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분석모형 설정

1.5. 탄성치 추정

1.5.2. 추정 결과

쇠고기 수요함수의 추정 결과는 아래와 같다. 설명변수들 앞에 L은 각 변수들을 로그전환하여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추정방정식은 log-log모형으로 각 계수값들은 탄성치로 해석된다. 쇠고기 명목소매가격 (NPBR)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디플레이트하여 쇠고기 실질 소매가격으로 전환하였고 이를 RPBR로 나타냈다. 확률적 교란항 간의 자기상관을 치료 하기 위한 방법으로 AR(1)을 설명변수로 추가하였다.

수요함수의 TSLS추정에 사용된 도구변수들은 수요함수에서 가격변수를 제외한 상수항과 소득이 포함되었고 수요함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공급 함수의 설명변수 사료가격이 포함되었다.

변수 추정 값 t-값

C 15.91138 4.335013***

LRPBR -1.056900 -2.172870**

LGNP 0.436026 4.535732***

AR(1) 0.465356 1.448700

표 5-4. 쇠고기 수요함수 추정 결과

주: ***와 **, *은 유의수준 1%, 5%, 10%에서 유의함을 의미한다.

쇠고기 수요함수 추정 결과, 가격과 소득에 대한 계수 값의 부호가 모두 경제이론과 부합하는 것으로 나왔고 유의성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쇠고기 자체가격탄력성은 -1.0569로 나타나 가격변화에 대한 수요변화가 탄력적 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득탄력성은 0.436으로 나타났다.

쇠고기 공급량은 도축두수에 의해 결정되고 도축두수는 사육두수에 의 해 결정된다. 또한, 사육두수는 산지가격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때 올해의 산지가격뿐만 아니라 전기의 산지가격 또는 2년 전의 산지가격까지도 영 향을 미친다. 따라서 소 산지가격의 전기가격과 올해가격의 평균가격에 생

산자물가지수로 디플레이트한 평균가격을 이용하였다. 또한, 사육두수를 전체 암소사육두수와 1세 이상 암소사육두수(NBFA), 2세 이상 암소사육 두수(NBFO)로 나누어 추정하였다. 도구변수로는 가격변수를 제외한 공급 함수에 사용된 설명변수들을 포함하고 여기에 수요함수의 소득, 대체재 가 격(돼지고기 실질 소매가격) 등을 사용하였다.

변수 추정 값 t-값

C -11.80868 -3.907898***

LNBFO(-2) 1.113128 7.402241***

LWPBF 0.438808 3.624293***

LFEED 0.380307 2.554858**

표 5-5. 쇠고기 공급함수 추정 결과

주: *****, *은 유의수준 1%, 5%, 10%에서 유의함을 의미한다.

또한, 2년 전 2세 이상 암소 사육두수를 설명변수에 포함하여 쇠고기 공 급함수를 추정한 결과, 사육두수와 전기와 올해 소 산지가격의 평균가격, 사료가격변화에 대해 모두 +의 관계로 나타났다. 추정결과를 보면, 전기와 올해의 평균 산지가격이 1% 상승하면 쇠고기 공급량은 0.438808%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 추정 값 t-값

C 10.89150 18.99790***

LRPPR -0.391908 -4.754152***

LGNP 0.394626 14.27620***

AR(1) 0.538526 3.680229***

표 5-6. 돼지고기 수요함수 추정 결과

주: ***와 **, *은 유의수준 1%, 5%, 10%에서 유의함을 의미한다.

돼지고기 수요함수를 추정하기 위해서 돼지고기 실질 소매가격과 소득 을 설명변수로 포함하였다. 돼지고기 수요함수에 대한 자체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을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log-log모형을 이용하였다. 도구변수 로는 상수항과 소득과 사료가격을 사용하였다. 또한, 확률적 교란항 간의 자기상관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AR(1)을 설명변수로 추가하였다. 돼 지고기 수요함수 추정 결과, 돼지고기 실질 소매가격이 1% 상승할 때 돼 지고기 수요량은 0.39190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고기 공급량은 도축두수에 의해 결정되고 도축두수는 사육두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사육두수는 산지가격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때 올해 의 산지가격뿐만 아니라 전기의 산지가격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돼지 산지가격의 전기가격과 올해가격의 평균가격에 생산자물가지수로 디플레 이트한 평균가격을 이용하였다. 또한, 사육두수를 전체 돼지사육두수와 6 개월 이상 돼지사육두수(NPFA), 8개월 이상 돼지 사육두수(NPFO)로 나누 어 추정하였다. 도구변수로는 가격변수를 제외한 공급함수에 사용된 설명 변수들과 수요함수의 소득, 대체재 가격(돼지고기 실질 소매가격)을 사용 하였다. 추정결과, 산지평균가격이 1% 상승할 때, 돼지고기 공급량은 0.11249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 추정 값 t-값

C -1.685186 -1.950436*

LNPFO 0.270618 1.331093

LNPFO(-1) 0.770399 5.552765***

LWPPF 0.112498 1.122193

표 5-7. 돼지고기 공급함수 추정 결과

주: ***와 **, *은 유의수준 1%, 5%, 10%에서 유의함을 의미한다.

실제 분석에서 사용한 탄성치는 다음과 같다. 쇠고기 수요의 가격탄성치 는 -0.5, -1.0, -1.5를 고려하였고 공급의 가격탄성치는 0.2, 0.5, 1.0을 고려

하였다. 돼지고기 수요의 가격탄성치로는 -0.2, -0.5, -1.0을 고려하였고 공 급의 가격탄성치는 0.1, 0.3, 0.5를 고려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