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쌀(벼)

문서에서 캄보디아 (페이지 53-60)

P: 토양에 따라 정하여진 헥타르 당 연간 토지가격, R: 선호비율

1. 쌀(벼)

2장 캄보디아 농업 진출 유망분야 |

53

2.2 주요 농축수산물 생산현황

표 2-3 캄보디아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

연도 재배면적, ha 생산량, 톤 잉여생

산,톤

우기 건기 합계 우기 건기 합계

2003 2,030,735 283,550 2,314,285 3,837,957 873,000 4,710,957 1,072,650 2004 2,075,646 298,529 2,374,175 3,132,581 1,037,703 4,170,284 650,185 2005 2,121,591 321,939 2,443,530 4,734,300 1,251,879 5,986,179 2,063,393 2006 2,212,015 329,418 2,541,433 4,973,694 1,290,429 6,264,123 2,240,439 2007 2,241,114 344,791 2,585,905 5,363,690 1,363,437 6,727,127 2,577,562 2008 2,255,104 360,637 2,615,741 5,722,142 1,453,331 7,175,473 3,164,114 2009 2,334,228 384,852 2,719,080 6,001,385 1,584,485 7,585,870 3,507,185 2010 2,391,016 404,876 2,795,892 6,548,709 1,700,743 8,249,452 3,932,426 2011 2,496,569 471,960 2,968,529 6,700,439 2,078,927 8,779,366 4,344,264 2012 2,512,038 495,507 3,007,545 7,136,139 2,154,801 9,290,940 4,735,964

그림 2-4 캄보디아 연도별 계절별 벼생산 실적

계절별로 보면 2차례의 벼 재배가 이루어 지고 있으나 우기의 쌀 생산 이 전체의 77%를 차지하고 있고 건기는 23%만을 차지하고 있어 대부분 우기의 1모작 농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러나 건기의 비중은 전년도 16%보다 증가하여 건기 재배도 증가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건기 의 벼농사를 위해서는 치수관리가 가장 중요한 사항인데 이러한 관개시설 의 보급이 건기의 재배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장 캄보디아 농업 진출 유망분야 |

55

쌀의 총 재배 면적중 품종별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중생종 48%(대 부분의 농부가 이 품종을 재배하고 있음), 조생종 25%, 만생종 21%이다.

밭벼와 부도는 각각 2%, 4%를 차지하였다.

정부는 10개의 장려 품종을 지정하여 농민들에게 재배를 추천하고 있 으나 극히 일부에게만 정부가 볍씨를 제공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재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들 추천 품목은 다음과 같다. 조생종의 일반미 Chul sar 와 IR66, 방향미 Sen Pidao, 중생종의 일반미 Chan Sen Sar, 방향 미 Phkar Rumduol, Phka Rumdeng, Phka Romeat과 만생종의 Raing Chey, CAR6, CAR8의 품종이다. 이러한 품종에서 2012년도 정부가 공급 한 물량은 총 1,426.8톤이며 공급을 위한 자금지원은 훈센총리가 825톤, 정부예산 101.8톤 및 ADB의 긴급식량지원 기금이였다.

쌀의 수출은 그림 2-5에 보인 바와 같이 정부의 2010년 8월 17일 발 표한 ‘쌀생산 및 수출 증진’정책 추진 이후 급격하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 다. 2011년 201,899톤의 수출로 수출 1억달러를 넘어섰으며, 2012년에 는 205,717톤을 수출하였고, 2013년도는 250,000톤의 수출을 목표로 하 고 있다. 2012년도 수출한 쌀의 품종을 보면 백미가 102,224톤으로 전체 의 49.69%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프까말리스 65,281톤(31.73%)와 니 엉말리스 20,605톤(10%) 순이였다. 또한 수출국가를 보면 전년도보다 9 개 국가가 늘어 수출되었다.

현재 1톤당 수출가격은 5% 파손미의 경우 향미는 950달러, 일반미는 650달러 가량이다. 그러나 구매금액은 향미의 경우 400~450달러선에 농 민들로부터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2-5 캄보디아 연도별 쌀 수출 실적 (출처:쌀수출단일창구)

캄보디아의 벼농사는 도정설비가 열악하여 쌀 수출에 문제가 되자 정 부가 투자설비 금액의 절반을 지원하여 도정설비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 나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은 벼의 수확후 처리의 기본인 저장시스템의 확 보이다. 집중적으로 생산되는 벼를 도정공장에서 연중 가공하기 위해서는 벼 수매 후 저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모내기는 육묘이앙 방법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모내기는 18~25일 정도 육묘된 모를 이앙을 하는데 이앙시기가 늦어지면 모가 50~60cm까지 웃자라기 때문에 낫으로 30~40cm 정도로 잘라내고 모내 기를 한다. 남부지역의 저습지대는 담수직파, 북부지역은 주로 건답직파 를 하고 있다. 바탐방주에서는 직파 80%, 육묘이앙 20% 정도로 이앙 방 법보다 직파재배를 많이 실시하고 있다. 원인으로는 수리시설이 부족하여 적기에 물 관리를 제대로 할수 없기 때문이다. 수리시설이 가능한 지역의 논에서는 대부분 이앙재배를 하고 있다.

