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1. 주관적 경력성공

가. 주관적 경력성공 개념

경력(career)은 21세기 경쟁적인 환경에서 개인과 조직 성장에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일반적 으로 경력은 ‘개인이 직장생활 동안 갖게 되는 모든 직무’ (Werther Jr & Davis, 1989), 또는

‘의료인이나 법률가와 같은 특정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직무경험(Wiener & Vardi, 1980;

Blau, 1985; Aryee & Tan, 1992)' 등 협의의 개념을 비롯하여, ‘한 사람이 전 생애의 과정을 통 해 차지하게 되는 지위, 직무와 관련된 경험 및 태도(Hall, 1976)’ 등 다소 광범위한 접근까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박규경, 2000). 이는 경력의 의미가 학문분야마다 또는 연구자마다 다 양한 관점에서 해석되고, 경력 관련 많은 이론들이 심리학, 사회학, 경영학 등 다양한 패러다임 에서 출발한 데 비롯된다. 가령 심리학에서는 경력을 직업의 선택, 자아실현의 수단, 개인의 생 애 구조의 한 요소로 각각 이해하는 한편, 사회학에서는 사회 질서에 대한 개인의 상호 호혜적 기여를 중심으로 하는 관점과 한 개인의 직업이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지표로 보기도 하며, 경영학적 관점에서는 개인의 직업 선택 이후의 과정에 초점을 두고, 개인의 입사부터 퇴직에 이르는 일과 관련 다양한 활동으로 해석되기도 한다(김흥국, 2000). 이에 따라 경력이라는 의미 가 다양한 상황에 적용되고 보다 풍부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는 이점도 있지만, 해석 수준이 달라 지나치게 애매모호하다는 지적도 있다(오창환, 2012).

경력의 개념은 [표 II-1]과 같이 다양하게 정의되지만, 시대적으로 사회, 조직, 환경 변화를 겪어 오면서 경력개념변화에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즉 과거에는 고용안정을 바탕으로 근속년수에 따라 상위 직급으로 상향 이동하는 승진으로서의 경력이나, 전문가 지위로 계속 근 무하는 경력 패턴이 많았다면, 최근에는 경력 패러다임이 한 조직 내의 직무, 보직 중심에서 보다 자유로운 조직 간의 이동, 탄력적인 고용가능성으로 바뀌면서 경력의 관점을 인생 전체에 걸쳐 바라보는 시각이 보다 우세하다. 이러한 배경에는 글로벌화에 따른 직업 환경 변화, 경력

에 대한 가치관 다양화, 조직의 인적자원관리방식의 변화가 경력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속화한 (career as lifelong sequence of

role related experience)

· 한 개인이 일생을 두고 직무와 관련하여 얻게 되는 경험 및 활동에서 지각된 일련의 태도와 행위

자료: Hall. (1976). Career in Organization. Glenview, IL: Scott, Foresman. p.4.

또한 경력을 외재적 관점과 내재적 관점으로 구분(Van Mannen & Schein, 1977)하여, 외재 적 관점은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연봉, 직종, 직위를 기준으로 경력을 이해한다면, 내재적 관 점은 직무만족, 경력만족과 같은 주관적 해석이나 평가를 말한다. 즉, 경력은 한 개인이 가지는 일련의 일 관련 경험들 그 자체와 그 경험들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포함하는 주관적인 요소가 경력의 의미에 포함되어 있다(Werner & DeSimone, 2009).

이러한 경력 패러다임 변화와 맞물려 경력성공에 대한 개념도 다원화되고 있다. 경력성공과 관련 Seibert, Crant & Kraimer(1999)는 ‘경력성공은 개인의 업무 경험의 결과로 축적된 긍정 적인 심리상태와 업무관련 산출물’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개인의 발전에 대한 주관적, 객관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경력성공은 누가 판단하느냐에 따라 타인에 의해 판단되는

객관적 경력성공(objective career success)과 경력주체가 판단하는 주관적 경력성공(subjective career success)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Arthur et al., 2005), 두 가지 관점을 모두 중요하게 생 각하는 통합적 관점의 경력성공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객관적 경력성공은 임금, 승진, 직위 등 개인의 지속적인 업무 경험의 결과로 축적된 직무관 련 산출물로, 객관적으로 관찰이 가능하며, 보통 조직 내의 성장, 상승(advancement)에 초점 (McDonald, 2008)을 맞추고 성공기준이 조직에 의해서 결정된다(Judge & Bretz, 1994; Judge et al., 1995; Seibert & Kraimer, 2001). 반면 주관적 경력성공은 개인 인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 경력, 직무, 인생에 대한 만족 등으로, 객관적 경력성공보다 좀 더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개념이다(Gattiker & Larwood, 1986).

