍스 수량이 1,720kg으로 캄보디아의 1,050kg보다 현저히 많다. 이 처럼 캄보디아는 기후, 토질 등의 환경이 태국, 베트남과 유사하지만 생산 성 면에서 뒤떨어진다. 고무나무가 자라기에 적합한 환경조건과 넓은 땅 을 가지고 있지만 재배효율이나 기술적인 부분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캄보 디아 고무산업의 성장 잠재력은 주목 해 볼 만하다.

연도별 고무 재배면적을 보면 그림 2-9와 같다. 2004년 이전까지 캄보디아 내 고무나무 총 재배면적은 55,000ha를 밑돌았다. 2005년에 60,000ha를 넘기며 재배면적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2년에는 279,355ha(전년대비 66,252ha 증가, 31%증가)에 도달했다. 또한 54,520 톤을 수출하여 톤당 2,903달러를 벌여 들였다. 총 재배면적이 증가한 데 는 생산 가능한 태핑면적의 증가(20%증가) 보다 새로 심은 고무나무 면 적증가(34%증가)의 영향이 크다.

그림 2-9 연도별 고무 재배 수확가능면적과 성숙중인 고무나무 면적 2011년도 지역별 재배현황을 보면 깜퐁짬주의 고무나무 재배면적 이 가장 넓다. 태핑면적 37,049ha, 미성숙 면적 54,710ha로 총면적이 91,759ha로 압도적이다. 다음으로 재배면적이 넓은 주는 라따나끼리, 끄 라체, 깜퐁톰, 몬돌끼리 순이다. 이들 지역이 고무 농장을 하기에 가장 적 합한 환경조건을 갖추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배면적 순으로 상위 다 섯개 주에서 재배되는 고무나무가 캄보디아 내 전체 고무나무의 88%를 차지한다.

세계 시장의 생산을 보면, 태국이 1위, 인도네시아가 2위로 3위와는 격 차가 있다. 1991년 이전까지는 인도네시아가 1위 생산국이었으나 현재는

2장 캄보디아 농업 진출 유망분야 |

67

태국이 앞서 있다. 전 세계 천연고무 생산량의 93%가 동남아시아에서 생 산되고 그 중 56%가 태국과 인도네시아산 고무이다. 두 나라에 비해 캄보 디아의 고무 생산량은 세계 17위로 저조하다. 캄보디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태국의 연 생산량은 약 300만 톤으로 캄보디아의 약 80배, 5위에 있 는 베트남은 75만 톤으로 캄보디아의 20배에 달한다.

캄보디아의 연도별 고무생산량과 수출량은 그림 2-10과 같다. 그림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 생산량이 중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수출량도 증 가하고 있음을 볼수 있다.

그림 2-10 연도별 고무생산 및 수출량(톤)

캄보디아에서 다른 나라로 고무를 수출하는 경로를 크게 세 가지로 나 누어 볼 수 있다. 고무공정 공장에서 가공된 고무가 외국 무역상에게 판매 되는 경우와 도매상이 구입한 고무를 외국 무역상에게 넘기는 경우 그리 고 수집상이 고무 수집 후 가공하지 않고 외국 무역상에게 곧바로 넘기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베트남으로 비공식 수출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캄보디아에서 추출한 라텍스 상태 그대로 수출하는 것은 금지되어있다.

캄보디아 프놈펜 무역관(KOTRA)의 수출통계에 따르면, 2010년 캄보 디아에서 생산된 고무의 64%가 한국과 아시아의 여러 나라를 포함한 13 개국으로 수출되었다. 나머지 36%는 국내에서 사용된 양과 비공식적으

로 수출된 고무의 양을 포함한다. 약 10%를 국내에서 사용했고 나머지는 비공식 수출량으로 추산된다. 캄보디아의 최대 수출국은 베트남으로 전체 생산량의 46%, 약 20,000톤에 해당하는 고무를 캄보디아로부터 수입했 다.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고무원산지와 가깝고 육로로 쉽게 이송 할 수 있 으며 등급이 낮은 고무도 판매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적은 노력으 로도 다른 나라와 무역 할 수 있고 기회가 많았던 과거와는 달리 경쟁자가 많아지고 절차가 복잡해지면서 실질적으로 고무의 경쟁력을 키우지 않고 서는 세계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게 되었다.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얻기 위해서는 멀리 내다보고 고무 플랜테이 션에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2011년 기준으로 중국은 한 해 360만 톤, 세계 천연고무 소비량의 33%를 사용하며 많은 고무를 소비했다. 중국에 서는 자동차산업을 포함하여 육로수송관련 산업의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 어 타이어산업에의 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중국 고무산업협회에 따르면 중국 천연고무의 소비는 2020년에는 450만 톤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이에 따라 타이어와 관련된 수요증가 가능성을 고려하여 생산에 관 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노동집약적인 고무 플랜테이션은 인건비가 저렴한 캄보디아에 장점이 있다.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는 가운데 생태효율성이 높 고 탄소배출은 적은 농업으로 전망이 밝다.

문서에서 캄보디아 (페이지 60-8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