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D 중점 분야와 시·도 시험기관 및 민간(독농가 등)과의 협력 방안

토론자 회의자료

2. R&D 중점 분야와 시·도 시험기관 및 민간(독농가 등)과의 협력 방안

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장 윤무경

2.1. 농산물 안정생산 기술개발을 통한 수급안정 지원

□ 기후변화 및 이상 기상에 따른 농산물 수급불안 및 안정생산저해 요인에 대 한 선제적 대응 기술 개발

□ 이상 기상 대응 기간채소 및 품목별 안정생산 영향 평가

○ 배추, 고추 등 기간채소 안정생산 기반 구축 지원 - 고추 비가림재배 시설모델 추가 개발 및 적품종 선발

○ 고랭지 여름배추 평지재배 가능성 확인을 위한 비가림 관비 재배 - 수량 및 품질, 경제성 분석 추진(수원, 청원, 영암 등 5개 지역)

○ 과수 재해 관련 품목별 생산·품질 영향 평가 및 정책지원 - 과종별 농작물 피해 보상 산정기준 작성(재해보험 반영) :

(’10) 4과종 → (’12) 7과종

2.2.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 및 대응체계 구축

□ 농식품 기후변화 대응 세부추진계획(’11~’20)과 연계한 기술개발 및 대응체 계 구축

□ 국가 기후변화 시나리오 대응 주요 원예작물 영향평가: 8품목

○ (노지) 해발고도별 기온편차를 이용한 장기 생육반응 연구

- 대상작물: 채소(무, 배추, 마늘, 양파), 과수(사과, 배, 포도, 참다래)

□ 노지작물에 대한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 과수재배 안전지대 재설정 및 재배적지 수립(’11~’14): 4종

- 사과, 배, 포도, 복숭아 과수 안전재배지대 및 재배적지 전자지도 작성

○ 과수생육 정밀모니터링 시스템 구축(’11~’15): 8개도 300농가

- 전국 생육조사 지점 확대: (’11) 100개소 → (’12) 150개소 → (’13) 200개소

→ (’15) 300개소

○ 주요 약용작물 재배적지 재설정: 당귀, 황기, 지황 등 10품목

- 약용작물 주산지 환경조사: (’12) 10품목 → (’13) 15품목 → (’15) 20품목

2.3. FTA 대응 원예특작산업 경쟁력 제고 및 수출 확대

□ FTA 등 시장개방 대응 원예작물의 품질향상과 경영비 절감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및 수출 확대 중점 지원

□ 원예작물 수출 확대를 위한 현장 애로기술 해결 및 수출국 시장분석

○ 수출 토마토, 파프리카 및 멜론 안정생산 패키지 기술 현장적용 - 수출용 파프리카 친환경 배지 조성 및 배지 재사용기술 등 4건

○ 과수 착과·결실관리 기술개발 및 농가 기술지원

- 수출 대상국별 규격과 생산: 미국(중·소정형과), 대만(고품질 대과)

○ 화훼류 품질기준 설정 및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유통기한 연장

- 일본 수출용 나리 품질기준 설정, 장미 절화수명 연장 및 선도유지를 위한 전용상자 개발(3일→7일), 심비디움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절화수명 연장 (7일→14일)

○ 국가별 주요 채소종자 시장조사, 분석결과 산업체 제공

- 인도, 인도네시아 등 주요 과채류와 엽근채류 재배현황 및 품종 선호도 분석

- 국가별 채소종자 현황분석 보고서 발간: (’11) 중국 2종 → (’12) 인도 등 3종

□ 과수 수입개방 대응 우수품종 보급 확대 및 경영비 절감

○ 신품종 보급 확대를 위한 시범포 운영 및 애로기술 조기해결 - 시범포 조성면적: 사과 50ha, 배 10, 포도 22, 감귤 55

2.4. 수확 후 관리기술 개발을 통한 농산물 소비 확대

□ 신선편이 농산물 소비 증가 및 가공 품목 안전성 요구 등 소비트렌드에 대 응한 기술개발 강화

□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한 안전성 확보 기술개발

○ 세척, 신선편이 채소의 안전성 확보 및 유통기간 연장 - 대상품목: 시금치, 마, 오이, 고추 등

- 미생물 제어 살균소독 세척기술, 포장기술 및 갈변 억제 기술 개발

☞ 유통기간: (현재) 3~10일 → (개선) 5~12일

○ 인삼 가공품 원산지 판별기술 개발로 소비자 신뢰제고 - DNA 감식법을 활용한 홍삼 농축액 판별기술 개발

☞ 중국산, 화기삼 등 혼용 여부 판단으로 위조 방지 및 유통질서 확립

○ 안전한 한약재의 소비자 요구 증가에 대응한 GAP 생산 확대

- 약용작물 GAP 작목수 및 생산율: (’11) 48품목 생산율 3.1% → (’12) 50품목, 5%

□ 소비촉진을 위한 저장 및 선도 유지기술 개발

○ 과실 선도향상을 위한 APC 적용 저장기술 개발

- 포도 살균패드를 이용한 저장력 향상 현장적용: (’11) 1개소 → (’12) 3개소 - 복숭아 선도유지 기술개발: (’11) 이산화염소 훈증법 → (’12) 복합기술

(1-MCP 등)

○ 인삼, 약용작물 포장재 개발 및 실용화 확대

- 수삼 전용 숨 쉬는 포장재 기술 이전으로 상용화: (’11) 1개 업체 → (’12) 3개 업체

- 숨 쉬는 포장재 타 작목 확대 적용: 도라지, 더덕, 생강 등 5종

2.5. 식·의약, 건강·기능성 소재 개발 및 실용화

□ 고령화, 삶의 질 향상 등 Green Life 산업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하는 식·의 약 소재개발 및 실용화 촉진

