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문서에서 장자 글쓰기와 그 활용 연구 (페이지 181-186)

1. 원서

郭慶藩 撰, 『莊子集注‧上中下』, 中華書局, 2008.

國學整理社 著, 『諸子集成‧第3冊(老子道德經)』, 中华书局, 1954.

劉勰 著, 詹鍈 義證, 『文心雕龍義證』, 上海古籍出版社出版, 1989.

司馬遷, 『史記』, 中華書局, 1982.

呂不韋 著, 陸游 評, 凌稚隆 批, 『呂氏春秋』, 中國子學名著集成編印基金會, 1978(民國 67).

王夫之 撰, 曾國藩 校, 『莊子解與莊子通』, 中國子學名著集成編印基金會, 1978(民國67).

王先謙 著, 『莊子集解』, 三民書局, 1974(民國63).

王充 原著, 袁华忠‧方家常 譯註, 『論衡全譯‧上中下』, 貴州人民出版社, 1993.

莊周 原著, 張耿光 譯注, 『莊子全譯』, 貴州人民出版社, 1994.

趙岐 註, 孫奭 疏, 『孟子註琉』, 中國子學名著集成編印基金會, 1978(民國67).

曹礎基, 『莊子淺注』, 中華書局, 1982.

陳鼓應, 『老子今注今譯』, 商务印书关, 2009.

陳鼓應, 『莊子今注今譯‧上下冊』, 商务印书关, 2007.

焦竑 撰, 『莊子翼‧上下』, 中國子學名著集成編印基金會, 1978(民國67).

許愼 撰, 段玉裁 注, 『說文解字注』, 天工書局, 1987(民國76).

2. 단행본

刘生良, 『鵬翔無疆—《莊子》文學硏究』, 人民出版社, 2004.

吳光明, 『莊子』, 東大圖書公司, 1988(民國77).

張伯偉, 『中國古代文學批評方法硏究』, 中華書局, 2002.

章太炎, 『国故论衡』, 上海古籍出版社,2003.

程兆熊, 『道家思想, 老莊大義』, 明文書局, 1985(民國74).

陳桂 著, 『中國散文史』, 臺灣商務印書館, 1975(民國64).

陳鼓應, 『老莊新論』, 商务印书馆, 2008.

蔡宗陽, 『莊子之文學』, 文史哲出版社, 1983(民國72).

崔大華, 『莊學硏究』, 人民出版社, 1992.

憨山 지음, 오진탁 옮김, 『감산의 莊子 풀이』, 서광사, 1990.

강신주, 『장자의 철학』, 태학사, 2004.

공자 지음, 김원중 옮김, 『논어』, 휴머니스트, 2019.

구인환, 『국어 용어사전』, 신원문화사, 200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김성일, 『고사성어 대사전』, 시대의 창, 2013.

김용규, 『설득의 논리학』, 웅진지식하우스, 2020.

김욱동,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2.

김월회 외, 『중국의 지식장과 글쓰기』, 소명출판, 2011.

김진환, 『상담학 사전』, 학지사, 2016.

김창환, 『장자(내편)』, 을유문화사, 2010.

김학주, 『중국문학사』, 신아사, 2005.

김항배, 『莊子哲學精解』, 불광출판사, 1992.

魯迅 지음, 홍석표 역, 『한문학사강요』, 선학사, 2004.

데일 카네기, 이문필 편역,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베이직북스, 2018.

두산동아 사서편집국, 『百年玉篇』, 두산동아, 2005.

박삼수, 『장자』, 문예출판사, 2018.

박성창, 『수사학』, 문학과지성사, 2017.

서경호, 『중국 문학의 발생과 그 궤적』, 문학과지성사, 2003.

徐復觀, 權德周 외 옮김, 『중국예술정신』, 동문선, 199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1999.

쇼펜하우어, 김재혁 옮김, 『논쟁에서 이기는 38가지 방법』,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아리스토텔레스, 이종오 옮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 판원, 2016.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옮김, 『수사학/시학』, 숲, 2019.

안병주・전호근 공저, 『역주 장자1』, 전통문화연구회, 2008.

야마구치 슈, 김윤경 옮김,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다산북스, 2019.

杨照, 문현선 옮김, 『장자를 읽다』, 도서출판 유유, 2015.

杨照, 박다짐 옮김, 『이야기하는 법』, 도서출판 유유, 2019.

에드워드 P.J 코벳・로버트 J. 코너스, 홍병룡 옮김, 『한권으로 배우는 수사학』, 디씨티 와이북스, 2020.

오강남 풀이, 『장자』, 현암사, 2006.

王凱, 신정근・강효석・김선창 옮김, 『소요유, 장자의 미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5.

王夢鷗, 이장우 역, 『중국 문학의 종합적 이해』, 태양사, 1978.

王博 지음, 김갑수 옮김, 『장자를 읽다』, 바다출판사, 2007.

월터 J. 옹, 임명진 옮김,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2018.

劉笑敢, 최진석 역, 『장자철학』, 소나무 출판사, 1998.

이종오,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6.

James Crosswhite, 오형엽 옮김, 『이성의 수사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키케로, 안재원 옮김, 『수사학』, 도서출판 길, 2019.

티모시 보셔스, 이희복‧차유철‧안주아‧신명희 옮김, 『수사학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한국교육평가학회 편저, 『교육평가 용어사전』, 학지사, 2004.

3. 논문

강성조, 「『장자』적 글쓰기에 대한 연구」, 『도교문화연구』 제29집, 2008.

강옥희, 「창의성과 비판적인 사고능력 개발을 위한 고전읽기 수업방안 연구—문학토론 을 통한 ‘명저읽기’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10권(4), 2016.

