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청소년의 전통음악활동과 자아정체감

이 표에 제시하였듯이 주효과는 F=8.440으로서 1%수준에서 참가유무에 따라 자 아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공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 즉 전통음악활동에 참가하는 집단이 참가하지 않는 집단보다 자아정체감을 다르게 지각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이다.

(1) 청소년의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와 안정성

<표 9>는 청소년의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라서 안정성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표 9.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안정성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비교

구분 평균 표준편차 사례수

참 가 비참가 전 체

2.9045 .4137 292 2.8152 .3947 274 2.8613 .4067 566

<표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통음악활동 참가자 집단(M=2.90)이 비참가 집단 (M=2.82)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표 10>은 공변인을 투입하여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안정성의 차이에 대한 공변량분석 결과이다. <표 10>에 의하면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안정성의 차이에 대한 공변량분석 결과이다. 이 표 에 제시하였듯이 주효과는 F=4.171로서 5%수준에서 참가유무에 따라 안정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되는 공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라 안정성을 다르게 지각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 이다.

표 10.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안정성의 차이에 대한 공변량분석

표 12.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목표지향성의 차이에 대한 공변량분석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표 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통음악활동 참가자 집

표 15.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대인역할기대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 비교

(5) 청소년의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와 자기수용

주효과는 F=10.915로서 0.1%수준에서 참가유무에 따라 자기수용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공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음악활동 참 가유무에 따라 자기수용을 다르게 지각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이다.

(6) 청소년의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와 자기주장

<표 19>는 청소년의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라서 자기주장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표 19,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자기주장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비교

구분 평균 표준편차 사례수

참 가 비참가 전 체

2.9240 .3965 296 2.8631 .3427 272 2.8948 .3727 568

위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통음악활동 참가자 집단(M=2.92)이 비참가 집단(M=2.86)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표 20>은 공변인을 투입하여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 에 따른 자기주장의 차이에 대한 공변량 분석결과이다.

<표 20>에 의하면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자기주장의 차이에 대한 공 변량분석 결과이다. 이 표에 제시하였듯이 주효과는 F=4.903로서 5%수준에서 참 가유무에 따라 자기주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공변인 역시 모교육수준에서 5% 수준에서 통계적 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 라 자기주장을 다르게 지각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이다.

표 20. 전통음악활동 유무에 따른 자기주장의 차이에 대한 공변량분석

표 22. 전통음악활동 유무에 따른 자기존재의식의 차이에 대한 공변량분석

<표 24>는 공변인을 투입하여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대인관계의 차

는 자원으로 전달되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안정성, 목표지향성, 독특성, 자기수용 그리고 자기주장 등 자아정체감이 갖는 여러 요인들에서의 전통음악활동 비참가자보다 높게 나타남으로서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해주는 실증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