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딸기품종 보급과 지방 ·중앙의 역할

3. 발전 방안

3.1. 품종 육성: 고당도 다수확 품종에서 온난화 등 환경 요건의 변화에 대응할 품종 육성

○ Gene pool 확대이용을 통한 육종소재의 다양화

- 교배용 유전자원의 한계에 따른 야생종 등 종간 교잡을 이용한 새로운 gene pool 개발

○ 설향의 단일품종 중심에서 국내 품종의 다양화를 위한 대체 품종 육성 - 설향 대체 촉성 품종과 레드펄 대체 반촉성 품종의 개발

○ 수출용 고당도와 경도 신품종 개발

- 수출품종인 매향의 단점인 재배가 까다롭고 고온기 흑변 및 수정불량 등을 보완할 수 있는 품종 육성

○ 내병성 품종 육성

- 온난화에 따른 고온성 병해인 탄저병과 시들음병 등에 강한 품종 육성

○ 기능성 및 관상용 품종 육성

- 고비타민 품종 등 항산화물질이 높은 품종 및 분홍색, 홍색 꽃 등의 관상 용 품종 육성

3.2. 재배기술: 고품질의 자동화, 에너지 절감형 재배기술 개발

○ 우량묘 대량생산 기술 체계화

- 딸기 무병묘 생산공급체계는 국가에서 전략적으로 시설 및 인력을 지원 하여야 하며, 묘 증식은 민간인으로 구성된 딸기 묘 전문 생산업체에서, 묘 보증 및 검사는 국가에서 실시

○ 생산 재배시설 현대화

- 재배시설의 환경 및 비료관리 자동화, 유비쿼터스, 순환식 양액재배시설 등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을 줄이며 재배할 수 있는 시설의 현대화

○ 에너지 절감 기술 개발보급

- 순환식 수막시설,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및 다겹 보온커튼 등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및 농가 보급 확대

3.3. 병해충 방제 및 수확 후 관리 기술: 안전한 친환경 딸기 생산 체계 구축

○ 병해충방제

- 농약 사용을 줄이고 미생물, 천적 등 친환경 병해충 종합방제 체계 확립 및 GAP 딸기재배 기술 기준 설정으로 안전한 딸기 생산체계 구축

○ 수확 후 관리

- 수확 전후 처리기술(냉각, CO2 처리, 포장 등)의 실용화와 포장 규격화 및 유통 인프라 구축

- 신선편이(fresh-cut) 기술 및 새로운 소비창출을 위한 가공품 개발

3.4. 수출: 시장 다변화 및 딸기 대표 브랜드 육성

○ 수출시장 다변화에 따른 국제 홍보 강화

- 최근 증가하고 있는 동남아 시장에 한국산 딸기에 대한 안전성과 우수성 을 대대적으로 홍보

○ 대한민국 딸기 대표 브랜드 육성

- 국가 단일 창구로 일원화하여 마케팅 지원

○ 매월 농촌경제연구원의 관측 자료에 의한 정식의향, 출하전망, 가격동향을 예측할 수 있어, 재배농가에 좋은 가격정보가 됨.

3.5. 딸기 생산 기반시설 지속적 지원강화

○ 국가 차원에서 연구 및 기반시설 지속적 지원 : 3단계 딸기연구사업단(2016 년~), 무병묘 보급사업, 생력화 시설 확충 등

3.6. 중앙, 지방정부, 농촌경제연구원 등 역할 강화

○ 지방연구기관과 농촌진흥청의 신품종 육성과 육성된 신품종에 대한 생리 재배 등 기초 및 실용화 연구와 신품종 및 재배기술의 농가 보급에 앞장서 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의 협력이 강화된다면 국내 딸기산업은 딸기산업 에 있어 선진국의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임.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