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창조산업과 연계한 내생적 발전체계 확립

창조산업 집적지와 연계한 지역발전전략

1) 창조산업과 연계한 내생적 발전체계 확립

창조산업은 개인의 창조성을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에 맞는 다양한 유무형의 상품을 생산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개인의 창조성에서 시작하여 예술, 문화, 사회 등 각 영역에서 유무형의 창조적 아이디어가 거래되고 있는 것이다. 창조성이 라는 개념이 새로울 것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새롭게 부각되는 이유는, 새로운 가치와 부를 창조하기 위해서 다양한 이종 산업들이 결합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발전의 측면에서 볼 때, 창조산업은 신규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의 매력도 를 향상시키는 등 새로운 경제활동의 출현을 가능케 하여 쇠퇴지역의 경제를 부흥시킬 수 있다는 수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많은 지역에서 역사문화유적, 문화․관광인프라 및 서비스, 산학연 연계, 자연자원과 문화자원 간의 연계를 촉진

72

창조산업 집적현황과 지역연계전략

하는 등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창조경제 및 창조산업은 기존 경제정책에서 추구했던 일방식, 하향식의 방식에 서 벗어나 해당 지역이 자발적으로 경쟁우위에 있는 산업분야를 발굴하여 지역의 성장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창조적 고부가가치 상품을 생산하고, 유통,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이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경제구조는 유형 상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것이 주목적이었기에, 지역의 대응전략도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물적 기반 확충, 치적사업 성격의 사업이 많았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그림 5-1> 창조산업 가치체인

자료 : UNCTAD, 2010, p.78

따라서 창조성, 창조산업과 관련된 정책 및 지원방안은 각 지역에서 잠재력을 보유한 지역자산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지역은 지역이 갖고 있는 창조산 업에 대한 강약점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의 경제발전 및 사회통합에 기여한 방향으로 육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별로 특색있는 창조산업과 연계하여 내생적 발전의 바탕을 마련하는 새로운 지역 성장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역 차원에서는 다른 국가, 다른 지역에서 시도되지 않은 독창적 주제와 소재를 발굴․활용하여 창조적 아이디어를 통해 상품화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현재 각 지역이 처한 현실을 냉철하 게 파악하고, 구호성 창조산업 육성이 아니라 지역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지역기반형 창조산업 육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역의 창조산업을 통한 전략적 공간발전전략의 수립이 시급히 요구되는 것이다.

제 5 장 창조산업 집적지와 연계한 지역발전전략

73

2) 창조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및 신공간 창출

창조산업은 개인의 창조적 아이디어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창조성의 발현은 관련 상품으로 나타난다. 창조적 상품을 구매하고 향유하려는 소비자들은 이러한 상품들을 통해 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게 되며,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확대․재생산된다. 창조적 상품들의 특징은 지속해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수확체 증형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창조적 상품의 생산자와 소비자는 상호이해가 맞아떨어지는 교차지점에서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교차지점이 실제 공간이든, 가상의 공간이든 이들간의 이해관계와 니즈의 공유는 창조산업 발전에 필수적 요인이 되고 있다.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정식으로 출시하기 전 사용자들로 하여금 베타테스트를 하는 것은 소비자의 욕구와 기업역량의 괴리를 채우기 위함이다. 그 중 클로즈 베타는 게임, 프로그램 등 콘텐츠 생산자와 소비자가 대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더욱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계기로 삼고 있다. 상품 생산자는 소비자와의 니즈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비자는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해관계가 맞는 상호교차점에서 만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 제도는 생산, 지원, 교류기능을 분리함으로써 창조적 아이디어가 교환을 충분히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산업입지법에서는 산업단지 내에 공장과 더불어 문화산업, 지식산업, 정보통신산업 등의 입주를 허용하고 있으나 이들 개개 산업의 법률적 정의가 불명확하여 실제 현장에서 혼선이 초래되고 있다. 또한 기업활동 지원을 위한 기술시험․검사․인증 시설, 공동장비센터, 산업진 흥기관 등 주요 시설의 경우에도 산업시설용지가 아닌 지원시설용지 등에 입주하 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서 지역차원에서는 창조산업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접근 및 참여방식을 다양화할 수 있는 신공간 창출이 필요하다. 지역은 관련 산업의 인재를 육성하고 필요한 인재를 공급할 수 있는 기반마련과 함께, 창조산업 집적지를 활용한 창조적 신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일반 대중 누구나 활용할 수

74

창조산업 집적현황과 지역연계전략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