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2 교육과정

문서에서 2021 | 12 (페이지 44-47)

l

교사 중심 획일적 교육과정

l

대학 진학 중심(일반계고)

l

학급별 시간표

l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l

진학, 취업, 예체능 등 진로 존중

l

학생 개인별 시간표

학사운영

l

출석 일수만 채우면 졸업

l

학업 참여 동기 부족 ⇒

l

출석 + 학점 취득해야 졸업

l

학업 이행 책무성 부여

교수자원

l

소속 학교 교사의 수업 수강 ⇒

l

타 학교 수업, 온라인 수업 수강

l

학교 밖 전문가 수업 참여 학습공간

l

소속 학급 중심의 생활

l

일반교실 중심의 획일적 공간 ⇒

l

선택과목 중심의 이동수업

l

학습·지원·공용공간 등 다변화 고교체제

l

고교 다양화가 서열화 초래

l

학교별 분절적 교육과정 운영 ⇒

l

학교 내에서 학생별 맞춤형 교육

l

지역 교육공동체 구축

<표 22> 고교학점제 변화 분석

고교학점제는 선도지구 운영을 확대하고, 교육소외지역 교육여건개선, 지자체-대학 협력 기 반 지역혁신(RIS) 사업 등을 통해 지역 간 교육여건의 격차 완화를 지원한다.

구분 구분 구분 구분 구분 구분 구분 구분 구분 구분 구분

구분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2023 2023 2023 2023 2023 2023 2023 2023 2023 2023 2023 2023 2024 2024 2024 2024 2024 2024 2024 2024 2024 2024 2024 2024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학점제

도입 마이스터고(20~) 특성화고 도입, 일반계고 제도 부분 도입 전체 고교 전면 적용 교육과정

2022개정 교육과정 주요사항

발표

2022 교육과정 개정 고시

2022 교육과정 적용 (고1~)

평가제도

진로선택과목 성취평가제 전 학년

적용

성취평가제 안착 기반 마련

(모니터링 체제 구축, 교원의 평가 전문성 제고)

성취평가제 확대 도입 (고1~)

연구·

선도학교 확대

일반계고(1,680개교)

모든 일반계고 및 직 업계고 연구·선도학교 운영 경험 축적 과학고(20개교)

외고·국제고·자사고(76개교) 중 일반고 전환(예정) 학교 직업계고(520개교)

특수학교(2개교 이상) 학점제형

공간조성 233개교 549개교 567개교

-학교공간 조성 연차적 지원(시도별 추진계획 에 근거, 추후 변경 가능)

교·강사

‘교육과정 설계 전문가’ 양성 (~2022, 1,600여 명) 학점제 운영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 연수 지속 추진 학점제 수요를 고려한 새로운 교원 수급 기준 마련(~2022)

<표 23> 연도별 사업 내용

구분 해결방안

STEA M 선도학

l 미래 세대에 적합한 STEAM 콘텐츠 개발 l 교과서에 STEAM 반영 확대

l 생활 속 STEAM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l 학생참여형 수업

l 자유학기제 연계 STEAM 체험 교육 확대 l 현직 교원 및 관리자 대상 맞춤형 연수 확대

l 교사연구회를 통한 교원의 전문성 신장 및 학교 현장 확산 l 교원 양성 단계에서부터 STEAM 역량 함양

l STEAM의 성과 공유 및 확산을 위한 교류 확대 l 교원 간 교류 협력 강화

l 직업 세계와 연계된 체험·탐구 활동 강화.

l 대학단계 STEAM 교육프로그램 운영지원

l 사회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STEAM 프로젝트 추진 l 지역 사회와 연계한 STEAM 나눔 프로그램 추진 l 창의융합교육 연구‧선도학교 운영 확대

l STEAM R&E 지원 확대

l 우수 STEAM 학교‧교원에 대한 보상체계 강화 l 학교 안팎의 STEAM 교수 인력 역량 강화 지원 l STEAM 교육 기초 통계 등 정보 공유 시스템 체계화 l STEAM 교육 연구 활성화

l STEAM 활성화 및 저변 확대를 위한 홍보 강화 l STEAM 활성화를 위한 협조 체제 강화 l STEAM 운영 가이드 개발‧보급

SW교 육 연구학

l 언플러그드 활동

l EPL 사용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 l 피지컬 컴퓨팅 교구 사용

l SW교육을 다양한 형태로 운영 (정규교과, 방과후학교, 동아리 활동, 교육캠프, 현장체험학습, 경진대회 등) l 교사연수 운영

l SW교육 활용 지원 특별실 설치 (컴퓨터실, 스마트교실, 모둠학습실 등) l 학습자용 SW교육 디바이스 보유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패드 등) l 교내 네트워크 설치 (유/무선)

l 무선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교실 구비

l SW교육 관련 학부모 연수 (특강, 가정통신문, 학부모 체험캠프 등)

