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 과제와 농업정책

문서에서 세 계 농 업 (페이지 194-199)

[TSE] 2018-20년 분석 대상 54개 국가의 총 농업지원 추정치는 연간 7,200억 달러 규모로 나타났으며, 이는 2000-02년의 두 배 수준임.

-(PSE) 시장가격지지, 직불금 등 재정지출 등을 통해 생산자에게 지원한 규모는 전체

의 75%인 5,400억 달러임.

-(GSSE) 인프라 구축, 혁신·연구개발(R&D), 방역 등 일반서비스 지원은 14.1%인

1,020억 달러임.

-(CSE) 취약계층에 식품 지원하는 프로그램 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지원 규모는

약 11%인 780억 달러임.

<그림 4> 회원국의 농업지원 분류, 2018-2020

 농업분야 지원 수준에 대하여 OECD는 생산자 중심의 지원 구조가 크게 개선되지 않고, 농업혁신을 유도하는 정책의 소극적 확대가 농정 개혁의 정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함.

 지속가능한 생산성 향상, 회복력 개선 등의 잠재적 효과가 있어 농업 분야 전반을 발전 시킬 수 있는 GSSE는 TSE 중 14.1%에 불과함.

- OECD 회원국의 GSSE는 TSE 중 13%, 신흥경제국은 20%이며, 분야별로는 인프 라 9%, R&D 6%, 방역 2% 순임.

 농업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측정 시 CSSE는 OECD 회원국5)은 5.6%, 신흥 경제국은 3.0%에 불과함.

- 이러한 지원 구조는 생산자의 소득향상에 비효율적이고, 생산과 직접적으로 연결되 어 있는 지원은 소득의 양극화를 심화하며, 무분별한 생산 증대로 환경적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함.

- 또한,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저해하고 교역을 왜곡하는 지원은 세계 식량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국제 농식품 시장의 가격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 고 지적함.

정책권고

 제고와 회복력 증대를 도모하며, 식품시스템이 직면한 3중 과제 해결을 촉진하기 위한 3가지 농정 개혁 방안을 제안함.

 1. 시장가격 개입 및 시장 왜곡적 생산자 지원의 단계적 축소

- 생산자들이 이러한 정책 변화에 적응하며, 관련 정책들이 현장에 연착륙하기 위해 과도기적인 보완방안과 사회안전망 확충을 통해 이에 대한 부작용을 상쇄하는 것이 중요함.

 2. 생산자 맞춤형 지원을 통해 소득지원이 필요한 농가를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정책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가능한 경우 사회 ·경제 전반의 정책과 통합하여 운영 - 맞춤형 농정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농가의 소득과 자산 등 보다 많은 경영체 정보와

사회·경제학적 데이터와의 원활한 연계가 필요함.

- 생산자 개인이나 시장이 다룰 수 없는 농업의 위험관리를 보다 정책적으로 체계화 하기 위해 관련 정책들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

5) 스위스 16%, 일본 16%, 한국 12% 순으로 가장 높음.

 3. 공공재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특히 농업 혁신시스템에 대한 공공지출의 방향을 재조정하여 실시

- 혁신시스템에 대한 투자가 향후의 농업 지원정책의 핵심임.

- 필요 재원은 시장 왜곡적인 재정지원을 개혁하고 농업소득과 농외소득이 평균 이상 인 농업인에 대한 소득지원을 재분배하여 마련함.

국내 농업정책에 대한 현황 및 평가

1. 농업지원

 한국은 지속적인 농정 개혁을 통해 농업지원 구조를 점진적으로 개선 중임.

- 기존 직불 프로그램을 통합·조정하여 새로운 직불 프로그램(공익직불)을 2020년에 도입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업지원 수준이 여전히 OECD 평균(18%)을 상회하며, 시장 왜곡 적인 형태의 지원 비중이 높은 상황임.

- 한국의 %PSE는 1986-1988년 62.3%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8-2020년 에 46.7%가 되었으나 OECD 평균보다 보다 2.6배 높아 시장가격지지(MPS, 국내 외 가격 차이)가 PSE의 90%를 차지함.

