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표 2. 전통음악활동 참가 유무

2) 측정도구

(1) 자아정체감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Dignan(1965)의 Ego-Identity Scale을 서봉연(1975)이 번안하여 사용한바 있는 자 아정체감 척도이다. 이 측정도구는 지각된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폭넓게 사용되는 것으로 안정성, 목표지향성, 독특성, 대인역할 기대, 자기수용, 자기주장, 자기존재의식, 그리고 대인관계 등 8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 측정도 구에 대한 Cronbach's α 계수는 .83으로 신뢰할 만한 측정도구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요인별로 각각 척도의 총점과 문항간의 상관계수 를 산출한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자아정체감 측정도구에 대한 확인적 신 뢰도 분석 결과 Cronbach's α= .566- .845로 나타나 비교적 신뢰로운 설문지로 판단되었다.

(2) 사회적지지

사회적 지지의 측정은 Cohen과 Hoberman(1983)이 사용한 대인관계 지각 질문 지로서 지각된 기능적 지지의 가용성을 광범위하게 측정하도록 고안된 설문지이 다. 이 연구에서는 이 사회적지지 설문지를 김정희와 이장호(1987)가 번안하여 표 준화시킨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는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 자존감 및 소속감 지 지의 4개 하위변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하위변인별 신뢰도 계수는 .69-.84로 나타나 신뢰할 만한 설문지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 측정도구는 Likert형 5점 평정 척도로 평정되어 높은 점수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높다고 해석된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확인적 신뢰도는 Cronbach's α=.655-.92의 범위로 신뢰 할 수 있는 설문지로 판단된다. 질문지의 하위척도별 신뢰도 계수는 <표 4>에 나 타나 있다. 본 연구의 설문지에서 사용한 각 변인의 하위 영역별 문항 구성과 문 항수는 다음 <표 4>와 같다.

표 4.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별 문항구성 및 문항수

료를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6.1버전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전 산 처리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변량분석(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자아정체감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전통음악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넷째, 자아정체감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해 표준 중다 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