AI융합 교육 중심고

l 1학년 모든 학급에 ‘정보’ 과목을 5단위 내외로 편성 l 3년간 <AI융합과목>을 총 26단위 이상 편성

l <AI융합과목>보통교과 우선 편성 및 신설 선택과목 2개 이상 편성‧운영 l <AI융합과목> 공동 교육과정(온‧오프라인) 연간 4단위 이상 운영 l AI 관련 학교 특색활동,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운영 l AI 관련 학생동아리 2~3개 이상 운영

l AI 관련 학생동아리 및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운영 l 정보‧컴퓨터 교사 2~4명 이상 배치

l 담당교사 직무 연수 반드시 참여 l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

l 가변형 학생용 책상과 노트북 등 구비

l 지역 상황‧여건을 고려하여 학교 특색활동 운영 l 학생‧학부모 대상 홍보, 공동교육과정 운영 정보 제공 l AI 관련 분야의 진로‧진학 지도

l 워크숍, 컨설팅 등 참여, AI 융합교육 자료 개발

l 준비 기간 1년(100백만 내외/년), 운영 기간 3년(50백만원 내외/년)

<표 24> 기존 학교모델 관련 정책 사업 분석

7) 세부 내용은 [부록 4절]에 수록함

구분 해결방안

과학 중점고7)

l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필수 및 수학, 과학 이수단위가 총 교과 이수단위의 45% 이상 필수 l 정보 관련 교과의 편성 비중 증가

l 교육과정의 10% 이내에서 AI, 메이커, STEAM 관련 교육활동 편성 운영 필요

l 과학 관련 체험활동 50시간 중 50% 이상 AI 교육, 데이터 기반 탐구활동, 메이커, STEAM 형태 운영 l 과학융합은 과학 교사와 관련 내용 교사가 co-teaching 가능

l 법령에 따른 평가 및 학생부에 기재

l 과학중점교과 담당 교사의 확충 및 초빙교사제 활용 l 근무 환경 개선 및 인센티브제 시행, 재교육 방안 마련 l 이공계 박사급 인력을 외부강사로 활용

l 국가 교육과정에 과학수학 교과 이수기회 확대 (40~50% 내외) l 과학소양 함양을 위한 특별교과 신설

l 재량활동, 특별활동 포함하여 범교과활동 등을 통해 과학중점과정 학생에게 과학탐구 및 체험 기회 확대하고, 과학중점과정 이외의 학생에게도 과학소양 함양

l 과학중점과정을 이수한 학생에 대해서는 학교생활기록부에 과학중점 과정 이수 관련 사항을 충실히 기재하여 대학 진학 자료 등에 활용

l 과학고 근무경력이 있는 정규 교원

l 과학기술전문가(박사급), 기간제 교원, 강사 등 활용 l 과학중점 과정 2~4학급

[교사관점]

l 학생 선발 과정에서의 문제

- 정원이 초과되는 경우 성적순으로 조정 - 선발과정에서 주로 정량적(성적) 평가위주 선발

l 교육과정 운영 목적과 적용상 한계

- 대입 수능 준비 등 교육과정 적용 위축(체험활동 등) - 학생의 성적격차 발생(서열화)

l 대입 입학사정관 전형 활용성

- 내신에 불리, 주로 정시 중심의 진학 지도가 이루어짐 l 업무 집중 및 비교과 활동의 위축

- 담당 교사에게 업무 가중

-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업무상 부담으로 인한 위축 l 지속가능성

- 내신(진학지도상) 불이익 vs 학교의 특색화 사이 고민

[학생관점]

l 지원 동기상 문제

l 과학중점과정에 대한 만족도 측면 - 실험, 비교과 활동을 원했던 학생들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망감 - 교육과정의 집중적 운영으로 인한 미적용 학생들의 소외감

l 치열한 내신 경쟁 구조 - 상위권 학생의 집중

l 실력없는 교사 무시 풍토

에듀 테크 선도 고교

l 교육기술을 활용한 교육체제 구축 l 디지털교과서 사용 등 에듀테크 활용 수업 l 게이미피케이션 도입 등 자기주도적 학습 l 학생 맞춤형 학습 플랫폼 이용

l 온오프라인 수업 병행한 스마트평가 솔루션 활용 l 교원의 스마트교육 역량 강화

l 원격 학습치유센터 상담 서비스

l AR, VR 콘텐츠를 활용한 진로진학지도 활동 l 지역 대학 등 연계한 지역협력형 스마트 교육 l IoT 기반의 학생 건강관리 및 학교 안전 강화 온라인

공동 교육 거점 센터

l 교강사 자원이 부족하여 개설되지 않는 과목 등 l 일과 중 공동시간표 구성, 공동 수업 및 평가 l 원격 쌍방향 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평가 모델 개발

l 온라인 공동교육 진행을 위한 물적인적기반 및 온라인 학습 공간 마련

문서에서 2021 | 12 (페이지 44-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