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미혼 성인여성의 정책 수요 정도

미혼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여성의 생식건강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 차원에서 다음 여섯 가지 내용에 대한 동의 정도를 4점 척 도로 측정하였다. 여섯 가지 내용은 ‘(1) 보건소, 의료기관, 성(폭력)상담 소 등 성/생식건강 관련 교육 및 상담의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2) 보건소, 의료기관, 성(폭력)상담소 등 성/생식건강 관련 교육 및 상담 프 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3) 보건소, 의료기관, 성(폭력)상담소 등 성 /생식건강 관련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는 기관 간의 연계가 강화되어야 한 다’, ‘(4) TV교육방송, 인터넷 등에서 체계적인 성/생식건강 관련 교육과 상담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5) 생리대 등 여성 상품 안에 성/생식 건강 관련 정보를 넣어 제공해야 한다’, ‘(6) 혼인 및 출산신고 시 성/생식 건강 및 임신출산 준비 관련 안내책자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에 관한 것 이다.

조사 결과, 4점 만점에 평균 3.2~3.4점으로 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과 (6)의 경우 각 평균 점수는 3.4점으로 가장 높았다.

제5장 미혼 성인여성의 생식건강 교육 및 상담 실태 181

〔그림 5-19〕 지역사회 내 미혼 성인여성의 생식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수요(n=784)

2. 지역사회 내 생식건강 관련 교육 및 상담의 어려움과 한계

보건복지부(2014)의 올해 「지역사회통합 건강증진사업」을 보면, 청소 년층 및 청장년층 남녀를 대상으로 생식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상담, 그리고 홍보사업이 전개하고, 대학 내 자율적 생식건강 증진 기반 조성을 통한 효과적인 생식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 개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 3개 구의 보건소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해 확 인한 결과, 생식건강증진 사업은 실제 추진되고 있지는 않고 있었다. 이 는 지역별 자율성에 맡겨져 있어 의무성이 없었다. 그리고 중앙정부의 생 식건강증진 사업에 딱 맞지는 않지만 기존 사업으로 대치함으로써 사업 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표면적(서류상)으로는 다양한 연령대에 맞는 생식건강증진 사 업이 계획·추진되고 있다고 안내되어 있지만, 지역의 상황은 그렇지 않았 다. 이는 예산과 인력이 부족 문제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182 미혼여성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지원 방안 연구: 학교 및 지역사회 기반의 생식건강 교육 환경 개선

(복지부에서 2014년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 사업 안내 중 여성·어린이 특 화 부분에 생식건강증진사업은 반드시 해야 하지 않나요?) 반드시 해야 된다 기 보다 그 사업 안에 많이 있지만 우리(구)가 집중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잖아요. 그렇게 가는 거죠. (사례 13, 보건소)

(지역사회 학생 및 일반 주민들을 대상으로 예산이 생식건강 관련 교육이나 상담을 하고 있나요?) 없는 관계로, 그리고 사실 신경 쓸 여력도 안 되고 아무 것도 없어요... (중략)... (학생들은) 여기(보건소)를 루트라고 생각을 안 하죠.

걔네들 나름대로 정보가 있어서 아, 거기 가면 뭐가 된다하는 쪽으로 찾아가 지, 무작정 보건소에 올 엄두도 안 날 거고... 와도 해 줄 사람도 없고 그런 거 죠... (중략)... 일단은 보건소에 성교육 전문가가 없어요. 성교육이라는 게 그 냥 보건 관련자고 의료인이라서 할 수 있는 건 절대 아니거든요. 그리고 (보건 소 중에) 산부인과 의사가 있는 데도 있고, 없는 데도 있고, 그런 거죠. 저희 (보건소)가 항상 루틴하게 어떤 인력을 확보하고 있는게 아니잖아요. 그럴 수 도 없고... 어떤 상황에서도 유지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해야 하는 건데, 인력 자체가 안 돼요. (사례 14, 보건소)

이렇게 현실로 인해, 생리 등 관련 증상으로 보건소를 찾는 경우가 극 히 드물다고 하였다. 또한 간혹 방문하는 환자가 있다 하더라도 산부인과 전문의가 부재한 보건소도 많아 진료가 한계가 있고, 조언 및 관련 증상 에 대한 설명 정도 할 수 있는 실정이었다.

저희(보건소) 입장에서도 산부인과를 권하지... 여기서(보건소)는 조언해주고 가능성에 대한 설명을 하지, 여기서 완전한 진료체계는 될 수 없으니까…….

(사례 14, 보건소)

제5장 미혼 성인여성의 생식건강 교육 및 상담 실태 183

또한, 연구진이 방문한 서울시의 한 보건소의 경우, 보건소 업무를 해 당 구(區)의 주민생활복지과에서 주로 관리하고 있었는데, 이 과에서는 성교육 업무를 관할 보건소가 아닌 복지센터에게 주면서, 보건소에서는 성교육을 추진하지 못하거나,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우리는 모르죠. 복지센터나 이런 것도 다 여기서 관리하거든요. 주민생활복지 과에서... 위에서 내려올 때부터 보건이나 생식보건이나 건강관리 등 이런 쪽 은 저희(보건소)한테 해야 될 것 같은데, 저 쪽(복지센터)으로 갔기 때문 에……. (사례 13, 보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