□ 인삼, 약초,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의약 및 생활소재 개발

□ 약용작물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가공품 개발

2.6. 로열티 대응 국제수준의 국산품종 육성 및 보급

□ 전 품목에 대한 로열티 지급의무 발생에 대응한 민감 품목의 품종 육성 강 화 및 보급 확대에 중점

□ 로열티 대응 6개 품목별 신품종 개발 및 보급 추진

○ 품종육성계획: 51품종(장미 15, 국화 12, 난 15, 참다래 1, 버섯 8)

□ 로열티 확보를 위한 국외 품종보호 출원 및 적응시험 추진

2.7. 고객 수요대응 원예특용작물 품종 개발

□ 종자산업 육성 및 현안 대응을 위한 주요 품목별 경쟁력 있는 품종 개발

□ 채소 : Gloden seed 프로젝트 연계, 안정생산성 품종 개발

○ 토마토 : TYLCV(황화잎말림병) 등 복합 병 저항성 및 내재해성 계통

○ 고 추 : 비가림용 대과형 흰가루병 저항성, 집중수확형 계통

○ 배 추 : 연부병, 뿌리혹병 저항성 및 내고온성 계통

○ 무 : 일본 수출용 만추대성 고품질 계통

□ 과수 : 고온적응성 및 고기능성, 생력재배형 품종 개발

○ 사과 : 고온 착과 및 착색 용이 품종, 속 붉은 기능성 계통 등

○ 배 : 껍질째 먹는 배, 이른 추석용 조생 계통

○ 감귤 : 극조생, 고당도 온주계통 및 익년 출하 가능 만숙형 계통

○ 포도 : 고당도 생력형 생식용 품종 및 양조 전용 계통

□ 화훼 : 수출 확대 및 로열티 경감 국제기호성 품종 개발

○ 장미 : 절화 수명이 길고 다양한 화색, 고향기, 뿌리혹병 저항성 계통

○ 국화 : 조기 개화성 및 노력 절감형 스프레이 및 스탠더드 계통

○ 나리 : 종구 자급을 위한 세대 단축형 종간 잡종 계통

□ 인삼 및 약용작물 : 친환경 안정생산 및 고기능성 품종 개발

○ 인삼 : 고온, 염류 등 복합 저항성 고품질 계통

○ 약초 : 수입 의존도 높은 지황, 삽주, 감초 등 우수 품종 육성

2.8. 고유가 대응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보급

□ 시설원예 농가의 경영비 절감을 위한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및 패키지화 기 술 보급 확대

- 시설원예 경영비 중 난방비가 30∼50%로 농가 경영 악화

□ 시설 보온력 향상 기술 개발 및 보급 추진

○ 시설 보온력 향상 기술 개발 및 보급

- 투광성 보온커튼을 활용한 난방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 투광성 보온커튼의 광환경분석, 효과분석, 활용방안 제시

□ 온실 난방에너지 절감 패키지 기술 개발

○ 화훼류 중 수출 비중이 큰 난 재배온실에 대한 난방에너지 절감 추진 - 패키지: 다겹보온커튼+축열물주머니+보온터널 등 최적 조합선정

○ 에너지 사용 유형별 최적 패키지 모델 개발

- 유형별 설계프로그램 개발: 보온형, 최소가온형, 가온형

□ 시설원예 농가 자연에너지 및 빗물 이용 기술 실용화 추진

○ 지중저수조 이용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개발

- 시스템 설계·제작, 난방에너지 소모량 및 작물재배 효과 분석(’12)

○ 지하수 부족 대비 시설원예농가 빗물이용 현장 실용화

- 빗물이용 시스템 현장농가 설치 및 효과분석: (’11) 1(부산) → (’12) 3(전 남, 경북, 경남)

- 10톤 규모 저장고 설치 시 연간 8,750톤/ha 물 절약, 작물재배 안정화 도모

2.9. 원예분야 연구·지도 농촌진흥기관과의 협력 방안

□ 지방 농촌진흥기관의 자체단체 이양(1994) 및 지방 농촌지도조직의 지방직 화(1997)는 현장지향형 연구개발, 보급 등의 문제점 노출과 중앙·광역·기초 단위 농촌진흥기관과의 연계부족으로 기술 수요자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원 인을 제공하였음. 따라서 이들 기관과의 교류 활성화를 통한 연구·지도 효 율성을 제고하고 원예산업 발전의 계기 마련이 필요

○ 특화작목시험장·연구소와의 품목별 협력 강화

- 수출 경쟁력 강화, 현장 파급 증진 분야 중심의 협력

․제도, 정책

․중장기계획

․광역단위 사업

․품목별 연구협력

․현장평가

․세미나, 워크숍

․기술지원

․교육(단기-장기)

․애로사항 해결

도농업기술원 특화작목시험장 시·군농업기술센터

<정책협의체 구성> <현장연구 협력> <기술지원·교육협력>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담당도의 시·군농업기술센터를 부서 직원과 연계

- 기술지원, 교육, 애로사항 발생 시 적극적인 협력 지원

○ 정책 협의체 구성 운영

- 각도 농업기술원 원예 담당 부서장과 원예연구소 부서장으로 구성된 정책 협의체 구성

○ 품목별 현장연구 강화를 위한 협력 연계

- 주요 품목별 특화시험장과의 연구 및 현장실용성 강화 협력

○ 기술지원, 교육협력

- 현장애로기술 지원 및 지도사 역량 강화로 실질 협력 강화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