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Ⅲ. 진출전략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2020년 진출전략

분야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한-캐나다 FTA 활용

󰊱 한-캐나다 FTA 관세철폐 품목을 중심으로 캐나다 진출 호기 ◦ 2019년, 한-캐나다 FTA 발효 5년차로 한국산 8,000여 개의

품목에 대한 관세 철폐

◦ 양국 교역 규모, 자유무역협정 체결이우 33%증가

제조업

󰊲 경쟁력 있는 제조기업들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 진출

◦ 자동차․항공․의료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는 캐나다

◦ 특히 해외기업과의 협업 연구 기회가 많은 편

4차 산업/

스타트업

󰊳 첨단기술 기반의 발달된 생태계, 스타트업 진출에 호재로 작용 ◦ 산학연을 중심으로 선진적인 산업 생태계 조성

◦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 비자 지원 등 다양한 기회 제공

소비재

󰊴 한류 확산, 한국산 소비재 진출에 호재로 작용 ◦ 식품, 화장품, 생활소비재 등 한국산 제품 인기 상승

◦ 기술 발전으로 인한 전자상거래(E-commerce) 시장 트렌드 확산

산업별 차별화된 진출방안

현지기업과의 네트워킹 강화를 통한 시장정보 파악으로

기회 분야에 선제대응

진출전략

2-1. 한-캐나다 FTA 관세철폐 품목을 중심으로 캐나다 시장 진출 호기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 2019년, 발효 5년 차를 맞이하는 한-캐나다 FTA

* 2015년 1월 1일부로 발효되어 여타 경쟁국에 비해 시장선점에 유리한 위치 확보

* 캐나다는 한국의 18번째 수출대상국이며 한국은 캐나다의 6번째 수입대상국(2019년 상반기 기준)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한-캐나다 FTA, 수혜품목 지속 증가로 꾸준한 양국 간 교역 활성화 기대

- 2015년 1월 1일부로 한-캐나다 FTA 발효 후 양국 관계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 - 한-캐나다 FTA는 캐나다가 아・태 지역의 국가와 맺은 최초의 자유무역협정으로, 캐나다는

한국을 아・태 지역 수출과 투자 확대의 허브로 활용하고 있음

- 주요 수혜품목은 (발효 3년 차)화장품, 가전제품, 가공식품(라면, 간장), (발효 5년 차)축전지, 건축자재, 케첩, 주스, 아이스크림 등의 가공식품

⚬ 양국의 교역 규모는 USD 115억으로, 한-캐나다 FTA 발효 이후 약 33.7% 증가

- 2018년 기준 한국과 캐나다의 교역규모는 USD 115억으로, 발효 1년 차인 2015년 대비(USD 46억) 33.7% 증가

- 2019년 FTA 발효 5년 차에 접어들어 한국의 8,140여 개 품목에 대한 관세가 철폐

- 캐나다 품목에 대해서는 2019년까지 10,973여 개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며, 5년 차 주요 수혜 품목은 타이어, 돼지고기, 냉동수산물 등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유망품목 : 화장품, 가공식품, 생활소비재

⚬ 진출전략

- 한류열풍, K-Beauty 제품의 인기와 관세 철폐에 따른 가격 경쟁력 확보로 한국산 제품의 캐나다 시장 진출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식품의 경우 에스닉 푸드를 선호하는 현지시장 특성에 맞춰 한국의 맛과 향을 살린 제품 출시와 한국식품이 건강한 식품임을 강조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구사 필요

- 또한 한국산 제품임을 강조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K-Beauty in Montreal, Loblaws Day, GIC) 참가를 통해 우리 중소기업의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현지 시장 진출 발판을 마련해야함

2-2. 경쟁력 있는 제조기업을 통한 글로벌 공급망 확대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 온타리오와 퀘벡 주를 중심으로 글로벌 제조기업들이 밀집해 있는 캐나다 자동차․항공․의료 산업 * 캐나다 제조업 산업 수익, 전체 GDP의 10.4% 차지

* 캐나다 대표 제조 산업인 자동차․항공․의료 산업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 * 양국 기업 간 공동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유망분야의 기술력 향상 가능성 존재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캐나다 제조업 수익, 전체 GDP의 10.4% 차지

- 자동차 부품산업의 수출액은 CAD 147억(2018년 기준) 규모로 전년 대비 8.3% 증가 - 항공우주 산업은 캐나다 전체 GDP 중 1.46%(2018년 기준) 차지하고 있으며, 수익으로는

세계 5위 수준으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음

- 의약품 산업의 시장규모는 CAD 132억(2018년 기준)으로, 최근 5년(2014~2018년)간 연평균 2.2% 수준의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 주요 산업별로 안정적인 수요 증가 전망

- 전기차, 자율주행차, 커넥티드 카 등이 시장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으며, 완성차 제조를 위한 주요 부품 수요 또한 증가 추세

- 세계 항공운항수요 증가에 따라 완제기 생산 수요도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정기적으로 필요한 항공정비 분야(MRO)의 기술 수요 또한 증가 기대

