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교사의 욕구수준과 직무만족도 간에 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 로 직무만족이 보통이고, 상위욕구수준에서 조금은 만족하게 나타나 고 있으나, 하위욕구수준에서 만족함이 모두 보통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하위욕구단계에서 욕구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교사 들의 직무만족도 와 사기가 낮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과 심리적 안 정 및 생활안정을 위한 정부차원의 시책이 요청되고 있다.

2. 교직관에서 바람직한 모습으로 보람과 사명감을 갖고 있으므로, 교사들의 사명감을 더 높이고 사회적으로 인정과 존경을 받을 수 있 는 교직풍토 조성으로 실추된 자존심과 자부심을 회복하고 긍지를 가 질 수 있도록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3. 근무조건과 행정적 지원에서 만족치 못하고 있으므로, 시설에 있 어서도 현대적인 시설로 점차 바뀔 수 있도록 대책이 요청되고 있다.

4. 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대학 원으로 진학을 할 수 있는 유인체제를 일부라도 경비 지원되어 교사 의 부담을 덜 어 줄 수 있는 방안과 구조조정으로 늘어난 주당 수업 시수 와 잡무를 경감하고 불필요한 장부 및 공문서를 간소화하여 근 무부담을 경감시켜 근무의욕을 높이는 방안이 있어야 할 것이다.

5. 학교에 순응만 하게 하는 풍토와 방침이 싫어 교단을 떠난다는 일부 교사들의 입장이 일각이라고 해도, 교직만족도는 일반적으로 학 교경영방침에 따라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학교행정가의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분위기 조성 및 지도조언이 중요하며, 교사 자 신의 이해, 협력, 화목, 실천, 협동자세, 헌신 그리고 사랑이 있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강영삼. 장학론. 서울 : 세영사, 1997.

권오기, “고교교사의 욕구수준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김경동, “종업원의 직장만족도 측정을 위한 두 개의 척도,” 행동과학.

<2권1호>, 서울 : 행동과학연구소, 1969.

김명숙, “중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김영돈. 학교경영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익문사, 1977.

김용오, “교사의 욕구불만 실태 조사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김우헌, “교사의 욕구수준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전남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김창걸, “교장의 지도성 행위 상황 및 조직 효과성 간의 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3.

김 홍, “중등교원의 동기-요인 탐색,”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0.

나기산 외 4인. 정책분석론. 서울 : 법문사, 1994.

교육부. 교육발전5개년계획. 서울 : 성웅상사, 1999.

교육인적자원부. 교직발전종합방안. 서울 : 정문출판, 2001.

대한교육연합회. 교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서울 : 대한 교육연합회, 1982.

마화영, “교사의 욕구수준과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박용헌. 학교와 사회. 서울 : 배영사, 1977.

서정화, “교원인사행정 체제의 발전방향,” 교육개발. 12월호, 1981.

신성호, “교실 붕괴현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교육논문집. <제22권>, 서울:서울특별시교육과학원, 2000.

신중식. 학교조직발전론. 서울 : 국민대학교 출판부, 1992.

신중식, 강영삼. 교육행정학 및 교육경영. 서울 : 교육출판사, 1996.

신중식 외 3인. 새교육학. 서울 : 교육출판사, 2001.

오천석. 스승. 서울: 배영사, 1976.

유면수, “교사의 욕구수준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윤다두, “초등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직무만족과의 관계연구,” 전주 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윤우곤, 행정행태론. 서울 : 법문사, 1990.

이원정, “중학교 교장의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의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3.

이종승. 교육연구법. 서울 : 배영사, 1995.

이형행, 신교육행정론. 서울 : 문음사, 1996.

장진호. 교육과 사회. 서울: 대은출판사, 1983.

전영기, “초등교사의 욕구수준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정우현. 현대교사론. 서울 : 배영사, 1977.

정원식. 인간과 교육. 서울 : 배영사, 1968.

정재철, 교육개념. 서울 : 교육출판사, 1972.

정태범. 학교경영론. 서울 : 교육과학사, 2000.

정범모, 교직과교사. 서울 : 현대교육총서, 1969.

조일호,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욕구수준 및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한철상, “교사의 욕구수준에 관한 일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9.

Alderfer, Clayton P.,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 Human Needs in Organization Setting. New York : Free Press, 1972.

Herzberg, Frederick., Work and the Nature of Man. Cleveland, Ohio : The World Publishing Co., 1966.

Likert, Renis., New Patterns of Management. New York :

Maslow, Abraham H.,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 Harper & Brother, 1954.

McGregor, Douglas M., The Human Side of Enterprise. New York : McGraw-Hill Book Co., 1960.