- 농업 부가가치 대비 일반서비스에 대한 지원은 12%로 OECD 평균(5.6%)을 상회함.

<그림 5> 한국의 국내 농업지원 현황

1986-1988 2000-2002 2018-2020

2. 주요 정책 변화

[직불] 2020년에 기존의 쌀, 밭작물, 조건불리지역에 대한 직불을 통합한 새로운 직불제 도를 대폭적으로 개편함.

- 기존의 쌀 직불금은 현재 생산 여부와 무관하게 과거 면적을 기준으로 지급되며 환 경 교차준수 요건이 강화됨.

[농업환경] 농업분야 탄소중립 전략의 일환으로 스마트농업으로의 전환, 저탄소 농법 개발 및 확산, 친환경에너지 순환 농업 관련 추진계획이 포함됨.

[농업인력] 청년과 여성을 농업·농촌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농업의 디지털화 촉진, 교육 및 훈련 서비스 제공, 농촌 거주 인프라 확대, 여성 농업인 육성 5개년 계획 등 추진함.

[혁신 R&D] 스마트팜 혁신 벨리 프로젝트6) 등 농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첨단기술 개발

을 지속적 추진함.

[코로나19 대응] (공급망) 유동성 악화 농가에 긴급 정책 자금 지원, 농기계 및 장비 임대료에 대한 일시적 보조 추진, (노동력) 농촌지역의 계절 이주노동자 부족 문제 해결 을 위해 관련 비자규정 완화 및 현지 일자리매칭 센터 확대, (수요 및 소비) 판로 확대를 위한 비대면 유통채널 접근성 강화, 화훼 소비 홍보 캠페인 실시, 농산물할인 쿠폰 제공 등 소비자 수요변화에 대응 등이 있음.

3. 평가 및 권고

 농업인력 감소와 고령화에 직면한 한국 농업은 생산성 개선과 더불어 자원 및 환경 보존과 같은 사회적 요구를 충족해야 하는 상황임.

- 지속적인 농정개혁에도 불구하고 생산자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원은 생산자의 의사 결정을 왜곡하고 시장가격을 인상시켜 환경과 자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 이 크며, 농업혁신과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음.

6) 2022년까지 스마트팜 7,000ha, 축사 5,750호의 농가 보급과 「스마트팜 혁신밸리」 4개소 구축하여 연구기관부터 유통기업 에 이르는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농식품단지 건설함.

 2020년에 시행한 직불제 개혁을 통해 품목 특정적인 보조를 낮추고, 농업 생산의 다양 화(다각화)를 통해 시장왜곡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다만, 새로운 제도가 농가 수준까지 정착되기 위해서 지역 수준의 세밀한 정책 점 검과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필요함.

 친환경 농업과 생태계 보존은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책의 우선순위로 자리매김해야 할 필요가 있음.

- 가축분뇨 관리를 개선하여 영양 과잉을 줄이고, 높은 물 스트레스 하에서 관개용수 사용을 규제하기 위한 추가 노력이 필요함.

 농업 분야의 청년 및 숙련노동자 부족과 도농 소득격차 확대는 농업·농촌 정책의 주요 장애물임.

- 노동력 부족과 저소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촌 거주 인프라 확충, 고용 기회 창 출, 농업에서 은퇴하려는 고령 농업인을 위한 사회보장제도 확충, 소득원 다양화 등 을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함.

 농업 R&D에 대한 공공투자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정부 주도의 투자는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요구를 부합하기가 어려움.

- 보다 경쟁력 있고 수요 중심의 R&D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민간 부문의 투자와 참여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

 코로나19에 대한 신속한 정책 대응으로 한국은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지 않고 농식품 산업에 대한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함.

- 다만, 경기침체와 수요 감소는 농업분야의 생산, 투자 및 고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고, 농식품의 생산과 소비에 장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 으로 면밀히 대응할 필요가 있음.

※ 자료: 주간농업농촌식품동향(2021.08.02.). 미래정책연구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문서에서 세 계 농 업 (페이지 194-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