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자아정체감과 평가적지지

<표 36>은 자아정체감이 평가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 회귀분 석의 결과이다.

표 36. 자아정체감이 평가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 회귀분석 변 인 B SE B Beta T Sig T 대 인 관 계 .105 .091 .063 1.148 .252 대인역할기대 .130 .082 .090 1.584 .114 독 특 성 .026 .087 .016 .297 .766 자 기 수 용 .301 .089 .179 3.363 .001 안 정 성 .065 .095 .038 .688 .492 목표 지향성 .043 .105 .023 .410 .682 자 기 주 장 -.270 .074 -.214 -3.637 .000 자기존재의식 -.402 .086 -.258 -4.656 .000 상 수 3.682 .405 9.087 .000 MR = .339 R² = .115

F = 5.986 Signif F = .000

이 표에 의하면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수용은 0.1%수준에서 통계적 으로 정적인 유의함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자기주장과 자기존재의식은 부적인 유 의함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전체변량의 상대적 설명력은 11.5%(R²=.115)나타내 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자아정체감 수준이 사회적 지지를 높혀주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이다. 또한 자기수용의 정체감 수준이 높을수록 평가적 지지 를 높게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자기주장과 자기존재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평가 적 사회적 지지는 낮게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3) 자아정체감과 소속감지지

<표 37>은 자아정체감의 하위변인인 소속감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 중다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이 표에 의하면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 과를 보여주고 있다.

표 37. 자아정체감이 소속감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 회귀분석 변 인 B SE B Beta T Sig T 대 인 관 계 .049 .066 .042 .734 .464 대인역할기대 .048 .060 .048 .802 .423 독 특 성 .061 .063 .053 .962 .337 자 기 수 용 .200 .064 .171 3.115 .002 안 정 성 -.156 .070 -.128 -2.248 .025 목표 지향성 -.092 .074 -.071 -1.252 .212 자 기 주 장 -.069 .054 -.078 -1.283 .200 자기존재의식 -.180 .063 -.162 -2.872 .004 상 수 3.742 .290 12.908 .000 MR = .275 R² = .076

F = 3.757 Signif F = .000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수용은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정적인 유의함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안정성과 자기존재의식은 부적인 유의함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전체변량의 상대적 설명력은 7.6%(R²=.076)을 나 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자아정체감 수준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이다. 또한 자기수용의 정체감 수준이 높을수록 소속감 지지를 높게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안정성과 자기존재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소 속감 지지는 낮게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4) 자아정체감과 자존감지지

<표 38>은 자아정체감의 하위변인인 자존감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 중다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이 표에 의하면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 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수 용과 자기주장은 0.1%수준에서, 자기존재의식은 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수용과 자기주장은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자기존재의식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변 량의 상대적 설명력은 19.9%(R²=.199)로 나타났다.

표 38. 자아정체감이 자존감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 회귀분석 변 인 B SE B Beta T Sig T 대 인 관 계 .078 .043 .098 1.818 .070 대인역할기대 .036 .039 .050 .911 .363 독 특 성 .048 .041 .061 1.177 .240 자 기 수 용 .169 .042 .208 4.036 .000 안 정 성 .044 .044 .054 1.005 .315 목표 지향성 .062 .048 .070 1.304 .193 자 기 주 장 .126 .035 .208 3.649 .000 자기존재의식 -.105 .040 -.142 -2.630 .009 (상 수) 1.818 .187 9.700 .000 MR = .446 R² = .199

F = 11.100 Signif F = .000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자아정체감 수준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이다. 또한 자기수용과 자기주장이 높을수록 자존감 지 지를 높게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자기존재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자존감 지지를 낮게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5) 자아정체감과 전체 사회적지지

<표 39>는 자아정체감의 하위변인인 전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이 표에 의하면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자기 수용, 자기주장은 0.1%수준에서, 자기존재의식은 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수용은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자기존재 의식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를 설명하는 전체변량의 상대적 설명력도 12.5%(R²=.125)로 나타났다.

표 39. 자아정체감이 전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 회귀분석 변 인 B SE B Beta T Sig T 대 인 관 계 .088 .060 .085 1.465 .144 대인역할기대 .056 .055 .061 1.015 .311 독 특 성 .031 .058 .030 .535 .593 자 기 수 용 .276 .060 .261 4.645 .000 안 정 성 -.047 .064 -.042 -.735 .463 목표 지향성 5.773E-04 .070 4.874E-04 .008 .994 자 기 주 장 -.112 .048 -.142 -2.320 .021 자기존재의식 -.233 .058 -.237 -4.048 .000 (상 수) 3.285 .266 12.356 .000 M R = .353 R² = .125

F = 5.937 Signif F = .000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자아정체감 수준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이다. 또한 자기수용과 높을수록 자존감 지지를 높게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자기주장과 자기존재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전반적 사회 적 지지를 낮게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