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2) 자아정체감의 구성요인

1) 자아정체감의 개념

청소년기에 형성해야할 발달과업 중에 “자아정체감(ego-identity)”이 있다. 이

‘아이덴티티’ (identity)란 말을 우리말로 옮길 때 정황에 따라 동일성, 주체성, 자 기 정의, 존재 증명 등 여러 가지로 번역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서봉연(1975)의 집중적인 연구 이후, ‘정체감’으로 쓰여지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자아정체감’으로 번역이 된 'ego identity'의 어원을 살펴보면 identity란 말은 라틴어 identitas에서 유래된 것으로 ‘전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그 사람에 틀림없는 본인이다’, ‘그것의

6) 김성곤(1989). “중학생의 의식구조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p.30

자기자신’, ‘정체’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7)

이 용어는 Erikson이 1950년대에 정신분석학적 자아심리학의 기본개념으로 처 음 사용한 이래 정신의학, 심리학, 교육학 등의 분야에서 폭넓은 의미로 도입되어 인간이해의 한 개념적 틀로 발전되었다. Erikson8)은 개인을 사회 속에서 바라보 는 심리 사회학적 접근을 하였는데 그에 의하면 정체성이란 자기의 연속성, 단일 성 혹은 독자성이고 또 이와 같은 개인의 동일성에 대한 의식적인 감각이라고 하 였다. 또한 성취와 같이 완성되는 것이 아니며 고정적이거나 불변하는 것도 아닌 즉, 사회적 현실 속에서 끊임없이 개선되어 가는 자신에 대한 현실감으로 보았으 며, 일생 동안의 계속적인 발달로 보았다. 이 정의를 토대로 자아정체감의 의미를 동질성과 연속성을 가진 존재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신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사람임을 경험하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Erikson(1968)의 자아정체감은 자아지 각의 안정성, 통합, 재인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일치감을 통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아 정체감을 확립한다는 것은 나는 누구이 며, 앞으로 무슨 일을 하고 싶고, 나의 가치관은 무엇인가에 관한 나름대로의 해 답을 얻는 것이다. 즉 ‘나는 누구인가?’, ‘…로서의 자기’를 수시로 선택하기 위하 여 자신에게 질문하고 그것들을 통합하면서 구체적인 대답을 발견하는 것을 뜻한 다.

또한 Erikson은 그 정체감을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으로 나누어 말하고 있다9). 객관적 측면은 심리 사회적 정체감으로서 자기가 관계되어 있는 집단과 사회에 대한 일치성을, 주관적 측면은 개별적 정체감으로서 시간의 경과 속에서도 자기의 동질성과 연속성을 자각함과 동시에 자기의 동질성과 연속성을 타인이 인 식한다는 사실의 자각을 뜻한다. 개인적 정체감이란 시간이 흐르거나 상황이 바뀌 어도 자기자신이 여전히 동일한 존재로서의 자기자신임을 인식하는 것이라 했다.

7) 박아청(1995). 「아이덴티티의 탐색Ⅱ」, 중앙적성출판사, p.21

8) E. H. Erikson(1968), Identity :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p.219 9) E. H. Erikson(1965), "Identity," psychosocial i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social

science, (Mcmillan Company & press) Vo.7, p.61-65.

이에 비해 자아정체감이란 것은 개인적 정체감보다도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즉 자아정체감은 자기자신이 동질적인 존재라고 하는 사실 자체에 대한 단순한 인식 이상의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Erikson(1968)이 지적한 것처럼 자아정체감이 란 다르게 표현하자면 자기존재의 동질성과 독특성을 지속하고 고양시켜 나가는 자아의 자질(ego-identity)인 것이다. Erikson(1968) 이외에도 많은 연구자들이 정 체감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시도하여 왔는데, 자아정체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argaret10)은 ‘자신의 독특성에 대한 비교적 안정된 느낌을 갖는 것인데 즉 그것은 행동이나 사고 혹은 느낌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자신에게 친숙 한 것으로써 내가 누구인가를 아는 것이며, 이러한 자기 인식은 나를 보는 타인의 방식과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개인의 자아정체감 을 첫째, 인간성: 자신이 인간이라는 느낌. 둘째, 성별: 남성 혹은 여성이라는 느 낌. 셋째, 개체성: 자신이 특별하고 독특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 넷째, 계속성: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사람이라는 인식의 네 개의 차원으로 분류하여 정의하였다.

Dignan11)은 자아 내에서의 갈등 즉 정체감과 역할혼미간의 갈등을 강조하는 심리 사회적 입장을 취하여 ‘자아 정체감이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 발달 된 것으로 자기를 묘사해주는 자기상들의 복합체이며 生來的으로 미리 짜여진 어 떤 機制에 의해서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성장과정의 대인관계에서 자기를 비추어 볼 수 있는 대상에서 추출되고 통합된 자기상 이라고 정의하고 그 구성요인을 자기의 감각, 독자성, 자기수용, 역할기대, 안정성, 목표지향성, 대인관계로 구정하 고 있다.

Waterman12)에 의하면 지금까지 개발된 정체감 측정 도구들은 다음과 같은 것 10) A. L. Margaret(1985). Adolescence,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Inc., p.1.

