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생식건강 행동실천에 관한 생식건강 교육·상담의 영향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생식건강 관련 행동실천을 하는데 있어 학교 내 생식건강 교육 및 상담이 영향을 있었는지를 앞서 생식건강 관련 교육이 나 상담 중 어느 하나라도 받은 경험이 있는 여학생 519명을 대상으로 조 사하였다. 그 결과, 과반수가 넘는 57.6%이 영향을 받았다(대체로 + 매 우)고 응답하였는데, ‘매우 그렇다’는 응답도 5.7%가 있었다.

〔그림 3-12〕 평소 생식건강 행동실천에 대한 학교 내 생식건강 교육·상담의 영향 정도 (n=519)

96 미혼여성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지원 방안 연구: 학교 및 지역사회 기반의 생식건강 교육 환경 개선

그리고 전체 응답자(708명)을 대상으로 이러한 예방차원의 생식건강 행동실천이 향후 본인들의 생식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에 대해서도 물어 보았는데, 82.5%가 ‘그렇다(대체로 + 매우)’고 응답하 였다. 이는 여성 청소년들이 본인의 생식건강에 관한 예방적 행동실천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실 천행동을 하는 경우는 과반수 정도여서 인식과 실천에서의 차이(gap)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생식건강 교육이나 상담이 관련 행동실천 으로 이어지지 못함을 의미한다.

한편, 이 결과에 대해서는 학년 간 차이는 없었다. 즉, 학년에 상관없이 관련 행동실천이 향후 생식건강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데 대한 인식 수준 은 비슷하다는 것과 또한 앞서 지적한 인식과 실천 간의 차이도 학년에 상관없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모든 학년을 대상으로 한 인식 제고 및 이를 통한 행동 실천을 이끄는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림 3-13〕 생식건강 행동실천이 향후 생식건강에 대한 영향 정도(n=708)

제3장 여성 청소년의 생식건강 교육 및 상담 실태 97

2. 일반적인 건강관리와 생식건강 교육 및 상담의 영향 가. 일반적 건강관리 실천 현황

여성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평소 건강관리를 어느 정도 하고 있고, 학교 보건교육 및 상담이 건강관리를 실천하는데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이 러한 건강관리 행동이 향후 본인의 건강한 임신에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 해 조사하였다.

먼저 평소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관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10가 지 항목을 제시하고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이들 항목은 다음과 같이

‘(1) 1회 20분 이상, 일주일에 3번 이상 규칙적으로 신체활동(걷기 운동 포함)을 한다’, ‘(2) 아침 식사를 거르지 않고, 규칙적인 식사를 한다’, ‘(3) 하루에 6-8시간 수면을 취한다’, ‘(4) 인스턴트 식품(피자, 콜라, 라면 등) 섭취를 피한다’, ‘(5) 정상 체중을 유지한다’, ‘(6) A,B형 간염 면역상태를 체크하고, 필요시 예방접종을 받는다’, ‘(7) 몸이 아프거나, 이상이 생기 면 전문가(의사, 보건교사 등)의 도움을 구한다’, ‘(8) 외출 시 집에 돌아오 면 손발을 깨끗이 씻어 청결상태를 유지한다’, ‘(9) 담배를 피우지 않는 다’, ‘(10) 음주를 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하지 않는다’에 관한 것이다. 이 런 항목들은 평소에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사항들 이다.

평균 3점 이상, 즉 건강관리를 잘 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를 기준으 로 10가지 항목을 구분하였는데, 우선 3점 이상의 경우 (8), (9), (10), 그 리고 3점 미만은 나머지 (1)~(7)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점 미만 에서 특히, ‘(4) 인스턴트식품(피자, 콜라, 라면 등) 섭취를 피한다’의 경 우는 평균 점수가 2.3점으로 가장 낮아, 여학생들에게 있어 가장 취약한

98 미혼여성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지원 방안 연구: 학교 및 지역사회 기반의 생식건강 교육 환경 개선

건강관리 부분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서는 학년 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여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청소년들이 방과 후 학습 과정에 서 끼니를 놓치거나, 혹은 피자나 라면 등 인스턴트식품으로 끼니를 때우 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사회현상이 본 연구 결과에서도 그대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림 3-14〕 여성 청소년의 평소 건강관리 행동 정도(n=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