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 수출시장

문서에서 과실·특작류 수출시장 확대 방안 (페이지 98-115)

2.1. 팽이버섯

17

2.1.1. 시장 동향

가. 생산 동향

중국 팽이버섯은 주로 저장(浙江)성 쟝난(江南)과 허베이(河北)성 탕(唐) 현, 링쇼우(灵寿)에서 생산하고 있다. 중국에서 팽이버섯은 자연 재배로 혹 은 황색 팽이버섯 재배가 주였으나, 1980년대 말 일본으로부터 백색 품종 을 수입한 후 백색 팽이버섯 재배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2008년 기준 중국 팽이버섯 생산량은 1만 8천 톤으로 5년간 57.5% 늘어났다.

팽이버섯 재배형태는 자연적인 재배와 자동시설 재배로 구분되며, 자연 재배는 주로 허베이(河北) 링쇼우(灵寿)현, 자동시설 재배는 주로 상하이, 선양(沈阳), 장춘(长春), 선전(深圳) 등 대도시 주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밖에 장쑤(江苏), 저장(浙江), 간쑤(甘肃) 등에 중소형 자동화 재배 공장 이 밀집해 있다. 중국 내 팽이버섯 산업은 특정 선도 기업이 존재하지 않 으며, 최근 광저우 판위(番禹)의 ‘허창파이(和昌牌)’와 상하이 푸동(浦东)의

‘톈츄이하오(天厨一号)’ 브랜드가 출시되었다.

일반 농가에서 생산하는 자연재배 팽이버섯의 경우 위생 관리, 규격화,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최근에 자연재배 농가의 수익이 크게 떨 어져 자연재배 면적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한편, 자동화 시설을 통해 생산 된 팽이버섯은 중국의 연해 지역 및 각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널리 판매되 고 있다. 중국 내 자동화 시설을 이용한 팽이버섯 재배 업체는 1천여개에 달하며, 하루 평균 수백kg에서 25,000kg을 생산하고 있다.

17 KOTRA 칭다오 코리아 비즈니스 센터(kbc)의 맞춤형 시장조사 서비스를 통해 2010년 9~10월까지 조사한 결과임.

수출시장 분석 81

표 5-16. 중국 팽이버섯 생산량 및 증가율

단위: 천 톤, %

연도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증가율 (‘08/’04) 생산량 8,764 10,390 11,603 13,345 14,740 16,822 18,272 57.5

표 5-17. 중국 팽이버섯 주요 생산지역별 생산량

장하여 판매한다. 팽이버섯의 가격대가 높으며 대다수가 일본과 대만으로 부터 수입한 것이다.

홍콩의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자연재배 팽이 버섯은 광저우 판위(番禹) 의 ‘허창파이(和昌牌)’ 한 개뿐이며, 주로 자동화 시설에서 생산된 팽이버 섯이 판매된다. 홍콩의 팽이버섯 판매업체들은 선전(深圳)에 소형 가공 공 장을 설립하고, 허베이(河北)에서 생산된 팽이버섯을 선전 공장에서 다시 재포장하여 홍콩의 슈퍼마켓에서 판매하고 있다. 허베이에서 생산된 버섯 의 가격경쟁력은 일본과 대만산에 비해 우위에 있다.

다. 수출입 동향

중국의 팽이버섯 수입은 2006년 28만 달러에서 2010년 3,920만 달러로 13배 정도로 크게 증가했다. 한편, 팽이버섯 수출은 2006년 66만 3천 달러 에서 2010년 1.4배 정도 증가했다.

표 5-18. 중국 내 팽이버섯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연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증가율

(‘10/’06)

수입액 121 280 94 994 4,477 3,920 1,300.0

자료: www.kita.net

표 5-19. 중국의 팽이버섯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

연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증가율

(‘10/’06) 수입액 1,035 663 1,099 1,046 1,428 1,576 137.7 자료: www.kita.net

중국에서 팽이버섯을 수입하는 주요 국가는 한국과 대만이며, 한국산 이 380만 달러로 81.0%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산 팽이버섯은 2008년 이후 대량으로 중국에 수입되었고, 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출시장 분석 83

특히 중국 북방시장을 시작으로 남방시장까지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 세이다.

