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학교교사의 욕구수준간 직무만족도

남지역교사들은 강북지역교사들보다 인간관계, 교육과정운영에서 만 족치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 중학교교사의 욕구수준간 직무만족도 차이

1. 전체교사

중학교교사의 일반적 욕구수준간 전체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어떻 게 다른가를 분석한 결과는 <표-15>와 같다

<표-15> 욕구수준간에 전체교사의 직무만족도 차이

구분

욕구 N M SD 상위집단 100 3.34 .47 하위집단 112 3.13 .38 t 3.504**

p .001 ** P 〈 .01

<표-15>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볼 때 직무만족이 모두 보통이나,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의 직무만족도(M=3.34)가 욕구수준이 낮은 집단 의 직무만족도(M=3.13)보다 컸으며, 유의한 차(p<.01)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욕구수준이 높은 교사들은 그렇지 못한 교사들 보다 더 자기직무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성별

중학교교사의 욕구수준간에 남녀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어떻게 다 른가를 분석한 결과는 <표-16>과 같다.

<표-16>욕구수준간에 남녀 교사의 직무만족도 차이 구분

욕구

t p

N M SD N M SD

상위집단 19 3.46 .38 81 3.31 .49 1.273 .206

하위집단 42 3.24 .30 70 3.07 .41 2.374 .019*

t 2.604* 3.291**

p .015 .002

* P〈 .05 , ** P〈 .01

<표-16>에 의하면 남교사는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의 직무만족 도(M=3.46)가 욕구수준이 낮은 집단의 직무만족도(M=3.24)보다 컸으 며 유의한 차(p<.05)가 있었다. 여교사는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의 직 무만족도(M=3.46)가 욕구수준이 낮은 집단의 직무만족도(M=3.24)보다 컸으며 유의한 차(p<.01)가 있었다. 욕구수준이 낮은 집단 간에서 남 교사(M=3.24)가 여교사(M=3.07)보다 직무만족이 컸으며 유의한 차 (p<.01)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남녀 교사 모두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직 무만족이 컸었다. 특히, 남교사는 상위욕구수준에서 만족하고, 여교 사는 하위욕구수준에서 만족함이 가장 적었다.

3. 경력별

중학교교사의 욕구수준간에 경력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어떻게 다 른가를 분석한 결과는 <표-17>과 같다.

<표-17> 욕구수준간에 경력 교사의 직무만족도 차이

<표-18>에 의하면 학사교사는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의 직무만족 도(M=3.29)가 욕구수준이 낮은 집단의 직무만족도(M=3.13)보다 컸으 며 유의한 차(p<.05)가 있었다. 석․박사교사는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 의 직무만족도(M=3.47)가 욕구수준이 낮은 집단의 직무만족도 (M=3.15)보다 컸으며 유의한 차(p<.05)가 있었다. 욕구수준이 높은 집 단 사이와, 낮은 집단사이에서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소지학위교사 모두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직무만족이 컸었다. 특히, 석․박사교사는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유의한 차로 만족함을 알 수 있다.

5. 근무지역별

중학교교사의 욕구단계에 따른 강․남북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어 떻게 다른가를 분석한 결과는 <표-19>와 같다.

<표-19> 욕구수준간에 강․남북 교사의 직무만족도 차이 구분

욕구

강북 강남

t p

N M SD N M SD

상위25% 54 3.39 .45 46 3.28 .49 1.157 .250

하위25% 57 3.19 .32 55 3.08 .43 1.599 .113

t 2.674* 2.228*

p .009 .028

* P 〈 .05 , ** P 〈 .01

<표-19>에 의하면 강북지역교사는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의 직무 만족도(M=3.39)가 욕구수준이 낮은 집단의 직무만족도(M=3.19)보다 컸으며, 유의한 차(p<.01)가 있었다. 강남지역교사는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의 직무만족도(M=3.28)가 욕구수준이 낮은 집단의 직무만족도

(M=3.08)보다 컸으며, 유의한 차(p<.05)가 있었다.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 사이와, 낮은 집단사이에서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강남․북 교사 모두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직무만족이 컸었다.

Ⅴ. 요약 및 결론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