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2차년도

문서에서 R&D연구결과보고서 (페이지 77-80)

o 3D 시청의 임상시험용 기준 자극 지표 개발

- 양안시차의 시간적 변화량에 따른 영향성 측정 및 임상적 허용범위 도출 - 허용 범위 내의 양안시차 크기의 임상적 지속 허용 시간 범위 도출

o 3D 시각피로 정량화 연구

- 3D 콘텐츠의 fMRI를 이용한 뇌 반응 실험 - fMRI 영상 뇌 반응에 따른 3D 피로도 측정

- 3D 영상 자동 분석을 통한 시각피로 정량적 평가 기술 개발

- 3D 콘텐츠의 품질 측정/평가 방법에 기반을 둔 시각 피로 저감 방법론 연구

o 3D 시청 취약군 대상 임상 평가

- 3D 시청 취약군 대상 평가 임상지침 개발 - 3D 시청 취약군 대상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 3D 시청 취약군 대상 이상반응 해소 및 대처 기술 연구 o 3D 시청 임상적 안전 가이드라인 제작

- 3D 취약군 기반 초록집 업데이트

- 3D 시청 취약군을 고려한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그림 2-13) 2차년도 주요 사업내용

 3D 시청의 임상시험용 기준 자극 지표 개발

: 1차년도 테스트 시퀀스에 대한 영향성 평가를 기반으로 장르별, 양안시차 기준, 움직임, 양안 영상의 차이 등의 콘텐츠 관련 지표를 선정하고 일반인 및 의료 환자의 3D 임상시 험용 콘텐츠 기준 자극 지표 개발

(그림 2-14) 임상시험용 기준자극 지표 개발

o 양안시차의 시간적 변화량에 따른 영향성 측정 및 임상적 허용범위 도출

- (시간적 변화량 측정) 각 프레임별 양안시차 분포의 통계 처리 및 변화율 분석을 통한 테스트 클립의 시간적 변화율의 정량화 연구 진행

- (주관적 평가) 피실험자 대상으로 시간적 변화율 정량화 분류에 따른 콘텐츠 자극을 제시 하여 실시간 주관적 보고 결과를 추출하고 이 결과와 콘텐츠 변화율 정량화 데이터간 상관 함수를 도출하여 생체 영향성 측정 및 분석

- (임상적 허용범위) 양안시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이상반응 함수를 이용하여 안전한 양안 시차 변화율에 대한 임상적 권고 범위 도출

o 허용 범위 내의 양안시차 크기의 임상적 지속 허용 시간 범위 도출

- (주관적 평가) 양안시차의 다양한 분포를 갖는 테스트 시퀀스를 이용하여 주관적 평가를 수행

- (상관성 도출) 실시간 시각적 피로감 측정을 통해 콘텐츠 내 대상물의 입체감이 지속되 는 시간에 따른 영향성 상관관계 연구

- (허용시간 범위) 양안시차 지속 시간에 대한 상관함수에 기반한 임상적 지속 허용 시간 범위 도출

 3D 시각피로 정량화 연구

- 3D 콘텐츠의 fMRI를 이용한 뇌 반응 실험

<선정기준>

1. 본 연구과정 (MRI 촬영 과정, fMRI 실험 과정 및 주관적 화질 평가 과정)의 진행에 동의

2. 정상시력 혹은 교정 후 정상 시력

3. 외과적 뇌수술 병력, 폐쇄 공포증 등 MRI 촬영 요건에 적합

4. Stereofly Test 등의 3D 인지 능력 검사를 통과 (실험 설계에 따라 제외될 수 있음)

5. 위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 중 20~30세의 성인 30명

자연영상의 특성에 따른 뇌 반응 실험

· 자연영상의 양안 시차 특성에 따른 뇌 반응 실험 및 인공 영상과의 차이 분석

시각피로에 의한 뇌 반응량의 통계적 분석

· SPM기반의 분석 이외의 다양한 분석 방법 적용

· SPM에 사용되는 design matrix와 시각 피로 변화 모델의 검증

- fMRI 영상 뇌 반응에 따른 3D 피로도 측정

주관적 피로와 측정된 뇌 반응과의 연관성 분석: 자연 영상의 양안시차 크기에 따른 시 각피로 관련 영역의 반응 정량화

뇌신호 분석에서 피로도 요소를 적용한 모델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 결과 제시로 권고안 업데이트

- 3D 영상 자동 분석을 통한 시각피로 정량적 평가 기술 개발

3D 콘텐츠 깊이 정보 및 모션 정보 (양안시차의 시간적 변화량)에 따른 3D 비디오 시 각피로도 정량적 평가 기술

3D 콘텐츠의 입체 영상 양안 불일치 (색상 불일치 등)에 따른 시각피로도 정량적 측정 기술

- 3D 콘텐츠의 품질 측정/평가 방법에 기반을 둔 시각 피로 저감 방법론 연구

문서에서 R&D연구결과보고서 (페이지 77-8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