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37 Abstract ···241

부 록 ···253 [부록 1] KEDI POLL 2019 조사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 ···253 [부록 2] KEDI POLL 차수별 조사내용 비교 ···259 [부록 3] 국외 교육관련 여론조사 조사 내용 ···267 [부록 4] 1-14차 설문 문항별 분류 ···285 [부록 5] KEDI POLL 2019 조사도구 ···297 [부록 6] 기존 문항 수정 및 신규 개발 내역 ···318 [부록 7] 배경변인별 분석 결과 ···378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9)

xxxi

-<표 Ⅰ-1> 14차 조사 설계 ···5

<표 Ⅰ-2> 차수별 총 문항 수 및 영역 ···6

<표 Ⅰ-3> 성・연령・지역별 표본 할당 결과 ···10

<표 Ⅰ-4> 조사 내용 ···11

<표 Ⅰ-5> 배경변인별 응답자 분포 ···11

<표 Ⅱ-1> 1~13차 조사까지의 KEDI POLL 개요 ···17

<표 Ⅱ-2> 13차 조사 분석 결과 요약 ···23

<표 Ⅱ-3> 2019 청소년 통계 조사 항목 및 수록 지표 ···28

<표 Ⅱ-4>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사회조사 중 교육 관련 내용 ···33

<표 Ⅱ-5> 문헌 분석을 통한 14차 조사 문항 선정 및 개발, 수정에의 반영 내용 ···50

<표 Ⅱ-6> 14차 조사도구 조사 영역 및 내용 ···54

<표 Ⅲ-1> 현 정부에서 앞으로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유・초・중등 교육정책(2018~2019) ··· 62

<표 Ⅲ-2> 현 정부에서 앞으로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고등교육정책(2019~2018) ···66

<표 Ⅲ-3> 현 정부에서 앞으로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평생・직업 교육정책(2019) ···69

<표 Ⅲ-4> 초・중・고등학교에 대한 평가(2019) ···72

<표 Ⅲ-5> 학교가 ‘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과제(2019~2016) ···74

<표 Ⅲ-6> 학교 선택 시 고려 사항(2018~2019) ···77

<표 Ⅲ-7> 초・중・고등학교 교육 내실화를 위한 과제(2008~2010, 2017~2019) ···80

<표 Ⅲ-8> 자녀의 조기유학에 대한 의견(2017~2019) ···81

<표 Ⅲ-8-1> 자녀의 조기유학에 대한 이유(2019) ···83

<표 Ⅲ-9>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네 가지 측면에 대한 의견(2018~2019) ···85

<표 Ⅲ-9-1> 우리나라 교육정책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측면(2018~2019) ···87

<표 Ⅲ-10> 정부의 교육신뢰회복 노력에 대한평가(2019) ···88

<표 Ⅲ-11> 교육분야 신뢰회복정책 중 더 중점을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2019) ···89

<표 Ⅲ-12> 국가교육위원회 역할 중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2019) ···90

<표 Ⅲ-13> 교사의 능력과 자질에 대한 신뢰 정도(2016~2019) ···93

<표 Ⅲ-14> 교사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능력(2018~2019) ···95

<표 Ⅲ-15> 교사자격증이 없는 초빙교사에 대한 의견(2018~2019) ···97

<표 Ⅲ-16> 자녀 직업으로서 교사 희망에 대한 의견(2011~2017, 2019) ···98 CONTENTS

표차례

<표 Ⅲ-17> 교원의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의견(2019) ···99

<표 Ⅲ-18> 학업 성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2017~2019) ···101

