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도별 요양기관 추이를 살펴보면 전체 요양기관 수는 2011년 777개에서 꾸준 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며 2021년에 481개로 나타났다. 종별에 따른 연도별 변 화를 살펴보면 상급 종합병원은 2011년도 44개에서 소폭 감소하다 2021년도에 다시 44개로 유지되었으며 종합병원의 경우 2011년에 100개에서 2021년에 79 개로 꾸준히 감소하였다. 병원의 경우 2011년에 135개에서 2014년도에 147개까 지 증가하다가 다시 15년도부터 감소하여 2021년에는 131개까지 감소하였다. 의 원의 경우 2011년에 484개였으나 계속 감소하여 2021년에는 214개로 감소하였 다. 조산원의 경우 2011년에 13개에서 2014년에 20개까지 증가하였으나 2015년 도에 감소하다 2016년에 0개, 이후 2017년에 16개로 나타났고 이후 소폭 감소하 여 2021년에는 13개까지 감소하였다. 보건기관의 경우 2011~2013년까지 1개가 있었으나 이후 0개로 유지되고 있다.

<표 Ⅱ-3-1> 연도별・요양기관별종별 분만을 받는 기관 수 추이

종 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년

상급종합 44 43 43 42 42 42 41 41 41 41 44

종합병원 100 97 91 90 85 88 86 84 83 84 79

병원 135 140 145 147 141 136 144 144 141 139 131 의원 484 445 409 376 334 299 284 276 251 238 214

조산원 13 13 17 20 18 0 16 16 15 15 13

보건기관 1 1 1 0 0 0 0 0 0 0 0

총계 777 739 706 675 620 565 571 561 531 517 481 자료: 보건복지부(2022). 2022년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안내. p. 2. 제시된 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분만관련 수가코

드가 청구된 입원명세서 건수 산출한 자료이며, 해당 분류번호는 자435, 자436, 자438, 자450, 자451, 조산원 분만임.

산부인과 의원수를 살펴보면 2011년에 1,508개에서 꾸준히 감소하여 2020년 에 1,301개까지 감소하였다가 2021년에 1,313개로 소폭 상승하였다. 신규 산부 인과 전문의 수는 2011년 96명에서 2012년 90명으로 감소하였다가 2013년에 116명으로 증가하였다. 이후 2016년에 96명까지 감소하였다가 꾸준히 증가하여 2021년 124명으로 나타났다. 전공의 정원의 경우 2011년 186명에서 2012년

187명으로 비슷한 수치를 보이다 2013년 170명, 2014년 163명으로 감소하였다.

이후 2015년 171명으로 잠시 상승하였으나 2016년부터 다시 감소하여 148명, 2017년 149명, 2018년 147명이었다. 이후 2019년에 다시 증가하여 162명, 2020년 167명, 2021년 160명으로 나타났다.

<표 Ⅱ-3-2> 산부인과 의원수 및 전문의 배출 현황

구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산부인과

의원수(개) 1,508 1,457 1,397 1,366 1,352 1,349 1,319 1,313 1,311 1,301 1,313 신규 산부인과

전문의 수(명) 96 90 116 107 102 96 100 131 137 134 124 전공의 정원(명) 186 187 170 163 171 148 149 147 162 167 160 자료: 보건복지부(2022). 2022년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안내. p. 3. 제시된 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분만관련 수가코

드가 청구된 입원명세서 건수 산출한 자료이며, 해당 분류번호는 자435, 자436, 자438, 자450, 자451, 조산원 분만임.

2022년 1/4분기 시군구별 전문과목별 전문의 인력현황을 보면 전체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5,983명, 소아청소년과는 6,119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았 을 때 서울의 산부인과 전문의가 1,598명,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1,342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 경기도 산부인과 전문의가 1,364명, 소아청소년 과 전문의가 1,569명으로 나타났고 세 번째로 부산이 각각 467명, 437명으로 나 타났다. 가장 낮게 나타난 지역은 세종시의 산부인과 전문의가 28명,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63명이며 그다음으로 제주권 산부인과 전문의가 66명, 소아청소년과 전문 의가 72명, 세 번째로 낮은 지역은 울산시로 각각 111명, 116명으로 나타났다.