2장 캄보디아 농업 진출 유망분야 |

57 2. 옥수수

캄보디아의 옥수수 재배는 쌀 다음으로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물량의 확대와 국내 소비의 증가로 인한 공급량 확보를 위해 매년 재 배면적이 증가하여 왔다. 생산량의 증대와 함께 단위면적당 수량 또한 증 가하여 현재 1ha당 4~4.5톤을 생산하고 있다. 향후 캄보디아의 옥수수 생 산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그에 따른 우리 농산업체들의 준비 가 필요할 것이다.

현재 재배 품종은 태국계 회사인 CP(Charoen Pokphand)사의 종자 공급 및 계약 재배를 통하여 옥수수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는 실정이 다. 이에 한국 정부는 캄보디아에 해외농업기술센터(KOPIA)를 설치하 여 옥수수 품종 육성과 기술적 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KOPIA는 현 지 적응시험을 거쳐 포장시험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정부의 지원 을 바탕으로 한국의 진출기업들이 옥수수 생산 및 유통면에서 기존 점유 된 CP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물량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나타나 고 있다. 최근에는 옥수수 알곡뿐만 아니라 조섬유의 함유량이 1% 미만 으로 소화가 매우 잘된다고 알려져 옥수수 전체를 이용한 사료사업도 활 기를 띄고 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옥수수는 곡류사료 중 가장 많이 배 합되는 원료사료로 이용되고 배합사료의 50~70%를 차지하는 사료의 주 원료가 되었다.

전국적으로 2011~2012년 옥수수 생산량 중 지역별 비율은 그림 2-6 에 보인바와 같이 바탐방과 파일린의 서부지역이 63%의 재배면적을 차지 하였고 생산은 73%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전국적인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약 4.3톤/ha로 나타났다.

그림 2-6 총 옥수수 생산량 중 차지하는 지역 비율

표 2-4 옥수수의 주별 재배면적과 생산량 (2013, MAFF)

주명칭 재배면적 ,ha 생산량,톤

바탐방 166,581 844,607

파일린 36,469 162,982

깐달 34,685 131,216

깜퐁짬 30,482 96,817

쁘레아뷔히어 6,784 28,740

깜퐁스프 14,042 28,084

쁘레이벵 7,250 27,172

푸삿 5,888 18,447

반떼민쩨이 6,018 12,770

합계 322,700 1,385,615

전년도 372,327 1,348,089

전국적으로 2011~2012년 옥수수 생산은 사료용과 식용을 포함하여 총 138.5만톤을 수확하여 전년도의 134.8만톤 보다 2.8% 증가하였다. 옥

2장 캄보디아 농업 진출 유망분야 |

59

수수의 대표적 생산지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보면 표2-4와 같이 바탐 방과 파일린지역이며, 그 뒤를 이어 깐달주와 깜퐁짬 지역이 생산 순위를 이어가고 있다. 옥수수는 꾸준한 생산 증가를 보여왔으나 최근에 파일린 을 포한한 일부 지역에서는 옥수수 재배를 카사바 작물로 전환하여 재배 한 농가들이 많이 증가하였다. 카사바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한 농민들 은 작물을 전환하였다. 그러나 최근 2년 동안의 가격을 보면 옥수수의 가 격 상승폭이 매우 높게 나타나 카사바로 전환한 농민들은 작물전환으로 인한 손해를 보아야 했다.

옥수수의 90%는 5월~6월에 파종하여 8월과 9월 사이에 수확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소규모로 건기에 옥수수를 생산하기도 한다. 단위면적 당 생산량을 보면 미국의 37%, 한국의 73% 수준이며, 인근 국가인 태국 과 베트남에 비해 4.5~8.4%가 낮다. 연구를 통한 생산성의 향상과 지속 적인 재배면적의 증가로 캄보디아의 옥수수 총생산량은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서에서 캄보디아 (페이지 53-6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