<표 Ⅲ-19> 학생의 인성 수준(2019) ···103

<표 Ⅲ-20> 학생이 좋은 인성을 갖도록 하는 영향 요인(2015~2019) ···104

<표 Ⅲ-21> 시민의식(민주시민성) 수준(2019) ···106

<표 Ⅲ-22> 학생이 민주시민성을 갖도록 하는 영향 요인(2018-2019) ···107

<표 Ⅲ-23> 학생의 민주시민성 제고를 위한 학교의 역할(2019) ···109

<표 Ⅲ-24> 학교폭력에 대한 의견 (2019) ···110

<표 Ⅲ-25> 학교폭력의 원인(2012~2019) ···111

<표 Ⅲ-26> 다문화학생 수용에 대한 의견(2019) ···112

<표 Ⅲ-27> 학교에서 가장 역점을 두어 길러 주기를 바라는 사항(2017~2019) ···115

<표 Ⅲ-28> 현재보다 더 중시해야 할 교과(2017~2019) ···117

<표 Ⅲ-29> 현재보다 강화되어야 할 교육내용(2017~2019) ···120

<표 Ⅲ-30> 미래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역량(2016~2019) ···123

<표 Ⅲ-31> 현 정부의 고등학교 관련 교육정책에 대한 의견(2017~2019) ···127

<표 Ⅲ-32>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 비중에 대한 의견(2019) ···129

<표 Ⅲ-33> 대학입학전형에서 가장 많이 반영되어야 할 항목(2011~2019) ···130

<표 Ⅲ-34> 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경쟁에 대한 전망(2011~2019) ···132

<표 Ⅲ-35> 교육재정이 가장 우선적으로 확대되어야할 학교급(2017~2019) ···134

<표 Ⅲ-36> 국가 재원의 우선적 투자 내용(2012~2019) ···137

<표 Ⅲ-37> 정부의 우선적 재정지원 항목(2015~2019) ···140

<표 Ⅲ-38> 학생 수 감소와 교육재정 규모에 대한 의견(2015~2019) ···142

<표 Ⅲ-39> 학령인구 감소시대 반드시 추진되었으면 하는 정책(2019) ···144

<표 Ⅲ-40> 돌봄정책 중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2019) ···146

<표 Ⅲ-41> 성인학습의 운영주체에 대한 의견(2019) ···148

<표 Ⅲ-42> 대학교육의 인재 양성 기능에 대한 평가(2015~2018) ···150

<표 Ⅲ-43> 대학이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해야 할 우선과제(2019) ···151

<표 Ⅲ-44> 대학교수의 교육기관 특성에 맞는 역할수행에 대한 평가(2015~2019) ···152

<표 Ⅲ-45> 사립대학 지원 확대에 대한 의견(2018-2019) ···15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9)

xxxiii

-<표 Ⅲ-47> 교육행정의 권한(2018~2019) ···159

<표 Ⅲ-48> 시・도교육감 직선제에 대한 의견(2013~2018) ···161

<표 Ⅲ-49> 2~3년 전과 비교한 사교육 실태 변화(1999~2001, 2017~2019) ···162

<표 Ⅲ-50> 사교육비 경감 효과가 가장 큰 정책(2011~2019) ···163

<표 Ⅲ-51> 사교육을 시키는 가장 큰 이유(1999~2001, 2017~2019) ···165

<표 Ⅲ-52> 자녀 사교육비 부담 정도(2017~2019) ···167

<표 Ⅲ-53> 자녀의 사교육과 관련한 생각(2019) ···169

<표 Ⅲ-54> 우리 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칠 미래 사회 변화(2016, 2019) ···171

<표 Ⅲ-55>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과제(2018~2019) ···173