<표 Ⅱ-3-3> 2022년 1/4분기 시군구별 전문과목별 전문의 인력현황

시/도 2022.1/4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전체 5,983 6,119

서울 1,598 1,342

부산 467 437

대구 330 352

인천 280 311

광주 211 234

자료: 건강보험통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시군구별 전문과목별 전문의 인력현황(2022 1/4분기).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HIRA4S&conn_path=I3 (2022. 6. 16.

인출)

분만 병실 및 병상수를 신생아 수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전국 평균으로 분만 병 실 당 신생아수는 205.1명이었으며 분만병상 당 신생아수는 132.1명이었다. 분만 병실 당 신생아 수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세종시로 315.3명이었으며 다음으로 제 주권 306.8명, 전남 295.1명 순이었다. 분만병상 당 신생아 수가 가장 많았던 지 역 역시 세종으로 315.3명이었으며 다음으로 전남 226.5명, 제주권 181.3명 순이 었다.

<표 Ⅱ-3-4> 분만 병실 및 병상 수(2020년)

시/도 2022.1/4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대전 193 209

울산 111 116

세종 28 63

경기 1,364 1,569

강원 149 155

충북 142 146

충남 186 181

전북 184 200

전남 158 163

경북 207 194

경남 309 375

제주권 66 72

시/도 출생아수

(A) 병실(B)

병실 당 신생아 수(A/B)

병상(C)

병상 당 신생아 수(A/C)

전체 272,337 1,328 205.1 2,062 132.1

서울 47,445 251 189.0 464 102.3

부산 15,058 114 132.1 165 91.3

대구 11,193 61 183.5 93 120.4

인천 16,040 73 219.7 98 163.7

광주 7,318 26 281.5 53 138.1

대전 7,481 52 143.9 82 91.2

울산 6,617 34 194.6 46 143.8

출생아 수 자료: 통계청 보도자료(2021. 8. 25). 2020년 출생통계.

병실 및 병상 수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국민건강보험공단(2021). 2020년 건강보험통계연보. 요양기관 지역별 특 수진료실 현황.

신생아 병실 및 병상수를 신생아 수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전국 평균으로 신 생아 병실 당 신생아수는 414.5명이었으며 신생아 병상 당 신생아수는 39.3명이 었다. 신생아 병실 당 신생아 수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세종시로 578.0명이었으며 다음으로 전남 541.0명, 광주 522.7명 순이었다. 신생아 병상 당 신생아 수가 가 장 많았던 지역 역시 세종으로 78.8명이었으며 다음으로 제주권 66.5명, 전남 62.4명 순이었다.

<표 Ⅱ-3-5> 신생아 병실 및 병상 수(2020년)

시/도 출생아수

(A) 병실(B)

병실 당 신생아 수(A/B)

병상(C)

병상 당 신생아 수(A/C)

세종 3,468 11 315.3 11 315.3

경기 77,737 319 243.7 470 165.4

강원 7,835 41 191.1 62 126.4

충북 8,607 49 175.7 62 138.8

충남 11,950 74 161.5 92 129.9

전북 8,165 49 166.6 82 99.6

전남 9,738 33 295.1 43 226.5

경북 12,873 59 218.2 98 131.4

경남 16,823 69 243.8 119 141.4

제주권 3,989 13 306.8 22 181.3

시/도 출생아수(A) 병실(B)

병실 당 신생아

수(A/B) 병상(C)

병상 당 신생아 수(A/C)

전체 272,337 657 414.5 6,937 39.3

서울 47,445 123 385.7 1,292 36.7

부산 15,058 47 320.4 546 27.6

대구 11,193 26 430.5 401 27.9

인천 16,040 34 471.8 347 46.2

광주 7,318 14 522.7 176 41.6

대전 7,481 27 277.1 313 23.9

울산 6,617 14 472.6 284 23.3

세종 3,468 6 578.0 44 78.8

출생아 수 자료: 통계청 보도자료(2021.8.25.). 2020년 출생통계.

병실 및 병상 수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국민건강보험공단(2021). 2020년 건강보험통계연보. 요양기관 지역별 특 수진료실 현황.

각 기관당 분만 건수를 살펴보면 2012년 631.1건, 2013년 607.4건에서 점차 증가하여 2015년 700.3건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 꾸준히 줄어들며 2020 년 527.6건까지 감소하였다. 기관 당 제왕절개 건수를 보면 2012년 231.7건에서 소폭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며 2020년 282.8건으로 나타났다.

