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사회 발전 조직 연결망의 심화‧확장

4.1. 주민 조직 연결망의 발전: 홍동면 장곡면

특정한 지역사회 발전 기획을 실행하려는 단위 조직 하나가 형성되는 것 자체가 사회 연결망의 변화이지만, 홍동면‧장곡면 일대의 사회 연결망 변화 를 중범위 수준에서 고찰하면 조직-조직의 연결망, 조직-개인, 개인-개인의 연결망이 다층적으로 형성되면서 심화‧확장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농촌 지역사회의 발전은 사회 연결망의 심화‧확대 과정에 다름 아니다. 사회 연 결망의 심화‧확대는 사회 자본 축적의 지표라고 이해할 수 있다.

사회 연결망 심화‧확대 메커니즘은 두 개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조 직 설립‧파생‧전환이다. 특정한 필요가 발생할 때, 농촌 지역사회 주민은 조 직을 만들어 대응한다. 필요는 지역사회 내부에서 인식되지만, 지역사회를 둘러싼 외부 환경 변화가 새로운 필요를 낳기도 한다. 설립된 조직이 제 역할을 수행하는 도중에 필요의 내용이 변화하거나 새로운 필요가 식별되 면 기성 조직으로부터 새로운 조직이 파생되거나 기성 조직이 형식이나 기 능을 바꾸는 전환 사건이 일어나기도 한다. 새로운 조직이 파생되거나 기 성 조직이 전환되는 경우, 기성 조직과 주민 개인들의 사회 연결망이 토대 로 기능한다. 이는 지역사회 내 사회 연결망의 확대를 주도하는 주요 과정 이다.

둘째, 현존하는 여러 지역사회 조직들 간의 연대다. (1) 기성 조직들의 역량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과제(필요, 문제)가 부각될 때 협력 활동이 전개 되거나, (2) 연대를 통해 개별 조직의 투입-산출 과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때 지역사회 발전 조직들이 협력, 의사소통, 자원 공유 등의 형식을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3) 늘어난 지역사회 조직들이 기능적으로 그리고 인적 구성 측면에서 분화되는 경향이 나타나 의사소통이 필요한 상 황이 된다. 이상이 사회 연결망 심화를 주도하는 주요 과정이다.

개인들이 협동조직을 만드는 수준이 아니라 개인들뿐만 아니라 여러 조

직들이 참여하는 사회 연결망이 확장되는 경우가 있다. 복잡해진 조직들의 연결망 구조에서 조직 및 개인들 사이의 의사소통 필요성이 부각된다. 가 령, ‘마을활력소’가 ‘달모임’을 기획하고 실행하거나 최근에 ‘마을학회’가 설립된 사건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 연결망을 분석 하였다.

홍동면‧장곡면 일대에서 2010년 이후 지역사회 발전 조직이 크게 늘어나 면서 조직 간의 의사소통, 조직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활동 기획 및 실행, 신생 조직 활동에 대한 실무 지원 등을 수행할 조직을 설립할 필요성이 제 기되었다. 이른바, ‘면 단위 자생적 중간지원조직’이라고 실무자들 스스로 성격을 규정한다. 2011년에 홍동면 운월리에 지은 신축 건물에 사무실을 둔 마을활력소를 설립했다. 마을활력소를 설립하기 전부터 지역사회 조직 간의 의사소통은 새롭게 제기된 문제였다.

그 문제에 대응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2010년부터 홍동면의 각종 단체 들의 활동 상황을 정기적으로 공유하는 소식지(마실통신)를 발간하였다.

2011년부터는 마을활력소 주관하에 마실통신이 발간되었으며, 2017년 10 월 15일 기준 통권 115호가 발간되었다. 마실통신에는 개별 조직들의 근황 을 알리는 기사와 더불어 여러 조직들이 공동으로 진행한 협력 활동의 내 용과 참여 조직을 소개하고 있어 연결망 분석에 활용할 좋은 자료다. 게다 가 발간 첫해(2010년)는 마을활력소가 설립되기 전이어서 지역사회 내 의 사소통을 주목적으로 하는 조직 설립 이후의 사회 연결망 변화를 관찰하기 에 좋은 자료다.28

28

2010년에 발간된 마실통신 1~19호, 2016년 발간된 89~99호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마실통신에 등장하는 둘 이상의 지역사회 조직이 참여한 활동이

