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출연(연) 중점연구 영역

문서에서 ∣목 차∣ (페이지 65-70)

정부출연(연)은 현재 기초․공공․산업기술연구회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개별 연구기관의 중점연구영역은 <표 3-3>과 같다.

기초기술연구회의 소관 기관 중 천문(연)과 한의학(연)의 경우 기초연구 중심으로 연구영역을 특화하고 있으며, 기초과학지원(연)의 경우 연구개발장 비 인프라 구축에 특화되어 있다. 한편, 생명(연)의 경우 차세대 성장동력인 생명공학 분야의 기초연구에서 응용연구를 담당하고 있고, 과기(연)은 IT,

연 구 회 연구기관 중점 연구영역

기초기술 연구회

과기(연) 나노재료소자, Intelligen HCI, 마이크로시스템 생리활성선도물질, 에너지․환경분야

생명(연) 바이오 신약, 바이오소재, 미래융합기술 바이오정보, 국가인프라

기초과학지원(연) 공동연구지원, 미래융합연구, 장비개발인프라구축

천문(연) 광학천문연구, 전파천문연구, 우주과학연구, 천문정보실용화

한의학(연)

체질진단 기초기술 및 목표질병의 치료․예방 원천기술확보 진단표준안 등 표준화․과학화 기반구축

한약 안전성 평가체계 등 공공인프라 구축 및 지원

공공기술 연구회

과학기술정보(연)

e-Science 구축, 첨단연구망 서비스 학술․연구정보개발, 전략정보분석․지원 국가 R&D 정보연계

건설기술(연)

안전한 사회인프라 구축기술개발, 자연공생형 건설기술개발 사회기반시설 성능고도화 기술개발,

국토 및 자원의 효율적 이용기술개발 건설사업 효율화 및 건설정보화 기술개발

BT, NT, ET 등 다양한 분야의 응용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공공기술연구회의 경우 건설기술(연), 철도기술(연) 등은 사회간접자본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응용․개발연구를 담당하고 있고, 해양(연), 지질자원 (연), 에너지기술(연) 등은 미래 자원 확보를 위한 기초․응용․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표준과학(연)은 기존․미래 산업의 측정 표준과 관련된 산업기반기술(Infra-Tech)에 집중하고 있는 한편, 과학기술정보(연)의 경우 국가과학기술 정보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산업기술연구회의 경우 전자통신(연), 식품(연), 기계(연), 전기(연) 등은 전문적으로 특화된 연구분야에서 기초․응용․개발․실용화 등 전주기적 연 구개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생산기술(연)의 경우 산업기반기술인 생 산시스템 개발과 함께 부품․소재, 로봇, 환경․에너지, 수송기기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개발․실용화 연구를 담당하고, 화학(연)의 경우 기존의 화학 산업외에도 신약 등 생명공학 분야에서 연구개발 활동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나고 있다.

<표 3-3> 연구회 소관기관별 중점 연구영역

연 구 회 연구기관 중점 연구영역

철도기술(연)

기존 철도 품질 고도화, 신규철도 실용화

미래철도 원천기술 확보, 철도정책 및 운용 효율성 향상 철도기반 확충

표준과학(연)

국가전략산업 측정표준 선진화 삶의 질 측정표준 역량 강화 미래첨단 측정기술개발 국가산업경쟁력 지원

해양(연) 해양바이오신소재, 기술변화관련기술, 환경위해성평가

지질자원(연)

국토지질환경 재해저감 및 효율적이용기술 청정 지하수․지열자원 확보기술

석유가스자원 확보기술

지질자원 기반정보구축 및 활용기술개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활용 기술개발

항공우주(연) 위성 및 우주탐사 분야, 발사체 분야, 항공분야 에너지기술(연) 고유가 대비 기술분야, 기후변화협약 대응 기술분야

수소경제사회 구현 기술분야

산업기술 연구회

식품(연)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반기술 확립

안전식품 생산 및 관리를 위한 위해성분 제어 및 검출기술개발 전통식품 세계화, 식품나노기술개발

식품신소재 및 신가공기술개발 연구

생산기술(연)

제조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능형 생산시스템 개발 지능형로봇 상용화를 위한 핵심기술과 응용 플랫폼 개발 환경 및 에너지 분야 지속가능 생산기술 개발

섬유산업 재도약을 위한 고기능 융합섬유소재 개발 첨단 수송기기 및 전자산업의 핵심부품 생산기술개발 중소 제조업체의 초일류화를 위한 생산공정 혁신기술개발 핵심부품 소재기술 경쟁력 향상을 위한 핵심 금속소재 기술개발 서남권 지역특화산업 육성 지원 및 연구기반 구축

전자통신(연)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개발, 전파방송기술개발 임베디드 SW 기술개발, 디지털 콘텐츠 기술개발 IT융합 부품․소재기술개발, 정보보호 기술개발 기계(연) 환경․에너지기계, 참딘구조재료, 신기능재료,

시스템 엔지니어링, 지능형정밀기계

전기(연) 전동력기술, 초고주파 및 플라즈마, 초전도 등 화학(연) 글로벌 신약, 전자산업용 화학소재, 지속성장 화학기술 자료 : 3개 연구회 성과보고서, 2007

이러한 결과를 연구개발단계별, 기술분야별 자원 배분 구조를 통해서 유형 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개발투자에 따라서 집중도를 살펴본 결과, 기초연구 분야에 대한 연구

개발 집중도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기초연구회 소 관기관과 함께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응용연구에 대한 집중도 측면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 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발 연구에 대한 집중도는 기계(연), 에너지(연), 전기(연), 철도기술(연), 한의학(연), 항공우주(연), 해양(연), 화학(연)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지질자원연구원의 경우 전체 연구비의 배분이 기초(34%), 응용 (34%), 개발(33%)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가장 포괄적인 연구를 수행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3-4> 출연(연)의 연구개발단계별 집중도7)

연구개발단계 기초 응용 개발 종합

연구소명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한국생명공학

연구원 -한국표준과학

연구원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에너지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항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자료 : 과학기술혁신본부, 내부자료

한편, 정보통신, 생명공학, 나노, 환경 및 에너지, 항공우주, 문화 등 6T 분 야에대한 출연(연)의 연구개발 자원배분을 중심으로 연구기관의 중점연구영 역을 유형화한 결과는 <표 3-5>와 같다. 여기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경 우, 생명, 나노, 환경, 기타 분야의 연구영역을 포괄하고 있으며, 화학(연)은

7) 연구개발단계별 집중도 = (개별연구원의 기초연구 집중도)/(전체연구원의 기초연구 집중도) 개별연구원의 기초연구집중도 = (기초연구비 투자액)/(전체 연구비 투자액)

여기서 종합이란 연구개발단계별 집중도가 기초․응용․개발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 연구원

단, 기초과학연구지원연구원, 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연구개발보다는 인프라 구축에 목적이 있음으로 본 연구대상에서는 제외

생명, 나노, 환경 분야에, 생산기술(연)은 나노, 환경, 기타 분야에, 기계(연)은 나노, 환경, 기타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3-5> 출연(연)의 6T 분야별 연구개발자원배분 집중도 연구개발

단계 종합 IT BT ET ST 기타

연구소명

-과기(연) -화학(연) -생산기술(연) -기계(연)

-전자통신 (연) -전기(연)

-생명(연) -한의학

(연)

-에너지(연) -지질자원(연) -해양(연)

-항공우주(

연)

-철도기술 (연) -건설기술

(연) -표준과학

(연)

제 2 절 출연(연)의 기술이전 조직 및 활동

문서에서 ∣목 차∣ (페이지 65-7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