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외 경쟁기관 현황

문서에서 R&D연구결과보고서 (페이지 49-55)

가 . 본 기술/제품과 직접적 경쟁관계에 있는 국내․외 기관․기업 현황

o 3D 시청 안전성 협의회

- 방통위는 한국전파진흥협회 내에 “3D 시청 안전성 협의회”를 ’10년 5월 6일 구성하여 출 범하였고 3D분야 산․학․연계와 유관기관, 심리학, 의료계 등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여 국 내 최초로 실측 실험 연구를 통하여 3D 영상 안전성에 관한 임상적 권고안을 제시하였 으며 국내 각 표준화 기관에 권고안을 제공할 예정

(그림 1-6) 3D 시청 안전성 협의회 추진체계

- 기존 가이드라인 파라미터의 생체 영향성 도출을 위한 3단계 로드맵 수립(’10년 7월) - 1단계(’10년)에는 3D 시청의 기초 5항목(시청거리, 시청각도, 시청시간, 멀미감수성, 동공

간의 거리)에 대한 피실험자 대상 실측 실험실시 후 생체 영향 상관함수 도출

- 불편감을 느낀 피실험자와 대조군으로 정상인 대상으로 비교 검진을 통해 안과적 요인을 도출

- 실측 실험 결과와 의료계 소견, 기초 학술 문건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3D 영상 안전성 에 관한 임상적 권고안(Ver.1.0)” 발표(’10년 12월)

․ 권고안의 대상범위, 용어정의, 권고안 기초사항, 권고안 구성, 3D 영상 안전성 기본지식, 임상적 권고안(일반시청자, 취약군, 3D 방송용 콘텐츠 안전 권고안, 3D 방송기기 권고 안) 등 제시

․ 생체 영향성 관련한 추가 파라미터 및 파라미터 값 설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이를 상세화 하여 ’11년에 TTA의 3DTV 방송 안전 가이드라인 표준 수정 보완할 예정

- 향후 일반인, 취약군, 위험군에 대한 정신과, 안과, 신경과의 임상적 결과를 도출하여 권고 안을 업데이트 할 예정이며, 콘텐츠 양안시차에 대한 공학적/심리학적 실험 결과도출 예정

(그림 1-7) 3D 시청 안전성 협의회 연구 3단계 로드맵

o 한국전파진흥협회 3DTV 방송진흥센터

- 3DTV 실험방송 운영 지원 사업을 통해 3D 콘텐츠, 안경식 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안전 성 연구를 진행하여 기반기술이 축적됨

- 방송사/콘텐츠 제작사 등과 협조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하였으며, 생체 영향성 실험 을 통해 국가적 차원의 시청 안전성 연구의 기준 콘텐츠 DB로 활용할 계획

- 추후 콘텐츠 제작/편집 및 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수립, 협회에서 운영 중인 전파방송통신인재교육개발원의 3D 교육과 연계하여 3D 콘텐츠에 대한 인증 항목 개발 및 인증 센터 추진 계획 중

o TTA 3D TV PG : 3D TV 품질 안전 규격 실무반(WG8062)

- WG8062의 ToR은 PG806에서 논의된 안전규격관련 ToR 기반으로 작성

․ 3D TV 안전 시청권고 표준

․ 3D TV 콘텐츠 제작 및 안전 입체 권고 표준

․ 3D TV 콘텐츠 및 디스플레이 품질 평가 방법

- WG8062의 3D TV 방송 안전 가이드라인 표준안 제정('10년 12월)

․ 3D 입체방송을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방송을 즐길 수 있도록 올바른 시청환경 및 시청 자 주의사항, 적절한 콘텐츠의 사용, 디스플레이 가이드라인 등을 정의

․ 시청환경 관련 요인 : 시청시간 및 휴식시간, 시청거리, 시청방위, 시청각도, 조명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 기술

․ 시청자 관련 요인 : 시청 중단 증상, 입체 시맹 및 입체시 이상자, 만성적 질환, 시청자 연령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 기술

․ 콘텐츠 관련 요인 : 실사 촬영 시 주의사항, 자막, 좌우 영상의 불일치 등에 대한 가이 드라인 기술

․ 디스플레이 관련 요인 : 크로스토크, refresh rate, 3D 안경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 기술 - 3DTV 방송 안전 가이드라인은 휴먼 데이터가 축적되지 못한 상태에서 긴급하게 산업계

와 정부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제정

․ 현재 3D 휴먼팩터에 대한 연구가 국내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

․ 지속적인 개정을 통해 구체적인 파라미터 권고 값 제안 가능

o 차세대방송표준포럼의 실감방송분과(구3D TV분과)위원회

- 3D TV 관련 기술 표준화 작업을 '04년 이후 진행 : '09년 10월 스테레오스코픽 VAF WG에서 제안한 모바일 응용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AF 규격이 MPEG에서 국제 표준 채택

