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 직업연구의 의의와 주체

문서에서 주요 선진국의 직업연구 동향 (페이지 63-68)

1 ) 직업연구의 의의

독일의 직업교육훈련의 제도가 이미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고, 또한 우리 의 직업교육훈련의 제도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왔던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잘 완비된 직업교육훈련의 제도를 질적으로 보완하고 있는 직업연구 에 대해서는 생소하다.

독일에서 직업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 말 이전까지만 해도 일반대학에서 학문상의 관심에 따라 산발적으로 이루어져왔으나, 1967년 노동직업연구소 가 설립된 후 노동시장과 직업과의 연계 속에서 체계적인 연구를 하고 있 다. 독일이 직업연구에 대해서 중요한 관심을 갖는 것은 이러한 연구의 결 과가 직업교육이나 직업훈련뿐만 아니라 일반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 으며, 또한 교육의 기본방향을 설정하는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독일에서 직업연구는 다각적으로 이루어진다. 거시적으로 직업연구는 노 동시장연구와 연계하여 노동시장과 직업에 대한 변화의 추이는 물론 이들에 게 영향을 주는 전반적인 경제적으로 관련이 있는 요소들에 관심과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구조의 측면, 그리고 개별 경제분야에 대한 결정들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W . F r an z 1991 : Bund -esan st alt für A rb eit 1992 ; F . Bu tt ler , 1994).

이와 더불어 직업연구의 범주에는 개별 직업과 직종에 대한 노동시장에서 변화의 추이, 특정한 직업을 갖기 위해 어떠한 교육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가의 관심, 특정한 직업을 갖기 위해 어떠한 자격 요건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부문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들 부문에서 중점을 두 고 있는 연구 사업들은 일차적으로 직업에 대한 구조와 이에 필요한 직업능 력에 대한 것이며, 더불어 이들 직업과 직업능력의 변화 요소에 대하여 집 중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다. 부차적으로 교육체제 전반과 고용체제 안에서 혹은 이 둘 사이에서의 총체적인 이행과정에 대한 연구, 즉 조절과정에 대 한 연구,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또한 교육체제와 고용체제에서 미래적 변화 에 대한 예측을 중요시한다.

독일은 직업연구를 통해 얻은 지식과 인식들을 현실에 적용하여 지속적으 로 직업과 관련한 제반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교육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수요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상담을 해 준다.

2 ) 직업연구의 주체

가 ) 연구기관

독일의 직업연구에 대한 공공 전문기관은 뉴렌베르그(Nürnber g )에 소재한 연방고용안정공단(Bundesan st alt für Arbeit ) 산하기관인 노동직업연구소 (In st it u t für A rb eit sm arkt - un d Beru fsfor schu n g )가 담당하고 있으며, 직업 관련 다른 연구 단체와 밀접한 협력관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노동직업연구소는 직업교육훈련에 관심을 갖고 있는 다양한 민간학 술기관이나 단체와 공동으로 전국적인 조직망인 직업교육훈련연구회 (A rb eit sg em ein sch aft Beru fsbildun g sfor s chu n g sn et z )를 조직하여 직업교육 훈련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이들 직업교육연구회에는 독일 교육학회 의 한 분야인 직업교육학과 경제교육학 위원회의 구성원, 연방직업교육훈련 연구소 (Bun desin stitut für Berufsbildun g - BiBB - )의 구성원, 노동직업연구소의 구 성원 등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직업교육연구회의 활동 목적은 직업교육훈련과 관련한 학문적 연구의 공 동협력은 물론 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상호간의 정보 지원 및 공유, 직업

교육훈련 관련 통계자료, 기록물들, 매년 발간되는 연구결과에 대한 상호교 환을 통하여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연구를 촉진시키는 데 있다.

나 ) 노동직업연구소의 임무와 법적인 기초

정부 차원에서 노동직업연구소의 설립에 대해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65 년 12월부터이다. 독일이 경제적으로 부흥기에 접어들어 새롭게 경제의 틀 과 노동시장에 대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이 분야에 대한 이론 적 배경은 물론 실천적 요소에 대해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정 치・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었다. 즉, 노동시장의 현실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동시장의 정책과 관련한 이론- 실천- 협력 모델 (T h eorie - P r ax is - K ooper at ion sm odell )을 개발할 수 있는 연구기관의 설립 당위성이 주워졌다.

사회법 제3권에 있는 근로촉진법(Arbeit sförderungsrecht )에 의거하여 1967년 에 연방고용안정공단의 산하연구기관으로 설립되었다. 근로촉진법 제280조 에 언급된 연방고용안정공단의 임무가운데 노동시장연구와 직업연구를 하도 록 명시되어 있다. 또한 근로촉진법 제282조에 연방고용안정공단은 노동시 장연구와 직업연구의 내용, 종류, 범위에 대한 설정에 있어서 그들의 독자적 인 정보수요와 노동사회부의 요구를 고려하도록 되어있다.