주관적 경력성공은 자신이 지금까지 경험해 온 경력에서의 성공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태 도로써, Gattika와 Larwood(1998)는 주관적 경력성공을 ‘개인이 자신의 경력 또는 직무역할에 대한 전반적 감정적 방향설정’이라고 정의내리고 있다. 또한 Hall(1990)은 ‘개인의 가치가 자신 의 경력에 정의된 정도’, Greenhaus 외(1990)는 ‘경력에 대한 심리적 동일시’라고 했으며, Judge 외(1991)는 ‘일에 대한 만족감, 상사나 동료와의 관계, 임금, 승진기회에 관한 만족과 관련된 내 용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국내에는 장은주와 박경규(2005)가 ‘경력에서의 전반적인 성공여부, 경력목표 달성 정도, 임금, 승진, 새로운 기술 개발 등에 대한 만족’으로 정의하고 있 다. 주로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된 정의는 경력과 직무에 대한 자기 스스로의 만족 여부를 판 단하고 있었으나, 이 밖에 많은 연구(Arthur, Khapova, & Wilderom, 2005; Gunz & Heslin, 2005; Heslin, 2005; Ng, Eby, Sorensen, & Feldman, 2005)에서 일과 가정의 양립(work-life balance), 경력 흥미(career enjoyment), 경력 만족(career satisfaction), 경력 실현(career fulfillment) 등 경력에 대한 주관적 가치 요소를 다양하게 포함하여 정의내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경력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감과 판단을 나타 내는 정의도 있다. Betz와 Fizgerald(1987)는 ‘동료와 비교한 자신,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평가, 그리고 나이 또는 자신의 경력목표와 비교하여 자신이 얼마나 발전했고, 자기 도전을 통 한 성취감, 역량 향상이 되었는지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를 모두 포함’한다고 하였으며, Heslin(2003)은 주관적 경력성공을 사회구조와 연계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에서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느끼는 자기 만족감을 추가하여 정의 내렸다. 이러한 연구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주 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개념은 경력을 통해 지금까지 자신이 이루어낸 임금, 승진, 역량향상 등

과 같은 객관적 요소를 비롯하여, 개인의 가치, 흥미 등의 주관적 요소에 이르기까지 경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산출물에 대한 자기 스스로의 기준에 비해 얼마나 만족하는지에 대 한 정도이며, 나아가 남과 비교하여 자신의 결과를 얼마나 만족하는지에 대한 정도이다.

경력성공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를 기점으로 객관적 경력성공 중심에서 최근에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1990년대 이전에는 임금, 승진횟수, 직급 등 외부적 요 인에 의해 결정되는 객관적 경력성공의 영향요인을 밝히려는 연구가 많았으며(윤하나, 탁진국, 2006), 주로 조직 내에 달성할 수 있는 연봉이나 직급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장은주, 2002). 성 별에 따라 객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 보여주는 대표적인 연구 로는 Melamed(1995)의 성별 경력성공모델과 Tharenou와 Conroy(1994)의 경력성공 모형이 있 다. Melamed(1995)는 고액 연봉이면서 업무 책임이 크고 승진 경험이 많은 관리자를 대상으로 경력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크게 인적자본, 경력선택, 기회구조로 구분하여 성별에 따라 경력성공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가 각각 어떻게 달라지는지 차이를 구명한 연구이다.

Melamed(1995)의 연구 [그림 Ⅱ-1] 에서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 결혼여부, 자녀여부가 남성과 달리 여성에게 경력성공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기본적으로 경력성공에 있어 여성과 남성이 차이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인적자본요소(Human Capital Attributes)

경력성공

임금 관리직급

책임 승진 직무관련요소: 지적능력, 학력, 직무경험 ⇒⇒ 남<여 ⇒⇒

성격요소:

외향성, 자신감, 독립성, 강인성, 자기통제 ⇒⇒ 남>여 ⇒⇒

가정환경요소: 결혼여부, 자녀여부 ⇒⇒ 남≠여 ⇒⇒

경력선택(Career Options)

거시적 경력선택: 직무유형, 직업적 위신 ⇒⇒ 남>여 ⇒⇒

중도 경력이동:

조직 내외 이동, 경력단절, 재배치 ⇒⇒ 남=여 ⇒⇒

기회구조(Opportunity Structure)

거시적 사회요소: 시장 환경, 실업율 ⇒⇒ 남>여 ⇒⇒

조직 요소: 조직 규모, 업종, 산업부문 ⇒⇒ 남<여 ⇒⇒

미시적 직무요소: 직업적 위신 및 성장 ⇒⇒ 남<여 ⇒⇒

[그림 Ⅱ-1] Melamed의 성별 경력 성공 모델 출처: Melamed(1995). Career Success: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p.46.

한편 Tharenou와 Conroy(1994)는 [그림 II-2}와 같이 호주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승진에 있 어 상황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에 따라 승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으며, 승진에 이르는 경로가 남녀 간에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상황적 요인은 업무구조, 업무환경 개발, 가정 내 역할갈등, 가정 내 책임감으로 구성되며, 개인적 요인은 개인의 태도, 인구통계학적 변 수, 유년기 사회화로 구성된다.

[그림 Ⅱ-2] Tharenou & Conroy의 성별 경력성공모델

출처: Tharenou & Conroy. (1994). Man and Woman Managers’ Advancement: Personal and Situational Determinant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3(1), p.8.

또한 Tharenou, Latimer와 Conroy(1994)는 관리직으로의 승진에 있어 여성의 승진은 교육수 준과 같은 개인적 요인에 의해 촉진되고 가사부담과 그로인한 근무경력 감축이 장애요인으로 나타나는 반면, 남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이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훈련과 개발 기회의 증진을 통해 승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Tharenou(2001)의 연구 에서는 여성의 중/하위직 승진 시에 남성중심적 조직구조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불리하게 작 용하였다.

그러나 객관적으로 매우 성공적인 사람도 자신의 성공에 회의를 느낄 수 있으며 경력에 대 한 불안감, 소외감, 스트레스, 무력감 등을 겪을 수 있다는 Korman 등(1981)의 연구가 수행되 면서, 1990년대 후반부터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객관적으로 매우 성공적인 사람도 자신의 성공에 회의를 느낄 수 있으며 경력에 대 한 불안감, 소외감, 스트레스, 무력감 등을 겪을 수 있다는 Korman 등(1981)의 연구가 수행되 면서, 1990년대 후반부터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