- 급속한 고령 인구 증가가 의약품 산업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콜레스테롤, 고혈압, 심부전, 갑상선 등 노령인구용 의약품 수요 확대 전망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유망품목 : 전기차・수소차, 항공기 기체 및 엔진 부품, 의약품

⚬ 진출전략

- 미래차의 핵심 부품 기술개발을 위한 기술 제휴 협약 체결로 한국 전기・수소차 부품제조 기업의 현지 공급망 확대

- 브랜드 인지도가 없는 한국 항공우주 산업의 경우 캐나다 내 유망 전시회 등의 참가를 통해 우수한 기술력 홍보에 주력하여 시장 진출 발판 마련해야함

- 보수적인 의약 산업 바이어 공략을 위해서는 세미나・수출 상담회 개최 등을 통해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야함

진출전략

- 양국 기관 간 체결한 MOU 등을 바탕으로 한 기술교류 및 미래 연구・개발 추진 등을 통해 각 산업 글로벌 공급망 진출기회 모색

2-3. 첨단기술 기반의 발달된 생태계, 스타트업 진출에 호재로 작용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 AI 핵심기술인 딥러닝과 강화학습의 원천기술 보유로 산업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는 캐나다 * 삼성전자, 제너럴모터스, 페이스북 등 전통 제조기업과 IT기업들의 캐나다 내 AI 연구소 설립 추세 지속

* 창업기관과 대학교, 연구소, 기업 및 투자가 등으로 이루어진 첨단산업 생태계가 토론토, 몬트리올, 밴쿠버, 에드먼턴 등을 중심으로 형성

* 유망분야 : AI, 빅데이터, 정보보안, 블록체인, 핀테크, 첨단 제조업, 생명과학, 농업 등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산・학・연을 중심으로 한 첨단산업 연구개발 및 제품 상용화 노력

- 캐나다 정부 : 2017년부터 AI 육성정책, 산・학・연 연구개발 프로젝트, 스마트시티 건설 등을 지원 중

- 글로벌 기업 : 인재와 기술력을 갖춘 토론토大, 멕길大, 알버타大 등과 산학 연구개발 프로젝트 진행 중

- 대학교와 민간 투자기업 : 창업기관 운영으로 창업 접근성 향상 및 실패도 빨리 극복할 수 있는 선진적인 창업 문화 조성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유망품목 : AI 기반 플랫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 진출전략

-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은 현지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 테크 행사 참여 등 현실적인 방법을 통해 북미 진출기회 모색 필요

- 무료 사무공간, 멘토링, 네트워킹, 초기자금 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비자 지원으로 외국 기업과 부양가족의 장기 체류가 가능한 캐나다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 활용

- 네트워킹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지 바이어의 특성상 현지 테크 행사, 컨퍼런스 등의 경연(피칭) 대회, 투자가 미팅 기회를 활용하여 직접 대면하여 제품을 시연하는 것이 효율적

* 2020년 6월 22~25일 토론토에서 북미 최대 규모의 테크 행사인 콜리전 컨퍼런스(Collision Conference)가 개최될 예정

2-4. 한류 확산으로 한국산 소비재 진출에 호재로 작용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 최저임금 상승 등의 영향으로 소비 확대 기조가 지속 될 전망

*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자 상거래 등의 영향으로 소비 트렌드가 바뀌고 있는 추세 * 지속되는 한류 확산으로 식품, 화장품 등 한국산 제품 인기 상승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2017년 기준 캐나다 소비재 산업 시장규모는 CAD 369억

- 최저임금 상승(2018년) 등이 소비재 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소비 확대 기조가 지속 될 전망

- 2020년까지 전자상거래 매출은 연 9.1% 성장이 예상되고 있으며, 기술 발전으로 시장 트렌드 확산 중

- 캐나다 소비자들은 실용적인 구매를 추구하는 성향이 강해 주로 온라인을 통해 브랜드와 제품을 비교한 후 구매를 진행

⚬ 한류 확산으로 식품, 화장품 등 한국산 제품 인기도 상승

- 캐나다의 아시아계 이민자 및 유학생 유입 급증으로 한류에 대한 인기가 점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

- K-뷰티 열풍으로 2018년 기준 한국산 화장품 수입액 전년 대비 37% 성장하며 CAD 7,542만 기록

- 현지 소비자들이 주로 미백, 주름개선 등 기능성이 강조된 한국산 화장품을 선호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유망품목 : 색조・스킨케어 제품, 식품, 기타 생활소비재

⚬ 진출전략

- Best Buy, Amazon, E-bay 등의 B2C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활용하여 소비자들 사이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구축

- 한류 콘텐츠 및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제품 마케팅 전략 수립과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현지 마케팅 행사에 적극 참여

- 소셜미디어의 영향으로 소비 트렌드가 바뀌고 있는 추세로, 밀레니얼 및 Z세대를 타깃으로 소비자 직접판매(Direct-to-Consumer) 방식 추진

진출전략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