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각피로 저감

문서에서 R&D연구결과보고서 (페이지 80-85)

(a) (b)

(그림 2-15) Random-dot stereogram과 자연영상에서 객관적 피로도 측정과 피로도 주관적 측정의 관계 도출 (a) 시각 자극, (b) 뇌 반응 측정 결과 예시

시각피로 저감

(그림 2-16) 3D 시각피로의 정량적 평가 기술 개발

o 3D 콘텐츠 안전시청 가이드라인 기초 마련

- 3D 콘텐츠의 품질 측정/평가 방법에 기반을 둔 안전시청 가이드라인

· 3D 콘텐츠 시청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정량화를 통한 안전 시청 가이드라인

 3D 시청 취약군 대상 임상 평가

o 3D 시청 취약군 대상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 취약군의 3DTV 시청 이상증상(어지럼, 구토, 시각피로 등) 유발 양상 연구

· 소아, 청소년 및 고령층 등의 취약군 선정

<선정기준>

책임연구자가 선정하고 본 연구과정에 동의하는 체험자중 5~10세의 소아 30명, 11~18세의 청소년 30명, 18~55세의 성인 30명, 55~65세의 고령층 30명.

<탈락기준>

1. 피험자(보호자 포함)가 임상시험 참여동의를 철회한 경우 2. 사시, 약시, 부동시등 양안시(입체시) 장애가 뚜렷한 경우 3. 심각한 이상반응이 나타나 3D TV 체험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

4. 피험자가 계획서에 명시된 방문 및 절차를 준수하지 않으려 하거나 할 수 없는 경우

5. 기타, 체험을 계속하는데 지장을 준다고 임상시험 담당자가 판단한 경우

· 연령에 따른 4군에 대해서, 안과에서 시력, 굴절이상, 사시검사, 입체시 검사를 시행한 후, 90분 분량의 3D TV 체험 직후, 5분후, 10분후 굴절이상 검사를 시행하며 설문조사 및 체험 중 이상증상이 있을 때 버튼박스를 누르게 함

· 설문조사 및 버튼박스 점수를 분석하여 상위 35%에 속하는 경우의 소아군, 청소년군, 성 인군 및 노령군의 각 군당 비율을 산출

· 각 연령군의 굴절이상의 변화 및 회복시간 측정

· 굴절이상에 따른 변화 측정 및 회복시간 측정

· 각 군간의 차이를 T-test, Fisher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등을 이용하여 비교

(그림 2-17) 취약군의 이상증상 유발 양상 연구

- 간질 환자, 치매 환자, 또는 두통을 가진 환자 등 취약군에 대한 3D 영상 시청의 임상적 실험

· 임상시험용 실험 프로토콜 개발

· 비슷한 연령대의 대조군 실험

- 3D 시청 정신적 취약군의 민감성 평가

· 임상시험 대상자 선정 (기준은 1차년도와 같음) : 1차년도의 예비대상자와 필요한 경우 추가 모집

· 평가 방법은 1차년도와 동일

· 1차 시험 (과시청 시험)

: 시청 전 생리적 상태와 정서 상태, 인지기능의 평가 후 3D 시청 30분 전, 시청 30분, 시청 1시간, 1시간 30분, 2시간의 시점에서 각 2분 간 실시간 측정

: 시청 종료 30분 후 생리적 변화 재측정 및 시청 후 정서 변화, 인지기능 평가

: 각 변수의 절단점에서 편향되지 않은 3차 대상자(C군)를 선별하여 3D 영상의 단기 반복 시청 시에 나타날 수 있는 영향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진행

· 2차 시험 (단기반복시청 시험)

: C군을 대상으로 기준 시험환경에서 1주일 간 1일 1시간의 3D 영상을 시청

: 시험 전 생리적 상태와 감정 상태, 인지기능을 평가한 뒤 1주일 후 생리적, 정서적 변화와 인지기능을 재평가

: 각 변수의 절단점에서 편향되지 않은 3차 대상자(D군)를 선별

· 인구통계학적 자료를 비롯한 사전검사의 변수와 평가된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생리적, 정서적 변화에 관여하는 변수를 도출