11) S. M. H. Dignan(1965), "Ego Identity and Mater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1, No. 5, p.476-483.

12) A.S.Waterman(1982), Identity development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An extension of theory and a review of research. Developmental Psychology. V.o1.18,

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자기 정의의 명백한 인식, 목표, 가치, 신념에 대한 관여 (commitment), 관여의 시행을 위한 직접적인 활동, 정체감 선택의 다양한 범위에 대한 고려, 자기 수용의 범위, 개인적인 독특성, 자기 미래에 대한 확신 등이다.

Marcia13)는 자아정체감을 여러 가지 충동, 능력, 신념 및 개인의 생활사 등의 자 체 발생적인 내적, 역동적 체계인바, 이는 곧 자기구조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개인의 자기 구조는 정적인 개념이 아니고 동적 개념으로 파악되므로, 자 기구조로서의 자아정체감의 발달은 자기통합성을 이룩하려는 심리기능들이 역동 적으로 체계화되어 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서봉연14)과 김성태15)는 자아정체감에 대하여 각각의 자기가 지니는 고유성 즉

‘자기다움’과 그에 부합되는 자기통합성과 일관성을 견지해 나가려는 ‘의식과 무의 식적인 노력’이라고 하였으며 또한 ‘자기 주체성’으로서 자기자신이 분리되어 있고 통일성이 있으며 계속 일관성이 있는 존재라고 보아 이를 확고히 지니게 되면 인 간관계와 자기자신의 특질 및 고유성 그리고 소임을 정당하게 파악하여 행동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자아정체감이란 개인이 자기가 내면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기 주체성과 다른 사람들과는 다른 본질적 특성 그리고 성격의 연속성을 유지하려는 의식적․무의식적인 노력이라고 정의하였다.

2) 자아정체감의 구성요인

Erikson16)에 의하면 자아정체감의 발달은 출생 초기부터 시작되어 일생동안 계속되는 과정으로 스스로 정체의식을 느끼기 시작하는 것은 청년기이며 이때 자

No.3, 341-358.

13) J. E. Marcia, (196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identity stat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 551-558.

14) 서봉연(1975). “자아정체감 형성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61

15) 김성태(1981), 『발달 심리학』, 법문사, p.251

16) E. H. Erikson(1963), 『아동기와 사회(Childhood and Society)』, 윤진. 김인경 역(1968), 중앙적성출판사, p.285-314.

신의 존재, 사회적인 역할, 자신의 목표와 스스로의 운명을 통제한 의도와 힘 등 을 의식하게 된다고 한다. 자아정체감은 가정에서 시작하여 개인이 접촉하고 확대 해 가는 사회적 대인관계에서 상호작용을 통하여 그들의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 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성격의 발달단계를 유아기, 유아동기, 취학전기, 학동기, 청년기, 성인초기, 성인기, 성숙기의 여덟 단계로 나누었다. 각 단계에는 이 시기 에 발달 형성되는 생리적 감성과 개인에게 부여되는 사회적 발달과제가 있다고 했으며, 그에 따른 긍정적․부정적 발달 특징을 기술하고 있다.

김형태(1989)는 Erikson이론의 각 단계별 특징 및 공통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 하고 있다. 첫째, 각 단계마다 발달 과업과 위기가 있고 그에 따른 결정적 시기가 있으며, 둘째. 각 단계의 발달 과업과 위기는 대립되는 인격 특성으로 나타나며, 셋째, 각 단계의 위기 해결은 그 단계의 상호 대립되는 인격 특성의 연속적인 균 형을 유지함으로서 해결되는 것으로 각 단계 특성 중 긍정적 측면만 강조하고 부 정적 측면을 배제할 때엔 발달 장애가 일어나며, 넷째, 각 단계에서의 발달 위기 의 해결은 다음 단계로의 순조로운 이행과 전체적인 발달의 가능성을 뜻하며, 다 섯째, 인간은 모두 각 단계의 발달 과업을 스스로 성취하려는 동기를 갖는다고 하 였다. Erikson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역할과업인 정체감 성취의 정도를 정체감 혼미(identity confusion)와 정체감 성취(identity achievement)로 개념지었다. 즉, 정체감 성취과업에 대해 관여의 대상이 너무 많고 실험적 시도의 변화가 너무 빈 번하여 자신의 존재와 자기가 추구해 나갈 가치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을 때, 정 체감 혼미를 겪게 된다. 그는 정상적인 발달에 있어서도 이시기에 정체감 위기가 도래하는 이유를 id, ego, super ego의 깨어진 균형을 ego가 재통합하지 못했거나 동일시의 재통합 과정에서 겪게 되는 갈등을 극복하지 못할 경우에 직면하게 되 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자아정체감이 위기를 맞는 경우는 여러 가지로 설 명된다. 친구와의 교분이 깨지거나 라이벌 관계 및 이성관계에 문제가 생길 때.

자신의 미래에 대한 분명한 전망이 없을 때. 그리고 자신감을 갖게 되는 근거로써 자기 자신의 가치관들을 찾게 될 때에도 발생한다고 하였다. 또한, 자기가 자기를

보는 관점이나 자신의 이상향과 현재 자신의 모습,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보는 관점이나 자신의 이상향과 현재 자신의 모습,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