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접효과 가설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8-92)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을 토대로 공유리더십이 발언행동과 지식공유행동에 미 치는 직접효과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 변수들을 통제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공유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발언행동과 지식공유 행동은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 변수들은 더미(dummy) 처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의 [표 4-6]에 제시되어 있으며 표준화된 (standardized) 회귀계수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공유리더십은 발언행동의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202, p<.01). 또한 지식공유행동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을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231, p<.01). 결국 공유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발언행 동과 지식공유행동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며 발언행동과 지식공유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로서 공유리더십이 의미 있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 로 공유리더십이 발언행동을 높인다는 가설 1과 공유리더십이 지식공유행동을 높 인다는 가설 2가 지지되었다.

공유리더십이 매개변수인 창의자기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봤으며 분석결과는 [표 4-7]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공유리더 십은 창의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a=.480, p<.001). 또한 변화자기효능감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543, p<.001).

결국 공유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부분에 있어서 본 연 구에서 설정한 창의자기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공유리더십이 창의자기효능감을 높인다는 가설

3과 공유리더십이 변화자기효능감을 높인다는 가설 4 역시 지지되었다. 한편 창의 자기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이 발언행동과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 보았다. 분석결과는 [표 4-8]에 제시되어 있다.

종속변수 독립변수

발언행동 지식공유행동

M1 M2 M3 M4

통제변수

성별 -.093 -.107 .028 .012

연령 .018 .007 -.038 -.051

근속년수 .123 .139 .175 .193*

학력 .096 .080 .017 -.002

노조유무 .000 .015 .033 .050

직급 .203** .171* .081 .045

산업 .111 .149 .119 .163

종업원수(규모) -.014 -.024 .037 .026

이론변수

공유리더십 .202** .231**

R2 .073 .111 .041 .091

△R2 .038** .050**

F-Value 1.816 2.544** .994 2.029*

[표 4-6] 공유리더십이 발언행동과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주1) * : p<.05, ** : p<.01, *** : p<.001

주2) 통제변수 중 연령, 근속년수는 실제 값, 종업원 수는 자연대수 log값으로 처리, 다른 변수들 은 다음과 같이 더미처리(성별: 남성 1 여성 0, 학력: 대졸 이상 1 전문대졸 이하 0, 노조유 무: 있음 1 없음 . 직급: 부서장/팀장급 1 부서원/팀원급 0, 산업: 제조업 1 서비스업 0)

창의자기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창의 자기효능감은 발언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반면에 변화자기 효능감은 발언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a=.117, n.s; beta=.196, p<.05).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발언 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창의자기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이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창의 자기효능감은 지식공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반면에 변화자 기효능감은 지식공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a=.050, n.s; beta=.225, p<.05).

종속변수 독립변수

창의자기효능감 변화자기효능감

M5 M6 M7 M8

통제변수

성별 .158* .125 .073 .035

연령 .139 .113 .162* .133*

근속년수 -.051 -.014 -.017 .025

학력 .091 .052 .141 .097

노조유무 -.057 -.021 -.005 .036

직급 .204** .128* .181* .095

산업 -.192* -.101 .043 .145

종업원수(규모) .000 -.024 .051 .024

이론변수

공유리더십 .480*** .543***

R2 .117 .330 .093 .367

△R2 .213*** .274***

F-Value 3.035** 10.030*** 2.351* 11.767***

[표 4-7] 공유리더십이 창의자기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주1) * : p<.05, ** : p<.01, *** : p<.001

주2) 통제변수 중 연령, 근속년수는 실제 값, 종업원 수는 자연대수 log값으로 처리, 다른 변수들 은 다음과 같이 더미처리(성별: 남성 1 여성 0, 학력: 대졸 이상 1 전문대졸 이하 0, 노조유 무: 있음 1 없음 . 직급: 부서장/팀장급 1 부서원/팀원급 0, 산업: 제조업 1 서비스업 0)

결국 창의자기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이 직접적으로 발언행동과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변화자기효능감의 증가가 발언행동과 지식공유행동의 향상으 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창의자기효능감보다는 변화자기효능감이 발언행동 및 지식공유행동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결과 값이 도출된 이유는 본

연구의 표본인 중소기업의 경우 창의적 생각 등을 제안할 수 있다는 자신감보다는 변 화에 적응하려는 개인의 적극적인 의도 등이 더욱 중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 단된다. 즉, 중소기업의 경우는 발언행동과 지식공유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는 조직구 성원들의 실제적인 행동변화가 개인의 변화수용을 하려는 적극적 의지를 통해서 가능 하다는 점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종속변수 독립변수

발언행동 지식공유행동

M9 M10 M11 M12

통제변수

성별 -.093 -.125 .028 .004

연령 .018 -.030 -.038 -.082

근속년수 .123 .132 .175 .182

학력 .096 .058 .017 -.020

노조유무 .000 .007 .033 .037

직급 .203** .144 .081 .030

산업 .111 .125 .119 .119

종업원수(규모) -.014 -.024 .037 .026

이론변수

창의자기효능감 .117 .050

변화자기효능감 .196* .225*

R2 .073 .148 .041 .104

△R2 .075*** .063**

F-Value 1.816 3.163** .994 2.104*

[표 4-8] 창의자기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이 발언행동과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주1) * : p<.05, ** : p<.01, *** : p<.001

주2) 통제변수 중 연령, 근속년수는 실제 값, 종업원 수는 자연대수 log값으로 처리, 다른 변수들 은 다음과 같이 더미처리(성별: 남성 1 여성 0, 학력: 대졸 이상 1 전문대졸 이하 0, 노조유 무: 있음 1 없음 . 직급: 부서장/팀장급 1 부서원/팀원급 0, 산업: 제조업 1 서비스업 0)

한편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발굴과 제안 등을 할 수 있다는 신념 등이 실제적인 행 동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점은 중소기업의 내부의 제약뿐만 아니라 외부환경에 대한

제약측면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즉, 중소기업에서는 창의성을 가지고 있는 인재 등 의 생각과 신념의 전파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창의자기 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이 발언행동을 높인다는 가설 5-1과 가설 5-2 중에서 가설 5-2만 지지되고 있었다. 또한 창의자기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이 지식공유행동을 높 인다는 가설 6-1과 가설 6-2 중 가설 6-2만 지지되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8-9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