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 방법

3. 조사도구

예비조사는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2014년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3개 업체,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질문지 배포 결과 총 33부가 회수 되었고, 이 가운데 불성 실 응답자가 없어 33부 모두 분석에 활용하였다. 예비 조사에서는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는 Cronbach α값을 이용하여 검사 도구 전체의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각 문항별 내적 계수를 확 인하여 삭제 시 신뢰도가 향상하는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모든 측정도구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내적 일치도 계수를 확인하였으며, 일반 적으로 Cronbach α 값이 0.60점 이상이면 신뢰성이 유효하며 전체 문항들을 하나의 척도로 종 합하여 분석할 수 있다(Nunnally, 1967).

가. 주관적 경력성공

주관적 경력성공은 개인의 경력을 통해 이루어온 경력성과에 대하여 자기 스스로의 기 준에 비해 얼마나 만족하는지, 타인에 비해 자기 스스로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인 식정도를 의미하며, 하위 개념에는 객관적 기준만족, 경력성장만족, 사회적관계만족, 업무 만족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비교문화를 잘 반영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을 새롭게 정의한 신수림(2014)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 도구는 총 20문항으 로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예비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20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alpha)는 0.923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변인별 내적일치도는 객관적 기준만족 0.926, 경력성장만족 0.839, 업무만 족 0.906, 사회적 관계만족 0.847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본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 석 결과 주관적 경력성공 20문항의 전체의 내적일치도는 0.876으로 비교적 양호한 신뢰도를 나 타내었다. 측정변인별 내적일치도의 경우 객관적 기준만족 0.904, 경력성장만족 0.900, 업무만족 0.850, 사회적 관계만족 0.934로 신뢰도는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구분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 ⍺)

예비조사(n=33) 본조사(n=200)

객관적 기분 만족 0.926 0.904

경력성장 만족 0.839 0.900

업무 만족 0.906 0.850

사회적 관계 만족 0.847 0.934

주관적 경력성공 0.923 0.876

[표 Ⅲ-3] 주관적 경력성공 척도의 신뢰도 계수

나. 일-가족 갈등

일-가족 갈등은 일과 가족의 영역으로부터 오는 역할 압력에서 발생하는 역할들이 서로 양립하지 못하고 갈등 상태로 지속되는 유형을 의미하며, 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 차 원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가족 갈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Cinamon 외(2002)의 도구를 바탕으로 한국 취업모를 대상으로 측정도구를 타당화한 유성경 외(2012)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국내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일-가족 도구가 주로 외국 번안 도구에 지나지 않고, 한국 정서를 고려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는 반면, 유성경 외(2012)의 도구 는 한국의 기혼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타당화한 도구임에 따라 연구자가 가장 적합하다 고 판단하였다. 이 도구는 총 14개 문항으로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비조 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예비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내적 일치도 (alpha)가 일-가족 갈등 0.872, 가족-일 갈등 0.906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본조사 자료 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내적일치도가 일-가족 갈등 0.908, 가족-일 갈등 0.885로 신뢰도는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구분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 ⍺)

예비조사(n=33) 본조사(n=200)

일-가족 갈등 0.872 0.908

가족-일 갈등 0.906 0.885

구분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 ⍺)

예비조사(n=33) 본조사(n=200)

승진차별 0.806 0.843

보직배치차별 0.913 0.927

유리천장지각 0.840 0.858

[표 Ⅲ-4] 일-가족 갈등 척도의 신뢰도 계수

다. 유리천장지각

유리천장지각은 여성들이 조직 내에서 보이지 않은 인위적인 장벽 때문에 승진과 부서 배치에 대해 차별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천장지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 7문항으로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장영과 장수덕(2006)의 측정도구에서 연구자가 정의한 승진과 배치에 있어 유리천장지각이라는 관점에서 채용에 대한 1문항을 제외하고 총 6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도구를 수정 보완함에 따라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 였다. 예비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6개 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alpha)는 0.840 로 비교적 양호 편으로 나타났다. 측정변인별 내적일치도는 승진차별 0.806, 보직배치차별 0.913 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본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유리천장지각 6개 문항 의 전체의 내적일치도는 0.858로 비교적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측정변인별 내적일치도 의 경우 승진차별 0.843, 보직배치차별 0.927로 신뢰도는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표 Ⅲ-5] 유리천장지각 척도의 신뢰도 계수

라. 조직경력관리지원

조직경력관리지원은 조직차원에서 근로자가 경력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직의 경력지 원정책과 제도를 포함한 지원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수림(2014)이 강혜련(2007)과 장은주(2002)의 도구를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총 10문항으로 5점 리커트 척 도로 구성되어 있고, 교육․훈련 개발 기회와 상사의 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직경력관리지원 측정 도구는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예비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10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alpha)는 0.887로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냈다. 측정 변인별 내적일치도의 경우, 상사의 지원 6문항은 0.951, 교육․훈련 개발 기회 4문항은 0.869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본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조직경력관리지원 10문항 전 체의 내적일치도는 0.889로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측정변인별 내적일치도는 상사의 지 원 0.931, 교육․훈련 개발 기회 0.851로, 조직경력관리지원의 신뢰도는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구분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 ⍺)

예비조사(n=33) 본조사(n=200)

상사의 지원 0.951 0.931

교육․훈련 개발 기회 0.869 0.851

조직경력관리지원 0.887 0.889

[표 Ⅲ-6] 조직경력관리지원 척도의 신뢰도 계수

마. 인구통계학적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연령, 학력, 직위, 직무, 근무형태, 근속년수, 직원 수, 업종의 문항을 활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