Murray, H. A., Exploration in Personalit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38

R. I. Drake. & P. J. Smith, Behavioral Science in Industry. London : McGraw-Hill Book Co., 1960.

ABSTRA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S HIERARCHY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

KIM, JOUNG-SEOP

Major in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s hierarchy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Two types of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data. One consisted of 20 questions, which was applied by Maslow's theory of 5 hierarchical needs, to assess the teachers' needs. The other consisted of 24 questions for job satisfaction survey applied in part by the PTO Model developed by Bently and Rempel. Then, questionnaire which was modified by Kim, Woo Heon to survey needs assessment was modified by writer. Another questionnaire which was modified by Lee, Wean Jung to survey job satisfaction was modified by write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500 teachers of 25 middle schools selected randomly from 11 school districts in Seoul, but 438 teachers responded, and the rate of returned answers was 87.6

%.

Thu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treated with SPSS Ver10 to find a level of difference in the respondents's variabl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teachers's needs and their job satisfaction. To try to verify the job satisfaction I clarified mean(M), standard deviation(SD) and critical ration(t).

Signinificance was set at the .05 or .01 level.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

1. Women teachers appeared to have a higher need level than men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1 level of confidence in physical, safety, esteem, and self­realization needs.

The younger teachers appeared to have a higher self­realization needs than the elder on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5 level of confidence.

2. Mostly, the women teachers tended to have a lower job satisfaction than the men teacher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5 level of confidence. The younger teachers tended to have a lower job satisfaction than the elder ones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5 level of confidence and executive sponsorship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5 level of confidence. The teachers of bachelor's degrees tended to have a lower job satisfaction than the teachers of master or doctorate's degrees in educational process operation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1 level of confidence. The teachers from Kangnam District also tended to have a lower job satisfaction than the teachers from Kangbuk District in educational process operation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5 level of

confidence and human relationship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1 level of confidence.

3. The higher needs hierarchy teachers had, the higher their job satisfaction wa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as follows :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the teachers' needs were generally high. Of these needs, the safety needs was the highest while the social belongingness was the lowest.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a strategy must have designed to meet the teachers' needs for safety, because they could not maintain a desirable level of economical, curtural and social life without solving the needs problem. Regarding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it was generally normal,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mplies that the government must set a policy to raise the teachers' satisfaction and to encourage their teaching roles. As the results of the conclusion,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to elevate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1. As the study found that the teachers' safety needs highest and physical needs higher,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o increase the teachers 'salaries and to insure job security, so that they could feel securely in terms of economical, social safety and heart. This will improve their socio­economic status.

2. In order to help teachers attain social cognizance and respect, the favorable atmospher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should be formed.

3. Modern educational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and educational climate should be improved with a view to upgrade the motivation for job performance.

4. As the study found that the teachers' self­realization needs higher, the teach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be able to go t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heir researches with a pecuniary help.

5. Although there may be a point of view from some of the teachers leaving the schools due to the despise of culture and system forcing them to blindly follow the school policies, the job satisfaction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general schools' executive policies; the school executives' composition of atmosphere for the respectable human relationships and teaching advises are essential while the teachers themselves must have the understanding, contribution, peace, activation, cooperation, devotion and love.

부 록

※ 다음 사항 중 해당되는 곳에 Ⅴ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1. 성 : ⑴ 남 ( ), ⑵ 여 ( )

2. 교직경력 : ⑴ 20년 미만 ( ), ⑵ 20년 이상 ( ) 3. 근무지역 : ⑴ 강북지역 ( ), ⑵ 강남지역 ( )

4. 소지학위 : ⑴ 학사 ( ), ⑵ 석사 ( ), ⑶ 박사 ( ) 안녕 하십니까?

신학기 들어 복잡한 학교 업무에 얼마나 노고가 많습니까? 이 질문 지는 중학교 교사의 욕구수준에 따른 직무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질문지의 결과는 연구 목적이외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 드립니다. 바쁘신 가운데 어려움을 드려 죄송합니다. 어려우시 더라도 평소 생각하시고 느끼신 대로만 답해 주시면 귀중한 연구자 료로 삼겠습니다.

2002. 3.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학 전공 김 정 섭 올림

※ 다음 질문을 읽으시고 선생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항목의 번호 에 Ⅴ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1. 매우 일치한다.․․․․․․․․․․․․․․․․․․․5에 2. 일치한다. ․․․․․․․․․․․․․․․․․․․․․4에 3. 그저 그렇다.․․․․․․․․․․․․․․․․․․․․3에 4. 불일치한다. ․․․․․․․․․․․․․․․․․․․․2에 5. 매우 불일치한다.․․․․․․․․․․․․․․․․․․1에

질 문 지

응답요령

<욕구에 관한 질문>

<직무만족에 관한 질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