(그림 2-18) 3D 시청 정신적 민감성 평가

- 3D 영상의 생리적 영향을 정량화 분석

· 전년도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지표에 중점을 두어 분석

· 뇌파 측정 후 신호분석

: 주파수영역 분석을 통한 알파, 베타, 델타파 등의 크기 비교 및 시간-주파수영역 분석 을 통한 시간에 따른 변화 분석

: 매핑기술을 이용한 공간분포 분석

- 개인취약상태(향정신성물질, 수면부족, 알콜 등)의 3D 영향성 평가기술 개발

· 취약상태군(혈중 알코올 농도 0.005% 이상 또는 액티와치 측정시 4시간 이내의 수면상 태)에 대한 과시청 시험을 통한 임상시험

· 취약상태군에 대한 3D 영향성의 객관화를 통한 생리적 영향성 평가기술 개발

o 3D 시청 취약군 대상 평가 임상지침 개발 - 3D 시청 취약군 평가 및 선별도구 개발

· 상기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결과를 토대로 일반적인 임상환경 하에서 적용할 수 있는 취약군 평가용 프로토콜 개발

· 평가용 프로토콜에서 취득한 결과에 의해 취약군의 등급을 적절히 분류하여 다른 권고 안을 제시 할 수 있도록 하는 선별도구 개발

· 취약군 평가 프로토콜과 선별도구를 통합한 취약군 평가 임상지침의 개발 - 3D 시청 취약군을 고려한 측정 임상지침 개선

· 전년도에 개발된 임상지침에 취약군을 고려한 부분을 통합하여 일관된 임상지침으로 개선

o 3D 시청 취약군 대상 이상반응 해소 및 대처 기술 연구 - 시청 취약군 시청 중단 증상 도출 및 증상 정량화 기법 개발

· 상기에 기술된 정량적 평가기법에 기반한 정량화 기법 개발

· 정량화 기법을 통하여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여 임상적 위험성을 고려한 시청 중단 증상을 객관화하여 도출

- 3D 시청 이상반응 해소 및 대처기술 연구

· 잠재적 취약성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들 취약 요인과 이상 반응을 예방하 거나 해소할 수 있는 의학적 근거를 첨부한 가이드라인 항목 제시

- 3D 시청 취약군 대상 문헌, 실험, 소견 등 근거기반 안전시청 권고항목 (자세, 거리, 각도, 이상반응에 대한 대처 등) 마련

 3D 시청 임상적 안전 가이드라인 제작

o 3D 취약군 기반 초록집 업데이트

- (취약군 기초 자료) 3D 영상 취약군의 분류 및 이상반응 유형에 관한 자료 수집

- (개인 취약상태) 수면부족, 알콜섭취 등과 같은 개인 취약 상태에서 3D 시청이 미치는 이상 반응에 대한 관련 자료 수집

- (요인별 분류) 취약군의 유형에 따라 학술자료를 분류하고 DB화하여 1차년도에 제작된 초록집에 업데이트 수행

o 3D 시청 취약군을 고려한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 (이상반응) 취약군의 3D 방송 시청시 발생 가능한 이상반응 유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 고 이에 대한 해소/대처 권고 사항을 도출

- (양안시차 허용범위) 양안시차의 시간적 허용범위와 지속시간에 대한 권고 도출 - (의료계 임상시험) 취약군 임상시험 결과에 기반한 권고 사항 도출

- (일반인 권고사항) 업데이트된 권고안으로부터 일반인에게 홍보해야할 내용을 추가하여 일반인 대상 홍보용 권고문안 업데이트

문서에서 R&D연구결과보고서 (페이지 80-8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