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문헌 분석 결과의 시사점 및 활용

이상의 문헌 분석 결과를 토대로 KEDI POLL 2019 조사도구를 개발 및 수정하는데 다음과 같이 활용하였다.

첫째, 12~13차 조사를 중심으로 하되, 1~13차 조사 문항 전체를 검토하고, 주기적인

연구진 회의와 교육부를 중심으로 한 정책담당자들의 사전 검토(서면) 및 제안를 통해

KEDI POLL의 조사 목적에 부합하면서, 시계열적 변화 추이가 정책적 함의를 줄 수 있는

문항들을 중심으로 고정문항을 선정하였다. 조사 문항의 영역은 지난 12~13차 조사와

Ⅱ. 문헌 분석 및 조사도구 개발

같이 ① 교육정책 및 학교교육 평가, ② 교사, ③ 학생, ④ 교육과정, ⑤ 고교 정책 및 대입, ⑥ 교육복지 및 교육재정, ⑦ 대학교육, ⑧ 교육현안 및 미래교육, ⑨ 교육관으로 하여 9개 영역을 유지하였고, 일부 문항들은 영역 간 조정 및 이동을 통해 재배치하였다.

둘째, 통계청·여성가족부의 ‘청소년 통계’ 및 지방자치단체별 사회조사(교육부문) 등

KEDI POLL과 같이 주기적으로 조사되고 있는 국내 여론조사들을 지속적으로 검토하여

KEDI POLL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문항들의 결과들을 살펴보고 KEDI POLL의 고정문항 선정과 수정·보완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특히, 청소년 통계에서는 청소년의 스 트레스 및 우울감, 초·중·고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초·중·고 학생의 사교육 참여 실태,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등의 문항을,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조사 중 교육부분에서는 학교교 육의 효과, 학교생활 만족도, 교육비, 교육환경 개선점 등의 문항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 링하여 고정문항의 질문 내용이나 선택지의 수정·보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셋째, KEDI POLL의 초기 모델이면서 그 조사 체계나 조사 내용, 조사 문항들이 유사

한 미국의 교육여론조사인 ‘공교육에 대한 국민의 태도조사(The Phi Delta Kappa Poll of the Public’s Attitudes Toward the Public Schools)’ 및 ‘Education next poll’의 경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주기별 조사 내용이나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KEDI POLL의 고정문항 선정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공립학교에 대한 평가, 교사의 임금이나 업무 만족도, 자녀의 직업으로서의 교사, 교육재정 및 학교재정 등과 같은 조사 내용은

KEDI POLL에서도 주기적으로 묻고 있는 문항들로 고정문항의 선정이나 조사 후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방식에도 참고하고자 하였다.

넷째, 기타 국내·외 여론조사들인 교육정책 관련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언론기관 및 전문 여론조사기관의 조사들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연구센터에서 발행하 는 해외교육동향 중 주요국의 여론조사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살펴보고 KEDI POLL 문항 개발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조사들은 주기적인 조사이기보다는 해당 지역이나 단 체(또는 기관)들의 주요 이슈나 당면한 교육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특정 정책이나 이슈를 중심으로 지역민이나 이해당사자, 또는 일반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실시하 는 것이 주된 목적이어서 고정문항보다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교육현안을 다루는 유 동문항 개발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이번 14차 조사 문항 중에도 돌봄정책이나 국가교육 회의, 학령인구 감소 등 미래 환경 변화와 관련한 문항들을 개발하는데 참고하였다.

다섯째, 14차 조사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유동문항의 개발을 위해 현 정부의 국정운영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9)

50

계획 및 교육부 2019년 업무계획을 모니터링하여 그 추진 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하였 으며, 주요 언론사의 교육기사들을 검토하여 2018년 하반기, 2019년 상반기의 교육정책 관련 이슈들을 도출하여 활용하였다. 또한, 언론사의 교육기사들 중 KEDI POLL 주요 결과에 대한 언론 보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참고하고 고정문항의 선정 및 수 정·보완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교육부와 사전 협의를 통해 정책 담당자들의 의견을 문항 검토 및 개발 이전에 수렴하고자 하였다. 13차 조사문항을 바탕으로 고정문항에 대한 정책담당자의 의견을 수 렴하여 선택지에 대한 수정 및 보완 사항을 점검하고, 신규문항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 받아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KEDI POLL 문항 개발 및 검토에 교육부, 국가교육회의 등 정책 담당자들을 사전에 참여시켜 시의적절한 문항 구성 및 조사결과의 정책적 활용 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영역 조사내용 국내/언론(이슈) 국외

교육정책 학교교육

평가

현 정부 유・초・중등 교육정책 중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현 정부 고등교육 정책 중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현 정부 평생・직업교육 정책 중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초・중・고등학교에 대한 평가 시・도 사회조사

청소년 통계

PDK Poll Education Next Poll 학교가 ‘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

위해 해야 할 과제 시・도 사회조사 PDK Poll

학교 선택 시 고려 사항 PDK Poll

Education Next Poll 초・중・고등학교 교육 내실화를 위한

과제 PDK Poll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네 가지 측면에

대한 의견 통계청 사회조사

정부의 교육신뢰회복 노력에 대한

평가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표 Ⅱ-5> 문헌 분석을 통한 14차 조사 문항 선정 및 개발, 수정에의 반영 내용