나 행사의 내용과 참여 조직을 조사하여 소속 연결망 행렬을 구성했다. 그것을

다시 조직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행렬로 전환해 중심성, 밀도, 구조적 공백 등

의 지표를 도출하고 분석했다. 이 같은 방법 적용에는 한 가지 가정이 있다. 공

동 활동에 함께 참여한 빈도가 높은 조직일수록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가

능성이 높다고 가정한다. 공동 활동에 중첩적으로 참여하는 조직들 사이의 관

계가 그렇지 않은 조직과의 관계보다 더 긴밀할 확률이 높다고 가정하는 것이

다. 마실통신에 홍동면 지역 모든 조직의 소식이 포함되지는 않는다. 각 조직

지역사회 조직들의 연결망은 2010년과 2016년 사이에 전체 직경 (diameter) 측면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런데 연결망을 구성하는 조직 들의 수가 증가했으며(확대), 조직들 사이의 밀도(density)와 평균 연결중심 성(average degree)도 증가했다(심화). 연결망에 편입된 조직 수가 늘어난 것은 2010년 이후 홍동면‧장곡면 일대에서 여러 조직들이 생겨나 협력 활 동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2010년 이전에 설립되었으나 이 연결망에 참여하 지 않았던 단체들도 2016년에는 참여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지역사회 조직들 간의 협력 활동이 그 외연을 성공적으로 확장했다.

연도 조직

(node)

맺어진 관계

(link) 관계의 밀도 평균연결

중심성 직경

2010년 28개 75개 0.198 2.679 4

2016년 42개 288개 0.334 6.857 4

<표 4-8> 홍동면‧장곡면 지역사회 조직의 연결망 지표 변화

밀도와 평균 연결중심성이 증가했다는 점은, 협력 활동에 참여하는 단체 들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협력 활동의 양이 상당 수준 증가해서 이 연 결망이 느슨해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즉 지역사회 조직들의 협력 활동 빈도가 증가하는 것과 더불어 조직 간의 관계가 심화되었다.

이 연결망의 직경에 변화가 없다는 점은 홍동면‧장곡면의 지역사회 조직 들 사이에 친소 관계가 위계적이지 않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협력 활동에 참여하는 조직들 사이에는 어떤 경우든지 최장의 경우 ‘세 다리를 건너면’ 만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좁은 범위에서, 중층의 위계적 우산 구조를 유지하는 대형 조직도 없다면, 그리고 지역사회 외부 의 조직이 연결망에 참여하지 않고, 연결망에 속한 모든 조직들이 하나의

이 자율적으로 일정이나 홍보할 내용을 발행처(마을활력소)에 보내고, 발행처

가 취합 정리해 발간한다. 실제로 공동 활동이 있더라도 마실통신에 소식을 전

송하지 않는 경우 이 분석에서는 제외되는 한계가 있다.

<그림 4-2> 홍동면‧장곡면 지역사회 조직 간 협력 관계 연결망

2010년

망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직경은 3이 되기도 어렵다.

직경이 4라는 점은 이 연결망에 지역사회 외부의 조직이 포함되어 있으면 서, 연결망 내부에 매개중심성이 높은 조직이 둘 있기 때문이다. 홍동면‧장곡 면 외부 조직(주로 민간 재단이나 공공기관)이 연결망에 속하는 동시에, 마 을활력소 외에 매개중심성이 높은 조직이 있기 때문에 직경이 4일 것이다.

<그림 4-2> 홍동면‧장곡면 지역사회 조직 간 협력 관계 연결망

2016년

구분 2010년 2016년

순위 2010년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1 풀무생협 0.519 풀무학교 전공부 0.37 풀무생협 0.462

2 풀무학교 전공부 0.519 풀무생협 0.174 홍성유기농영농조합 0.389

3 홍성친환경작목회 0.481 홍성친환경작목회 0.162 풀무학교 전공부 0.328

4 홍성유기농영농조합 0.37 홍동초등학교 0.147 클러스터사업단 0.32

5 클러스터사업단 0.333 홍동중학교 0.098 환경농업교육관 0.29

6 풀무학교생협 0.333 풀무학교 고등부 0.097 풀무학교생협 0.268

7 환경농업교육관 0.296 갓골생태농업연구소 0.074 홍성친환경작목회 0.268

8 홍동중학교 0.259 반짇고리공방 0.074 갓골연구소 0.194

9 갓골연구소 0.222 클러스터사업단 0.042 그물코출판사 0.194

10 그물코출판사 0.222 풀무학교생협 0.042 풀무학교 고등부 0.147

순위 2016년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1 마을활력소 0.78 마을활력소 0.262 마을활력소 0.336