- 3D 방송 평가를 위한 테스트 패턴 구성 추진 및 품질평가 방법 구성 추진

- 3D 방송 표준화를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 중이며, 안전가이드라인의 각 파라미터별 구체 적인 권고값을 위한 데이터축적이 필요한 상태

o 기술표준원

-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한 디스플레이 분야, 영상정보처리 및 콘텐츠 등 동영상 압축기술 분야 중심으로 IEC/ISO 리드를 목적으로 하며, 특히 시청안정성 확보는 3DTV 등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시급한 인프라로 국제 표준화에 최우선 참여

- 미래 시장·기업 친화적 표준화에 초점을 둔 3D 주요 표준화 중점분야의 표준전담기관 발 굴·육성 및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일관적 표준 정책 추진

․ 표준전담기관 : 3D안정성(3D융합산업협회), 3D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산업협회), 3D영화 (영진위), 3D영상정보처리 & 콘텐츠(ETRI) 등

․ 3D 안정성 표준화 : 3D 시각피로나 신체적 불편감 유발 요인들에 의한 안전성 평가 표준화

․ 안전성 주요 요인 : 시청자 요인, 콘텐츠 요인, 시청 환경, 디스플레이 요인

(그림 1-8) 기술표준원의 3D 관련 표준화 추진체계

o 일본 JEITA(전자정보기술산업협회) & 산업기술종합연구소

- 포켓몬 쇼크로 인해 ’96년부터 JEITA에서 ‘3D 영상 생체영향에 관한 조사연구’에 착수

․ ’98년도 3D 가이드라인을 정리하여, ’99년에 “3차원 영상에 관한 가이드라인 시안” 발표

․ 후일 3D 컨소시엄 안전부회의 중요성 근거가 됨

- 산업기술종합연구소 ‘3D 영상의 생체안전성 평가 방법의 표준화’ 연구 수행(‘03년 ~ ’05년)

․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적인 측면과 생리적인 측면 모두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 법 개발

․ 국제표준화기구에 국제 표준안 제안, 국제규격 제안

-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및 JEITA에서 ‘쾌적 3D기반 연구 추진 프로젝트’ 수행('09 ~ 현재)을 통해

‘3DC 안전 가이드라인’ 수정안 제시 및 ‘3D 생체 영향 문헌 초록집’ 정리(‘10년)

o 일본 3D 가전업체 회원사로 구성된 3D 컨소시엄

- 토추 상사, NTT데이터, 산요전기, 샤프, 소니 등 5사가 3D 표시기술의 보급추진을 목적 으로 2003. 4월에 설립하였고, 현재는 8개의 간사회사와 함께 국내외 48개사의 정회원으 로 구성

- ‘3DC 안전 가이드라인 Ver.1’을 회원에 한정하여 최초로 공개(‘04년)하고 ‘3DC 안전 가이 드라인(개정판)’을 일반 공개(’08년)

- IWA3(2005년 ISO)를 기반으로 안전시청가이드라인 표준화(ISO) 제시

- ‘3DC안전가이드라인’을 ISO IWA3의 입체관련부회에 대해 완전 망라․보강한 내용으로 개정

o 3D 콘텐츠의 주관적/객관적 품질 평가 연구는 세계적으로 시작 단계로서 소수의 연구 그룹들이 존재. 특히 3D 영상 자동 분석을 통한 시각피로 정량적 평가 연구는 미비한 상 태. 또한 3D비디오가 human perception에 미치는 객관적인 연구는 전무하며, 특히 뇌 반 응 연구를 통한 시각피로 측정 연구 부재

o 일본 NHK의 주관적 품질 측정/평가 기술

- 3D 콘텐츠 시청 시 발생하는 시각적 불편함이 양안 시차의 크기 및 모션에 상관관계 있음 을 주관적 측정을 통하여 관찰하였으나, 한정적인 콘텐츠의 사용으로 측정 결과 일반화에 는 한계

- 3D 콘텐츠의 시각피로 정량적 평가를 위해 영상 전체의 평균적 양안 시차/모션 정보를 이용 한 기초적 방법을 이용. 양안 시차의 크기나 그 변화 정도가 과도한 경우 시각피로가 유 발됨을 관찰하였으나 (아래 그림 음영부분 참조), 정량적인 시각피로 평가에 한계

(그림 1-9) 모션, 양안 시차, 시각피로감의 관계

o 일본 와세다 대학의 객관적 품질 측정/평가 기술

- 양안식 3D 영상 시청의 영향으로 유발되는 안구 운동의 변화에 대한 연구

- 3D 영상 시청의 시각 피로와 안구의 수렴-조절 불일치 운동의 상관관계를 보고함 (아래

그림 참조)

- 안구 운동 분석을 통한 정량적 시각피로 평가 방법 부재

(그림 1-10) 안구 운동 측정 결과: 실험 환경(좌), 자연영상을 주시하는 경우의 안구 운동(중간), 3D 디스플레이를 시청 경우의 안구 운동(우)

문서에서 R&D연구결과보고서 (페이지 49-5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