노동직업연구소(In stitut für Arbeit sm arkt - und Berufsfor schung )는 다음 과 같은 연구의 관심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전반적인 경제와 개별 지역경제 그리고 경제분야에서 노동 인력에 대한 수요를 어떻게 예측하고, 그들을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둘째, 현재와 미래를 대비한 어떠한 질적・양적인 노동력을 제 공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 설정과 예측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셋째, 경제분 야에서의 구조변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기술의 변화들이 노동시장, 개인이 갖고 있는 자격과 직무 행위 등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 는가에 대한 분석에 관심을 두고 있다. 넷째, 직업교육과 직업훈련 사이에 어떠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 영역은 연방고용안정공단의 과제들, 즉 직업과 관련한 모든 통계지표를 만들고 노동시장연구와 직업연구, 직업과 관련된 제반 사항의 보고 등에 일부분으로 포함되어있다.

노동시장연구와 직업연구는 노동시장에 대한 관찰(통계, 실태조사, 보고), 관찰된 사실에 대한 연구(학문적 분석) 그리고 관찰과 연구 결과에 대한 평 가와 응용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 노동직업연구소의 활동과 관련하여 직 업을 연계하기 위한 정보, 직업상담과 같은 사항이 법에 의해 부차적으로 위임되어 있다.

다 ) 학문적 체계의 일부분으로서 노동직업연구소

독일에서 학문적 연구의 대상으로서 노동시장연구와 직업연구는 국민경제 학, 사회학, 경영학, 기술공학, 분석통계학, 교육연구와 직업교육연구, 직업교 육학, 직업론, 미래연구 등과 같은 학문의 내용들이 포괄적으로 관련되어있 다.

연방고용안정공단의 노동시장연구와 직업연구의 중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으로 수집된 정보에 대한 수학적・통계적 분석을 한다. 둘째, 사 회과학적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실증적 연구를 한다. 셋째, 문헌 분석을 중요시한다. 넷째, 실증적 연구에 기초하여 지배적인 판단과 견해에 대한 비판적 논쟁을 한다. 다섯째, 연구물, 문헌, 전문가들, 연구기관에 대한 기록 등을 철저히 한다.

노동시장과 직업연구를 위한 중요한 연구 자료들로는 경제・사회・교육에 관한 정부의 공식적 통계자료나 정부 이외의 기관에서 보고되는 통계자료이 며, 전국민 대상의 인구조사나 직업조사 통계자료, 고용통계, 고용안정공단 의 위탁에 의한 독자적 통계자료 등이다. 부차적인 수단으로는 노동직업연 구소 자체 갖고 있는 도서실, 여러 특별문서 보관실, 컴퓨터 통계 자료실, 연구관련 기록물, 연방고용안정공단의 중앙정보처리소의 자료들이 이용된다.

지금처럼 노동시장과 직업에 관련한 연구, 정책의 개발, 응용이 순조롭게 된 것은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장・단기 노동시장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된

방법, 직업구조분석과 직업경로분석에 대한 연구, 고용통계나 직업선택에 방 법 등 꾸준히 연구 활동의 결과에 기인한다.

라 ) 노동직업연구소의 연구활동분야

노동직업연구소는 10개 영역에 걸쳐 다방면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 각 분 야의 연구 영역을 대략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분야는 장기적 예측과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 노동 인력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예측, 거시적 경제정책의 시뮬레이션, 고용영역 과 형태에 대한 구조변화분석, 외국의 노동시장에 대한 연구, 국제간의 경제 관계와 노동력 이동이 중점 연구의 대상이다.

제 2분야는 단기적인 노동시장 추이에 대한 분석과 예측, 노동시간연구를 한다. 구체적으로 노동의 공급과 수요의 단기적 추이에 대한 분석과 예측, 총체적 노동력의 추량, 작업시간연구, 경영활동 시간연구, 작업량 연구, 노동 시장의 정책적 조치에 대한 결과, 예산의 투입효과분석을 하고 있다.

제 3분야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노동시장연구를 하고 있다. 즉, 노동시장에 서 일어난 일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여성을 비롯한 취업에 문제를 가진 취 약 계층에 대한 연구, 직업의 흐름에 대한 조사, 직업 향상교육과 직업 재활 교육의 인적 관련효과에 대한 분석, 사회과학연구를 한다.

제 4분야는 직업연구와 자격연구를 한다. 이 분야의 노동시장에서 직종과 자격 및 이와 관련한 특성에 대한 추이 분석, 직업상담과 직업소개를 위한 차별화 된 고용 정보, 교육제도와 고용체제에서 유지와 변화에 대한 이해,

제 4분야는 직업연구와 자격연구를 한다. 이 분야의 노동시장에서 직종과 자격 및 이와 관련한 특성에 대한 추이 분석, 직업상담과 직업소개를 위한 차별화 된 고용 정보, 교육제도와 고용체제에서 유지와 변화에 대한 이해,

문서에서 주요 선진국의 직업연구 동향 (페이지 6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