표 5-20. 중국 내 팽이버섯 주요 수입국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09년 2010년 9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한국 3,627 308.8 3,793 43.3

2 대만 850 699.4 127 -76.3

총계 4,477 350.6 3,920 23.1

자료: www.kita.net

표 5-21. 한국산 팽이버섯 수출입 동향

단위: 천 달러

자료: www.kita.net

2.1.2. 팽이버섯 유통 구조

팽이버섯이 중국세관을 통관할 때 부과되는 세금은 관세와 증치세 (VAT)로 구분된다. 관세액(A)은 「상품의 CIF 가격×관세율 13%」이며, 관

세율은 한국산에 대한 특혜관세율이 적용된 비율이다. 증치세액(B)은 「[상 품의 CIF 가격 + 관세액(A)]×증치세(13%)」로 계산되며, 세금 총액은 「관 세액(A)+증치세액(B)」이 된다.

표 5-22. 중국으로의 팽이버섯 수입 관세율

HS Code 관세 증치세 단위

0709.5930 13% 13% kg

자료: 중국세관통계

중국 내에서 팽이버섯의 운송은 항공운송과 기차 운송으로 구분할 수 있 다. 항공운송은 1994년 이후 증가하였고 중국 남방 지역의 경우, 허베이(河 北)에서 생산한 대량의 팽이버섯을 북경 공항으로 운송한 후 광저우 바이 윈(白云) 공항으로 항공 운송하며, 하루 운송량은 70톤 정도이다. 기차 운 송(냉장 보관)은 저장(浙江)성, 푸젠(福建)성에서 주로 사용하는 운송 방식 이며, 상품을 상하차하는 횟수가 잦아 포장에 유의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중국에서 수입한 팽이버섯은 주로 수출입 회사에서 직접 판매하거나 유 통업체를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현재 한국산 팽이버섯은 타오바 오(http://www.taobao.com), 알리바바(http://www.alibaba.com)와 같은 인터 넷 쇼핑몰에서도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5-7. 중국 내 수입 팽이버섯의 유통채널

각지 도매상 현지 대리상

대형 마트

백화점 소비자

생산지

2.1.3. 경쟁력 동향

중국에서 팽이버섯의 가격은 계절과 날씨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다. 1년 중 9~11월 가격이 비교적 높고, 11월 이후에 팽이버섯의 생산량이

수출시장 분석 85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가격 수준이 하향 안정된다. 일반적으로 11월 이후 재배되는 팽이버섯의 평균 가격은 5위엔이며, 그중 백색 팽이버섯의 평균 가격은 6위엔 정도이다. 2010년 7∼10월 팽이버섯 평균 가격은 kg당 10위 엔 정도이고, 최고 가격은 12위엔 이상이다. 자동화 시설에서 생산된 팽이 버섯의 가격은 kg당 20위엔 정도이다.

그림 5-8. 중국 팽이버섯의 주요 생산지 및 판매가격

품종 사진 주요

생산지

평균가격

(위엔/kg) 판매처

황색 팽이버섯

상하이

(上海) 8.2

쑤저우(苏州) 난환(南环) 시장 발전 유한공사

백색 팽이버섯

허베이

(河北) 13.0

베이징(北京) 슌신스먼(顺鑫石门)

농산품 도매 시장

그림 5-9. 중국 팽이버섯의 월별 판매가격 동향

단위: 위엔/kg

주: 쑤저우(苏州) 난환(南环) 시장 발전 유한공사 판매가격 기준

그림 5-10. 중국 팽이버섯의 도매시장 가격

단위: 위엔/kg

주: 베이징(北京) 슌신스먼(顺鑫石门) 농산품 도매 시장의 거래가격 기준

한국산 팽이버섯은 중국산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중국 산 팽이버섯의 평균 가격은 kg당 10위엔이며, 이에 비해 한국산 팽이버섯 의 평균 가격은 8위엔으로 중국 팽이버섯에 비해 저렴하다. 한국의 자동화 생산시설 및 시스템이 우수하여 생산원가 절감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중국은 팽이버섯과 관련된 식품안전 기준이 모호하고 팽이버섯의 재배 기술, 가공 및 관리시스템이 낙후된 상황으로, 중국산 팽이버섯은 중국 소 비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산 팽이버섯은 재배 및 판매 과정에서 위생과 청결을 중시하고 제품을 진공 포장함으로써 안전성 과 신선도에 대한 고품질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중국에서 팽이버섯의 주요 수요층은 식품의 위생과 품질을 중시하는 30~50대의 여성 주부들이 며, 안전성과 품질 수준이 높은 한국산 팽이버섯은 경쟁력이 있다.

