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 기계화 현황

문서에서 캄보디아 (페이지 85-89)

P: 토양에 따라 정하여진 헥타르 당 연간 토지가격, R: 선호비율

9. 수산물

2.4 농업 기계화 현황

캄보디아 농민들의 낮은 수익으로 값 비싼 농기계를 구입하기에는 어 려움이 있고 정부가 현재 소유하고 있는 농기계도 폐기 및 방치되어 있으 며 일부만 농민에게 임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기 관에서 조차 농기계 구입을 위한 특별 대출 제도 등을 시행하고 있지 않 아 농민들의 영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캄보디아 정부는 농업부 문의 개발을 국가경제발전의 핵심으로 인식하고 트랙터, 수확기를 비롯한 농기계 및 농업용 장비 수입시 관세면제(일반관세 0%, 부가가치세 10%) 를 통해 영농 기계화를 촉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농기계의 보급은 농기계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의 양성 및 교육실시, 농 기계 수리센터의 확보를 통한 사후 문제점 해결, 고장시 수리 부품의 적시 공급 가능 등의 문제점이 우선 해결되어야 한다. 아울러 정부는 금융기관 을 통한 대출 및 정부지원의 폭을 늘려야 하는데 이의 재원 마련이 문제 로 떠오른다. 캄보디아는 최근 영농조합법인의 설립을 가능하게 하는 영 농조합법을 만들었다. 15명 이상의 농민이 법인을 만들수 있도록 한 것이 다. 1~2ha의 재배면적을 가진 소작인 중심의 영농법인을 대상으로 농기 계 영농단과 같은 과거 한국이 초기 시행한 농기계 보급방법이 절실한 시 점이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 일본, 베트남 뿐만 아니라 세관의 통계에 잡 히지 않고 들어오는 태국으로 부터의 밀반입 제품 또한 상당한 비중을 차 지하고 있다. 이러한 캄보디아의 농기계 시장 선두확보를 위하여 일본의 얀마, 이세끼, 야마구시, 오까와, 시바우라, 비쯔비시, 태국의 존디어, 포 드, 구보다, 시엠구보다, 중국의 주펭, 창화, VIKO, 유럽의 밸라루시, 뉴홀

랜드 등이 각축을 벌이고 있다.

신기종의 농기계는 대부분 태국으로부터 수입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중고기계는 일본제품이 많이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농기계 수 입이 급속하게 늘어가고 있다. 캄보디아의 농기계 보급현황은 다음의 표 2-14와 같다.

표 2-14 2012년 농기계/농기구 보급현황(2013, MAFF)

기계명 수량(대) 기계명 수량(대)

1 트랙터 8,961 9 해로우(트랙터용) 3,808

2 경운기 128,806 10 트레일러(트랙터용) 3,246 3 양수기 231,942 11 로타베이터(트랙터용) 1,125

4 수확기 4,820 12 쟁기(경운기) 84,942

5 탈곡기 16,146 13 해로우(경운기) 81,200

6 건조기 92 14 트레일러(경운기) 77,179

7 도정기 54,428 15 로타베이터(경운기) 417

8 쟁기(트랙터용) 6,045

캄보디아의 농업기계화 사업은 농림수산부(MAFF) 산하의 농업기계 국(DAM)에서 담당하고 있다. 농업기계국은 12개 과에 약 200여명의 인 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농업기계 기술개발 연구와 기술교육 훈련 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정부의 조직상에 존재하 나 실제로는 정부조직이 운영하고 있는 것은 전무하며 대부분 민간에 의 해 농기계 유통 및 기계화가 진행되어가고 있다.

농업 기계의 캄보디아 진출을 위해서는 융자제도와 분할제도 등을 통 한 구매 방법을 통한 가격 경쟁력, 보증을 통한 품질 보장 및 수리 지원, A/S요원의 확보, 농민 사용 교육 실시 등을 검토하여야 하며 현재 지방에 존재하는 소규모 제조업체를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

2장 캄보디아 농업 진출 유망분야 |

87

다. 적용 기계의 기종을 단순화하여 수리부품의 확보도 점검할 필요가 있 다. 현재 캄보디아에는 농업기계를 다루는 연구소나 대학이 전무한 실정 이지만 최근 농기계의 관심이 커지면서 이를 가르치는 학과의 탄생도 가 능할 것으로 보인다.

우기의 경지면적 3,157,417ha중 농기계를 이용한 면적은 2,036,331ha(64.5%), 건기의 367,576ha중 334,598ha(91%)가 농기계를 이용하고 있다. 과거의 축력을 이용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농기계의 사용 이 급속하게 늘어가고 있음을 알수 있다. 전체적으로 67% 가량이 농기계 를 이용하여 토지를 정리하였다.

농기계의 보급은 트랙터의 경우 바탐방, 반데민쩨이, 스와이링, 깜퐁 짬 순이고, 경운기는 바탐방, 반떼민쩨이, 오다민쩨이, 깜퐁짬 순이다. 이 를 보면 농기계는 대규모의 농장이 발달해 있는 서부의 바탐방과 반떼민 쪠이, 오다민쩨이주에 많이 공급되어 있으며, 이를 제외하면 깜퐁짬이 농 기계의 보급을 많이 하고 있다.

현지 농장을 운영 경험하신 분들에 의하면 밭농사의 경우 50마력 규모 의 트랙터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으며 논의 경우는 대규모 농지를 제외하 면 동일 규모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한다. 앞으로 농업기계 분야에 진출하 고자 하는 기업은 밭작물의 재배에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관리기와 같은 소규모의 농기계와 대부분 일본산과 중국산이 차지하고 있는 양수기 사업 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3장 진출기업 현황 |

89

진출기업 현황 및 조언 | 3장

문서에서 캄보디아 (페이지 85-8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