<표 Ⅲ-56> 미래 학교에서 더 강조될 역할과 기능(2016~2019) ···175

<표 Ⅲ-57> 자녀의 학교교육 거부에 대한 학부모 태도(1999~2001, 2015~2018) ···179

<표 Ⅲ-58> 자녀교육 성공에 대한 관점(2010, 2015~2018) ···181

<표 Ⅲ-59> 자녀의 장래 생활에 대한 기대(2017~2019) ···183

<표 Ⅲ-60> 자녀에 대한 경제적 부담 시기(2018~2019) ···184

<표 Ⅲ-61> 대학졸업장 유무에 따른 차별의 심각성(2011~2019) ···186

<표 Ⅲ-62> 학벌주의에 대한 전망(2011~2018) ···188

<표 Ⅲ-63> 대학 서열화에 대한 전망(2011~2019) ···189

<표 Ⅲ-64-1> 교육이 경제적 부의 증대에 미치는 영향(2006~2008, 2010, 2017~2019) ···191

<표 Ⅲ-64-2> 교육이 사회적 지위 향상에 미치는 영향(2006~2008, 2010, 2017~2019) ···192

<표 Ⅲ-64-3> 교육이 심리적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2006~2008, 2010, 2017~2019) ···193

부 록

<표 1-1>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유・초・중등 교육정책(1순위) ···378

<표 1-2>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유・초・중등 교육정책(2순위) ···380

<표 1-3>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유・초・중등 교육정책(1+2순위) ···381

<표 2-1>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고등 교육정책(1순위) ···382

<표 2-2>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고등 교육정책(2순위) ···383

<표 2-3>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고등교육정책(1+2순위) ···384

<표 3-1>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평생·직업교육정책(1순위) ···385

<표 3-2>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평생・직업교육정책(2순위) ···386

<표 3-3>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평생・직업교육정책(1+2순위) ···387

<표 4-1> 초・중・고등학교 전반에 대한 평가 ···388

<표 4-2> 초등학교에 대한 평가 ···389

<표 4-3> 중학교에 대한 평가 ···390

<표 4-4> 고등학교에 대한 평가 ···391

<표 5-1> 학교가 A+B를 받기 위해 해야 할 과제: 초・중・고 전반 ···392

<표 5-2> 학교가 A+B를 받기 위해 해야 할 과제: 초등학교 ···393

<표 5-3> 학교가 A+B를 받기 위해 해야 할 과제: 중학교 ···394

<표 5-4> 학교가 A+B를 받기 위해 해야 할 과제: 고등학교 ···395

<표 6-1> 학교 선택시 고려사항: 초등학교 ···396

<표 6-2> 학교 선택시 고려사항: 중학교 ···397

<표 6-3> 학교 선택시 고려사항: 고등학교 ···398

<표 6-4> 학교 선택시 고려사항: 대학교 ···399

<표 7> 초・중・고등학교 공교육 내실화를 위해 필요한 것 ···400

<표 8-1> 자녀의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초・중・고 전반 ···401

<표 8-2> 자녀의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초등학교 ···402

<표 8-3> 자녀의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중학교 ···403

<표 8-4> 자녀의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고등학교 ···404

<표 8-1-1> 조기유학 보낼 생각이 있다면 그 이유 ···405

<표 9-1> 우리나라 교육정책: 일관성 ···406

<표 9-2> 우리나라 교육정책: 장기적 비전 ···407

<표 9-3> 우리나라 교육정책: 우리나라 여건에의 적합성 ···408

<표 9-4> 우리나라 교육정책: 국민여론 반영 ···409

<표 9-1-1>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할 우리나라 교육정책 ···410

<표 10> 정부의 교육신뢰회복 노력에 대한 평가 ···411

<표 11>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교육분야 신뢰회복을 위한 정책 ···412

<표 12>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국가교육위원회 역할 ···413

<표 13> 교사의 능력과 자질에 대한 신뢰 정도 ···41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9)

xxxv

-<표 14-1> 교사들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능력(초・중・고 전반) ···415