최근 중국 소비자의 친환경 및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 므로 품질이 좋고 안전성이 높은 한국산 팽이버섯의 시장경쟁력이 점점 향 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산 팽이버섯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며, 주로 대형 마트에서 구매하고 있으므로 중국에 진출해 있는 국내 대형 마트와 합작하여 중국 내 판매를 촉진시키는 유통채널 확대전략 이 효과가 높을 것이다.

수출시장 분석 87

나. 생산 동향

중국은 세계에서 중요한 인삼 생산 국가이며, 재배 면적, 총생산량 모두 세계 시장의 선두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인삼 총생산량은 세계 생산량 의 약 70%를 차지하나 총생산액은 비교적 낮은 편이다. 세계 인삼 총생산 량은 매년 2.1만 톤 이상이고, 중국의 인삼 총생산량은 매년 약 1.6만 톤으 로 연간 생산액은 약 7억 위엔 정도이다.

중국은 생약 원료용 인삼을 주로 생산하고, 이는 전체 인삼 산업에서 절 대적인 비율을 차지한다. 중국산 인삼은 산지에서 반가공 후 광둥성, 저장 성, 후베이성, 랴오닝성 등 주요 집산지에서 집산된 후 남방지역 대도시 소 비시장으로 공급된다. 가공기업의 규모와 가공 수준에서 보면, 현재 중국 인삼 가공공장은 국유, 단체, 비교적 큰 규모의 민영 가공공장을 제외한 대다수가 한 집 한 집씩 분산되어 가공한다. 이로 인해 가공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며, 선진적인 기업이 없고, 소수의 기업만이 GMP 인증을 통과하였 다. 중국 인삼 가공시설 및 가공방법은 나날이 엄격해지는 국제 표준에 부 합하지 않는 실정이다.

다. 집산지 시장 동향

중국 최대의 인삼 교역 집산지는 인삼 생산으로 유명한 지린성 바이산시 에 있는 만량장백산인삼교역시장(万良长白山人参交易市场)이며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인삼 도매시장이다. 지린성 등지에서 생산된 각종 인삼은 이곳을 통해 철도 또는 육로로 전국 각지로 보내진다. 중국 최대의 물류 중 심지인 광저우시를 포함한 광동(廣東)성 전체에는 중국 17개 중약전문시장 중 2개의 약재전문 교역시장이 있다. 이 중 광주청평중약시장(广州清平中药 市场)은 중국에서 인삼, 녹용 등이 모이는 가장 큰 보신용품 약재의 집산지 이며 연간 교역액은 30억 위엔으로 중국 중약재 교역액의 25%를 자치하며 1일 방문객수는 1만 명에 달하며 홍삼교역량이 전국에서 가장 많다. 또 다 른 약재 시장인 광동보녕중약재시장(广东普宁中药材市场)의 업체 수는 500 여개로 광동 동부지역에서 가장 큰 중약재 집산지이며 연간 교역액은 14억

수출시장 분석 89

위엔이며 화기삼, 제비집 등의 교역량이 중국 내 1위이다.

라. 수출입 동향

중국의 인삼 수입액은 2005년에 851만 5천 달러에서 2007년 594만 달 러로 감소하다가 2009년에는 977만 8천 달러로 증가하였다.

구 분 수입금액 전년 대비 증감률

2005년 8,515.3 -61.8

2006년 5,940.5 -30.2

2007년 5,354.0 -9.9

2008년 6,779.9 26.6

2009년 9,777.9 44.2

2010년 11,271.7 79.3

표 5-24. 중국시장의 연도별 인삼 수입통계(2005~2010년 8월)

표 5-24. 중국시장의 연도별 인삼 수입통계(2005~2010년 8월)

문서에서 과실·특작류 수출시장 확대 방안 (페이지 98-11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