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중단기 로드맵

문서에서 2021 | 12 (페이지 102-105)

본 연구 기간 기준 공표된, 융합교육 종합계획 및 2022년 학교급별 시범학교 수를 기반으 로, 학교급별, 연도별 중단기 로드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5> 중단기 로드맵

실효성 있는 ‘미래형 융합교육’이 현장에 효과적으로 도달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정, 고교학점제도입,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성취평가제 등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 사업과 밀접 한 연관이 있는 교육 정책의 차년도별 사업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선도학교 사업의 세 부 과업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연도별 선도학교 수, 지원 예산 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된 후 에는 중단기 발전방안에 예산적 재정적 지원 사항을 반영하여 체계화함으로써, 중단기 로드맵 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사업의 규모 및 지역별(시도교육청별), 학교별 예산을 체계적으로 산출하기 위해서는 국

가 수준, 지역 수준으로 수행되는 사업 현황을 분석하고, 학교별 사업 수행 현황을 조사해야

한다.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의 운영과 관련 교육 정책 간 관계를 예로 들어 제시하면 다

음과 같다.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발표

개정 교육과정

고시

교육과정 후속 지원 (해설서, 평가 기준

등)

초등학교 적용 시작 (초 1, 2)

중학교, 고등학교 적용 시작

(초 3, 4, 중 1, 고 1)

   

고교학점

제    

마이스터고 적용 (1, 2 학년)

특성화고, 일반고 일부

도입

    전체 고교

본격 시행    

그린스마 트 미래학교

추진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그

린 스마트 스쿨 사업계획 안

발표

대상학교 선정, 사용자 참여

설계

공사, 사용자 시공 점검

1 차 미래학교

전환 (761 개 동)

2 차 미래학교

전환 (518 개 동)

   

대입

체제     대입제도 개편 방안 검토

2028 학년 도 대입

방안 발표('24.

상)

     

AI 융합교육

AI 시범학교 247 교

AI 융합교육 거점형 일반고

       

주제 중심 수업 활성화

   

과학, 수학, 정보와 예·체능 교과 간 협력 수업

모델 개발/보급

       

융합 수업 활성화

 

STEAM 연수 등 융합 수업 모델 이해 및 설계 실습 강화

프로젝트 기반 융합

수업 운영사례 및 가이드 제작

배포

       

인성·공 동체 교육

    제 2 차 인성교육 종합계획 추진 과제 : 인성교육 친화적 학교

환경 조성    

교과서    

기초연구추 진 국정, 검정

체제

교과용 도서 구분 고시

교과용 도서 개발

초등학교 보급 시작

중학교, 고등학교 보급 시작

   

미래형

교과서  

첨단기술 활용 기반

융합교육 교과서 구성

연구

21. 12.

~미래형 교과서 개발

방안 마련

22.7~

국검인정 교과서 개발

및 선정·보급

  초중고 교과서 적용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 선도학교

405 교 운영

최대 800 교

운영

최대 1200 교

운영

         

교과교실 제

학점제 등 정책 방향

반영

       

<표 61>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 운영 및 연관 교육정책과의 관계

학교 공간 혁신사업

영역. 학교 단위 대상 선정 및

추진

       

학교시설

환경 개선 학교시설 환경 개선 5 개년 계획 추진        

생활 SOC 환경시설

복합화

  생활 SOC 3 개년 계획 추진      

무선 인프라

구축

    일반교실

구축

일반, 교과, 특별교실

구축

         

K-에도 통합 플랫폼

      플랫폼 구축 서비스 개시        

중단기 발전방안을 수립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산 편성의 측면이다. 학교 및 지역사회(시도교육청)에서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 사업을 체계적·지속적으로 지원하도록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 또한, 교육부, 과기부, 교육청, 학교 단위의 재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한 ‘STEAM 선도학교와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와의 차별점’, ‘미래 교육 정책 반영의 방향성’을 토대로, 선도학교 모델을 준비-기획-수행-평가하기 위한 예산의 규모를 세부적으로 논의해야 한다.

본 사업 시작단계에서는 시범 운영을 위해, 선발된 STEAM 선도학교 중 일부 학교를 미래 형 융합교육 선도학교로 선발하며, STEAM 선도학교 운영 예산과 동일한 예산이 편성되는 형 태이다. STEAM 선도학교와 달리,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의 과제가 범위, 내용 측면에서 확장되었으므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예산이 고려되어야 한다. 즉, 시도교육청과 학교 단위 예산 편성을 통해,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교수학습 및 평가, 교육환경 조성, 그리고 지역사 회 연계를 통해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 모델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STEAM 선도학교와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 사업과의 연계 관점이다. 미래형 융합 교육 선도학교는 STEAM 선도학교의 후속 모델로, STEAM 선도학교의 성과분석 결과 및 국 내외 미래교육 정책 현황을 반영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사업의 범위를 교육분야, 교육방법, 교육공간 측면에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개별 학교가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 사업에 지원하는 데 있어, STEAM 선도학교 사업이 선행될 필요는 없다. 즉,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 사업 운영을 희망하는 개별 학교를 대상으로, STEAM 선도학교 사업 수행 여부와 관계없이 사업 수행 학교를 선발하도록 한다

12)

.

셋째, 타 사업과의 연계 관점이다. 개별 학교가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를 운영하기에 앞 서 어떤 사업을 운영했었는지와 함께, 선도학교를 운영되는 동안 함께 수행되는 사업에 대한 현황 파악이 중요하다. 타 사업과 연계하여 사업의 효과를 강화하고, 중복 지원을 최소화하여, 사업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12) 개별 학교가 종전에 수행한 사업의 현황을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학교 운영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배경 요인으로 고려할 수 있음

해당 학교의 운영여건 및 특성, 운영계획, 추진전략 등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는 본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기본 전제라 할 수 있다. 즉, 차년도별, 단계별 사업의 흐름 및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진단하여, 피드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선도학교 모델 기반의 피드백은 PCDA 사이클(Plan-Do-Check-Act)을 기반으로 구성한 것으로, 매뉴얼에 제시하여 학교와 시도교육청 단위에서 보고서 작성 시 활 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학교 운영여건 및 향후 추진계획, 학생 모집 및 연차별로 이루어 진 성과관리와 자체 평가는 수행된 결과에 대한 반성과 피드백, 차기 연도의 달성 목표 관리 및 발전 방향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지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차년도 기준 예시)

준비

Ÿ 운영 예산 편성

Ÿ 교육과정 운영지침 구성 Ÿ 담당 교원 자격 정의

기획

Ÿ 학교 융합교육 공간구성 및 기자재 지원 Ÿ 담당 교원 배치 및 교사연구회 조직 Ÿ 교원 역량 강화 연수 시행

Ÿ 융합교육 선도학교 컨설팅 지원단 구성

수행

Ÿ 정규교육과정 내 융합교육 운영 활성화 및 학생평가 체계화 Ÿ 지역사회와 교내 융합교육 환경공유 활성화

Ÿ 교원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운영 Ÿ 융합교육 컨설팅 및 워크숍

평가

Ÿ 융합교육 학교 예산 효율 평가 Ÿ 교육환경 공유 만족도

Ÿ 융합 교육과정 만족도 Ÿ 교원의 융합수업 만족도

<그림 16> 피드백 구성

문서에서 2021 | 12 (페이지 102-10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