<표 14-2> 교사들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능력: 초등학교 ···416

<표 14-3> 교사들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능력: 중학교 ···417

<표 14-4> 교사들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능력: 고등학교 ···418

<표 15> 교사자격증이 없는 초빙교사에 대한 찬반의견 ···419

<표 16> 자녀의 선생님 진로에 대한 의견 ···420

<표 17> 현재 초・중・고 학생 및 학부모에 의한 교원의 교육활동 침해 정도 ···421

<표 18> 학업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422

<표 19-1> 학생의 인성 수준: 초・중・고 전반 ···423

<표 19-2> 학생의 인성 수준: 초등학교 ···424

<표 19-3> 학생의 인성 수준: 중학교 ···425

<표 19-4> 학생의 인성 수준: 고등학교 ···426

<표 20> 학생이 좋은 인성을 갖도록 하는 영향 요인 ···427

<표 21-1> 학생의 민주시민성 수준: 초・중・고 전반 ···428

<표 21-2> 학생의 민주시민성 수준: 초등학교 ···429

<표 21-3> 학생의 민주시민성 수준: 중학교 ···430

<표 21-4> 학생의 민주시민성 수준: 고등학교 ···431

<표 22> 학생이 민주시민성을 갖도록 하는 영향 요인 ···432

<표 23>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민주시민성 제고를 위한 과제 ···433

<표 24> 학교 폭력의 완화 여부 ···434

<표 25> 학교 폭력의 원인 ···435

<표 26> 자녀가 다문화학생과 같이 공부하는 것에 대한 의견 ···436

<표 27-1> 초・중・고 전반에서 우선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역량 ···437

<표 27-2> 초등학교에서 우선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역량 ···438

<표 27-3> 중학교에서 우선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역량 ···439

<표 27-4> 고등학교에서 우선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역량 ···440

<표 28-1> 초등학교에서 현재보다 더 중시해야 할 교과 ···441

<표 28-2> 중학교에서 현재보다 더 중시해야 할 교과 ···442

<표 28-3> 고등학교에서 현재보다 더 중시해야 할 교과 ···443

<표 29-1> 초등학교에서 현재보다 더 강화되어야 할 교육 ···444

<표 29-2> 중학교에서 현재보다 더 강화되어야 할 교육 ···445

<표 29-3> 고등학교에서 현재보다 더 강화해야 할 교육 ···446

<표 30-1>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역량: 초・중・고 전반 ···447

<표 30-2>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역량: 초등학교 ···448

<표 30-3>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역량: 중학교 ···449

<표 30-4>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역량: 고등학교 ···450

<표 31-1> 고등학교 교육 정책(고교 무상교육 단계적 실현) ···451

<표 31-2> 고등학교 교육 정책(고교 학점제 도입) ···452

<표 31-3> 고등학교 교육 정책(자사고, 외고, 국제고의 단계적 일반고 전환 등 고교체제 개편) ···· 453

<표 32> 고교 단계에서 직업교육에 대한 의견 ···454

<표 33> 대학입학전형에서 가장 많이 반영되어야 할 항목 ···455

<표 34> 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경쟁에 대한 전망 ···456

<표 35> 교육재정 지원이 우선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학교급 ···457

<표 36-1> 국가 재원의 우선적 투자 분야(1순위) ···458

<표 36-2> 국가 재원의 우선적 투자 분야(2순위) ···459

<표 36-3> 국가 재원의 우선적 투자 분야(1+2순위) ···460

<표 37-1> 초등학생을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 우선순위 ···461

<표 37-2> 중학생을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 우선순위 ···462

<표 37-3> 고등학생을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 우선순위 ···463

<표 38> 학생 수 감소에 따른 교육재정 축소에 대한 의견 ···464

<표 39-1>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추진했으면 하는 정책(1순위) ···465

<표 39-2>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추진했으면 하는 정책(2순위) ···466

<표 39-3>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추진했으면 하는 정책(1+2순위) ···467

<표 40>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돌봄정책 ···468

<표 41> 가장 바람직한 성인학습의 운영 주체 ···469

<표 42> 대학교육의 인재양성 기능에 대한 평가 ···470

<표 43> 제대로된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이 우선해야 할 과제 ···471

<표 44-1> 4년제 대학 교수에 대한 교육능력 평가 ···47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