2 햇살배움터교육네트워크 0.61 햇살배움터교육네트워크 0.081 홍성여성농업인센터 0.329 3 홍성여성농업인센터 0.61 풀무학교 고등부 0.078 풀무학교 생협 0.312 4 꿈이자라는 뜰 0.585 주민자치위원회 0.073 예산홍성환경운동연합 0.31

5 동네마실방 뜰 0.585 홍성여성농업인센터 0.053 꿈이자라는뜰 0.304

6 풀무학교 고등부 0.585 홍성군 농업기술센터 0.045 풀무학교 전공부 0.288

7 풀무학교 생협 0.585 홍동중학교 0.018 동네마실방뜰 0.281

8 풀무학교 전공부 0.585 꿈이자라는뜰 0.008 씨앗도서관 0.255

9 홍성우리마을의료생협 0.537 동네마실방뜰 0.008 홍성우리마을의료생협 0.219 10 예산홍성환경운동연합 0.512 풀무학교 생협 0.008 얼뚝생태건축협동조합 0.212

<표 4-10> 홍동면‧장곡면 지역사회 조직 협력 관계 연결망 중심성 분석

농업 영역에서 여러 실천을 하던 지역사회 조직 가운데 규모가 큰 편인 조직들이 2010년에 연결중심성 지수가 높았는데, 2016년에는 햇살배움터교 육네트워크나 홍성여성농업인센터 같은 교육‧문화‧복지 영역의 지역사회 조 직의 연결중심성 지수가 높아졌다. 그 이유를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연결중심성 지수가 높은 조직은 협력 활동을 주도해 나가는 조직 으로서 각종 자원 동원 역량이 상대적으로 클 확률이 높다. 햇살배움터교 육네트워크와 홍성여성농업인센터는 2010년대 들어 각기 지역사회 외부로 부터 경상비 지원을 꾸준히 받는 조직이면서, 그 활동이 여타의 조직들과 협력해서 추진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들이 많았다. 둘째, 풀무생협, 클러스터사업단, 홍성친환경작목회 등 농업 영역 조직이 그 시기에 분할되 거나 해산하였다. 셋째, 규모가 크지도 않고 자원 동원 능력이 월등히 높지 도 않지만 협력 활동을 기획하고 의사소통 과정을 주도하는, 이른바 ‘중간 지원조직’의 기능을 2010년에는 풀무학교 전공부와 갓골생태농업연구소가 수행했는데 그 역할을 2011년에 설립된 마을활력소가 주로 수행하기에 이 르렀다. 매개중심성 지수 상위 조직의 변동 현황 또한 유사한 함의를 제공 한다. 넷째, 지역사회 조직들의 협력 활동에는 신생 조직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꿈이자라는뜰, 동네마실방뜰, 홍성우리마을의료생 협 등이 다양한 협력 활동에 잦은 빈도로 참여했다.

2016년 중심성이 높은 단체 중 ‘햇살배움터교육네트워크’와 ‘홍성여성농 업인센터’는 서로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두 단체는 2010년에도 활동했으 나, 중심성 지수는 높지 않았다. 그러나 운영 방식을 바꿔 지역 내 단체나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거나 연결하면서 단체의 중심성이 높아졌다. 지원의 형식에는 강의료 지원, 활동 공간(회의실, 연습실) 지원 등이 있었다. 여러 분야의 조직 간 협력 사업을 기획하면서 상호 네트워킹을 돕고 지역 내 자 원을 활용할 수 있게 연결하고 있다.

커뮤니티 분석은 같은 커뮤니티 내에 속한 노드들 간의 연결 밀도가 다 른 커뮤니티에 속한 노드 간의 연결 밀도보다 긴밀한 그룹을 커뮤니티라고

커뮤니티 분석은 같은 커뮤니티 내에 속한 노드들 간의 연결 밀도가 다 른 커뮤니티에 속한 노드 간의 연결 밀도보다 긴밀한 그룹을 커뮤니티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