Ⅱ. 문헌 분석 및 조사도구 개발

영역 조사내용 국내/언론(이슈) 국외

교육분야 신뢰회복정책 중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국가교육위원회 역할 중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및 언론기관 여론조사

교사

교사의 능력과 자질에 대한 신뢰 정도

PDK Poll Education Next Poll

교사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능력 PDK Poll

교사자격증이 없는 초빙교사에 대한

찬반의견 PDK Poll

자녀 직업으로서 교사 희망에 대한

의견 PDK Poll

교원의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의견 언론 PDK Poll

학생

학업 성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소년 통계 Education Next Poll

학생의 인성 수준 청소년 통계

학생의 시민의식(민주시민성) 수준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청소년 통계

학생의 민주시민성 제고를 위한

학교의 역할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학교폭력에 대한 의견 PDK Poll

다문화학생 수용에 대한 의견 언론 PDK Poll

Education Next Poll

교육과정 교육내용

학교에서 가장 역점을 두어 길러

주기를 바라는 사항 시・도 사회조사

현재보다 중시해야 할 교과목 Education Next Poll

현재보다 강화되어야 할 교육 Education Next Poll

미래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역량 언론 Education Next Poll

고교 정책 및

대입

현 정부 고등학교 관련 교육정책에 대한 의견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 비중에

대한 의견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PDK Poll

대학입학전형에서 가장 많이 반영되어야 할 항목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경쟁에 대한

전망 PDK Poll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9)

52

영역 조사내용 국내/언론(이슈) 국외

교육복지 교육재정

교육재정이 가장 우선적으로

확대되어야할 학교급 PDK Poll

한정된 교육재정의 우선 투자 영역 PDK Poll

Education Next Poll 정부의 우선적 재정지원 내용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PDK Poll

Education Next Poll 학생 수 감소와 교육재정 규모에

대한 의견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PDK Poll Education Next Poll 학령인구 감소시대 반드시

추진되었으면 하는 정책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돌봄정책 중 더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성인학습의 운영주체에 대한 의견 시・도 사회조사

대학교육

대학교육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 기능에 대한 평가 시・도 사회조사 PDK Poll

Education Next Poll 대학이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해야

할 우선과제 Education Next Poll

대학교수의 역할수행에 대한 평가 시・도 사회조사 Education Next Poll

사립대학 지원 확대에 대한 찬반의견 PDK Poll

Education Next Poll 대학평가 시 가장 중요하게 반영해야

할 지표 PDK Poll

교육현안 미래교육

교육행정 권한의 분권화에 대한 의견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2~3년 전과 비교한 사교육 실태 변화

청소년 통계 시・도 사회조사

자녀 사교육비 부담 정도 시・도 사회조사

우리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칠 미래사회 변화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및 언론기관 여론조사 미래 초・중등학교 교육체제를 위한

요구 과제

2019 주요 교육정책(교육부 등) 언론

미래 학교에서 더 강조될 역할과 기능 언론 PDK Poll

교육관

자녀교육의 성공에 대한 관점 PDK Poll

자녀의 장래 생활에 대한 기대 PDK Poll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부담 정도 PDK Poll

교육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정도 시・도 사회조사

Ⅱ. 문헌 분석 및 조사도구 개발

나. 14차 조사도구 개발

1) 조사도구 초안 선정 및 개발

KEDI POLL의 연구 목적에 맞는 조사 문항을 선정 및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번 14차 조사문항은 교육부와 사전 협의를 통해 정책 담당자들의 의견을 연구진의 문항 검토 이전에 1차적으로 수렴하는 절차를 거쳤다.

1~13차 문항을 pool로 구축하고, 전면 검토한 후 지난 조사결과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그 변화 경향이 정책적 함의를 줄 수 있는 문항들을 중심으로 고정 문항을 선 정하였고, 문헌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고정문항의 질문 및 선택지를 수정・보완 하였다.

∘ 정부의 교육정책 방향이나 언론 등을 통한 이슈 분석으로 새롭게 이슈가 되고 있는 교육 및 교육정책에서의 현안들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유동문항(신규 문항)을 개발하였다.

∘ 연구진은 지속적인 검토를 거쳐 ① 기존 1∼13차 조사 문항과 동일 문항(38개),

② 선택지 등을 수정한 1∼13차 조사 문항의 수정 문항(16개), ③ 14차 신규 문항 (13개) 등 3가지 유형의 문항을 1차적으로 선정·개발 하였다.

2) 원내 전문가 및 교육정책 담당자 검토 실시

∘ 원내 전문가(교육현안대응TF, 각 실・센터의 연구 및 주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연 구위원 등)를 대상으로 조사 문항 초안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고, 검토 결과를 반영 하여 수정・보완하였다.

∘ 교육정책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위해 교육부 기획담당관실을 중심으로 해당 실・국・

과 및 국가교육회의를 대상으로 조사 문항 전반에 대한 2차 검토를 실시하여 의견 을 수렴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조사 문항을 수정・보완하였다.

3) 14차 조사도구의 최종 선정: 9개 영역, 총 64(+2)개 문항〔기존 30(+1)개, 수정·추가 22개, 신규 12(+1)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