고지영, 「「소요유」에 나타난 장자의 논리적 글쓰기—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기준 으로」, 『동서비교문학저널』 제51호, 2020.

고지영, 「『莊子』에 나타난 관계와 설득 방법—「인간세」를 중심으로」, 『한중인문 학연구』 제68집, 2020.

고지영, 「『장자·내편』의 문학적 글쓰기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고지영, 「莊子의 글쓰기를 통한 논증 교육—「養生主」와 생략 삼단 논법을 중심으로」,

『중국인문과학』 제74집, 2020.

김갑수, 「현대 중국의 도가(道家) 연구 경향 분석과 평가(1988—1997)」, 『시대와 철 학』 제22권(4), 2011.

김권환, 신정근, 「『장자』에서의 ‘호접지몽’ 우화 해석에 관한 연구」, 『철학논집』 제

42집, 2015.

김상래, 「『莊子』비유법에 대한 철학적 고찰」, 『온지논총』 제54집, 2018.

김상희, 「논증적 글쓰기의 수사학적 접근—에토스와 파토스의 표현 기술을 중심으로」,

『수사학』 제14집, 2011.

김성태, 「『장자』의 언어관」, 『철학』 제45집, 1995.

김수경, 박혜정, 「고전읽기를 통한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실제」, 『리터리시연구』 제 17호, 2016.

김월회, 「『論語』와 『老子』의 글쓰기 분석-논증방식을 중심으로 고찰」, 『중국문 학』 제51집, 2007.

김월회, 「말 닦기와 뜻 세우기[修辭立其誠](1)—고대 중국인의 수사 담론과 그 저변」,

『동아문화』 제43호, 2005.

김월회, 「稷下學宮과 戰國時代의 글쓰기—『荀子』와 『莊子』를 중심으로」, 『중국문 학』 제55집, 2008.

박소정, 「『장자』와 신화적 글쓰기」, 『철학연구』 제61집, 2003.

박소정, 「해외 장자 연구의 쟁점과 우리의 철학적 과제」, 『동양철학』 제34집, 2010.

邦忠原, 「『장자』의 수사법 연구」,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백승도, 「언어와 사유—제자백가의 언어인식에 관한 일고찰」, 『중국어문학논집』 제 19호, 2002.

송병우, 「한자 유의어 연구의 필요성과 효용적 가치」, 『동양한문학연구』 제28집, 2009.

심규호, 「중국문학에서 글쓰기의 문학적, 사회적 의미에 대한 연구」, 『중국어문논역총 간』 제10집, 2002.

안정훈, 「莊子의 거짓말 혹은 패러디: 『莊子』 重言에 등장하는 孔子에 대한 고찰」,

『중국소설논총』 제44집, 2014.

오태석, 「장자의 꿈—초월‧해체‧역설의 글쓰기」, 『중국어문학지』 제45집, 2013.

오태석, 「중국 문학예술의 초월적 시공간」, 『중국문학』 제105집, 2020.

윤주필, 「우언 글쓰기의 원리와 적용 자료의 범위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제28집, 2001.

이상현, 「마르틴 부버 ‘만남’ 철학의 교육적 함의」, 『교육철학』 제34집, 2008.

이시온, 「莊子의 言語思想 特徵 硏究」, 『인문과학』 제32집, 2002.

이정찬, 「논증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제10집(1),

2016.

이종오, 「표현술로서의 라미 수사학 연구」, 『국제지역연구』 제14권, 2010.

이택용, 「『장자』「인간세」에 대한 새로운 해석」, 『동양철학연구』 제70집, 2012.

이택용, 「장자 철학에서「양생주」의 함의에 대한 고찰」, 『동양철학연구』 제79집, 2014.

이황직, 「고전읽기를 통한 교양교육의 혁신」, 『독서연구』 제26호, 2011.

정인모, 허남영, 「고전읽기를 활용한 수업모형」, 『교양교육연구』 제7권(1), 2013.

조희정, 「고전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새로운 구도」, 『국어교육학연구』 제21집, 2004.

조희정, 「고전 리터러시의 ‘시공간적 거리감’ 연구」, 『국어교육』 제119권, 2006.

최석원, 「고전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중국 시문학 교육의 변화 모색」, 『중국학논총』

제63집, 2019.

황병기, 「『莊子·養生主』편에 나타나는 생명의 주인」, 『양명학』 제37호, 2014.

高柏園, 「『莊子人間世』的應世態度」, 『鵝湖月刊』 200期, 1992.

刀生虎, 「莊子的語言哲學及表意方式」, 『東吳哲學學報』 第12期, 2005.

林琳, 「莊學百年—二十世紀莊學硏究述評」, 山東大學碩士學位論文, 2010.

魏园, 「莊子之道的诗化言说方式」, 华东师范大学博士學位論文, 2013.

刁生虎, 王辰雨, 「當代莊学硏究的新進展—第二届莊子國際學術硏讨會綜述」, 『甘肃广播 电视大学学报』 第27卷, 2017(第4期).

包兆会, 「二十世纪『莊子』研究的回顾與反思」, 『文艺理论研究』, 2003(2期).

项名健, 「『莊子』虚拟疑问句的认知修辞学研究」, 浙江大学博士學位論文, 2017.

4. 인터넷 자료

네이버 영어사전 (출처: 정영국, 조미옥, 『옥스퍼드 영한사전』, OXFORD, 2009) 우리말샘, https://opendic.korean.go.kr

中國知网, https://www.cnki.net

한국학술지인용색인, https://www.kci.go.kr

문서에서 장자 글쓰기와 그 활용 연구 (페이지 181-18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