[그림 Ⅱ-3-1] 기관 당 분만 건수

자료: 요양기관 종별 분만 심사실적(2012~2020). 건강보험통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s://kos 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HIRA4G&conn_path=I3 (2022. 6. 16. 인출)의 자료를 기관 당 분만 건수와 제왕절개 건수로 산출하여 도식화함.

시/도 출생아수(A) 병실(B)

병실 당 신생아

수(A/B) 병상(C)

병상 당 신생아 수(A/C)

경기 77,737 154 504.8 1,549 50.2

강원 7,835 25 313.4 165 47.5

충북 8,607 25 344.3 201 42.8

충남 11,950 30 398.3 280 42.7

전북 8,165 29 281.6 266 30.7

전남 9,738 18 541.0 156 62.4

경북 12,873 41 314.0 374 34.4

경남 16,823 35 480.7 483 34.8

제주권 3,989 9 443.2 60 66.5

2020년 시/도별 보건소, 보건지소, 건강생활지원센터, 보건진료소 현황을 살펴 보면 2020년 기준 3,571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보건진료소가 1,901개로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고, 다음으로 보건지소 1,337개소, 보건소(보건의료원포함) 가 256개소, 마지막으로 건강생활지원센터가 77개소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남 진역이 570개소로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으며 다음으 로 경북 560개소, 경남 419개소이다. 가장 적게 운영하는 지역은 대전과 세종 각 19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뒤이어 광주 24개소, 울산 25개소로 나타났다.

<표 Ⅱ-3-6> 2020년 시/도별 보건소, 보건지소, 건강생활지원센터, 보건진료소 현황

시도

2020

합계

보건소 (보건의료원

포함)

보건지소 건강생활

지원센터 보건진료소

계 3,571 256 1,337 77 1,901

서울 53 25 28 0 0

부산 37 16 10 6 5

대구 28 8 9 3 8

인천 69 10 26 8 25

광주 24 5 0 9 10

대전 19 5 6 0 8

울산 25 5 8 1 11

세종 19 1 10 1 7

경기 344 46 121 16 161

강원 254 18 100 7 129

충북 270 14 96 2 158

충남 408 16 151 6 235

전북 405 14 150 4 237

전남 570 22 215 6 327

경북 560 25 223 1 311

경남 419 20 173 5 221

제주권 67 6 11 2 48

자료: 보건복지부(2020). 보건소 및 보건지소 운영현황.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T X_117191104&conn_path=I3 (2022. 6. 16. 인출)

전국 산후조리원 현황을 살펴보면 2015년 610개소, 2016년 612개소였다가 꾸 준히 감소하여 2021년 492개소로 2015년도 대비 118개소가 감소하였다. 2021 년도 기준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경기도가 154개소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서울시가 121개소로 나타났으며 그 외 다른 지역들은 28개소 이하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 수가 적은 순위로 살펴보면 광주시, 제주도가 각 6개소로 가장 적었으 며 그 다음으로 세종시 7개소, 울산시 8개소로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Ⅱ-3-7> 전국산후조리원 현황표

시도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1-2015

전국 610 612 598 548 518 501 492 -118

서울시 159 157 150 143 132 124 121 -38

부산시 29 29 29 27 28 25 24 -5

대구시 32 30 32 26 24 24 22 -10

인천시 32 33 32 30 30 27 26 -6

광주시 8 9 9 8 8 7 6 -2

대전시 20 19 19 14 12 11 11 -9

울산시 8 8 9 8 7 7 8 0

세종시 1 1 2 6 5 6 7 6

경기도 181 185 179 163 154 153 154 -27

강원도 16 17 16 16 16 17 17 1

충청북도 14 13 13 11 11 11 10 -4

충청남도 17 17 18 16 16 14 14 -3

전라북도 20 18 17 16 15 14 13 -7

전라남도 10 10 10 11 11 12 12 2

경상북도 20 23 21 16 13 12 13 -7

경상남도 33 33 33 29 27 29 28 -5

제주권도 9 10 9 8 9 8 6 -3

자료: 보건복지부에서 공표하는 산후조리원 명단을 근거로 연구진이 분석한 자료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