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농촌 인구 전망 결과 종합

각 이동률 시나리오에 따라 장래 농촌 인구를 전망한 결과를 종합해서 나타내면 <표 3-11>과 같다. 어느 시나리오를 취하든 2053년도의 농촌 인구는 현재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었다. 즉 농촌 인구는 상위, 중위 시나리오일 경우, 2018년 이후부터 감소하며, 하위 시나리오일 때는 2008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계되었다. 읍지역 인구의 경우 상위 및 중위 시나리오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면지역 인구 가 모든 시나리오에서 공통적으로 감소하는 영향으로 전체 농촌 인구가

장기적으로 줄어드는 결과를 낳는 것이다.

4,141 4,744 5,080 5,394 5,453 5,479 0.67%

5,179 4,854 4,480 4,107 3,469 3,213 -0.84%

전체 9,320 9,598 9,560 9,501 8,922 8,692 -0.16%

중위

4,141 4,747 5,110 5,478 5,615 5,691 0.82%

5,179 4,769 4,267 3,788 3,089 2,819 -1.00%

전체 9,320 9,516 9,377 9,266 8,704 8,510 -0.18%

하위

4,141 4,520 4,392 4,230 3,855 3,681 -0.24%

5,179 4,712 4,107 3,551 2,816 2,532 -1.13%

전체 9,320 9,232 8,499 7,781 6,671 6,213 -0.73%

지역 시나리오 2008 2018 2028 2038 2048 2053

전국 중위 48,948 51,140 52,131 51,470 48,841 46,951

농촌

상위 19.04% 18.77% 18.34% 18.46% 18.27% 18.51%

중위 19.04% 18.61% 17.99% 18.00% 17.82% 18.13%

하위 19.04% 18.05% 16.30% 15.12% 13.66% 13.23%

주 1. 2008년 인구는 실측치, 2018년부터는 추계치에 해당함, 2. 전국은 전국인구수를 나타내며, 측정단위는 천명임

20) 연평균 변화율은 2008년 대비 2053년 인구 증가율을 연평균 변화율로 계산하여 나타 내었다.

2. 시사점

이상의 인구 전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게 된다. 첫 째, 농촌 지역 장래 모습은 어떻게 인구 유입을 촉진하느냐에 달려 있다 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농촌 인구가 어떤 시나리오를 취하여 변하 게 될지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 인구이동률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20대, 30대 젊은 층의 인구 유입, 유출은 인구의 출생과도 연결되기 때문에, 향 후 미래 인구 변화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농 촌 지역에서 적정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농촌 지역 거주인 중 특히 젊은 층의 인구 유출을 줄이고, 더불어 농촌 지역으로의 인구 유입을 유 인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은퇴 후 퇴직자들의 농촌 지역 유입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대책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농촌 지역 인구 이동률을 보면, 40대, 50대, 60대의 인구 이동이 증가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최근의 추세를 고려할 때, 40대~60대 연령층의 농촌 지역 유입을 어떻게 유지해 나갈 것인가 하는 점도 젊은 층에 대한 정책과 더불어 생각해 볼 문제이 다.

둘째, 각 시나리오별 총량 인구 변화 자체도 중요하지만, 지역의 입지 적 여건에 따라 농촌을 구분해서 도출한 인구 전망 결과에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시‧도별로 나누어보면 인구가 증가하는 지역도 있지만, 앞으 로 40년 뒤에 인구 수가 현 수준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곳도 존재한다. 따 라서 농촌 지역 전체를 아우르는 정책과 함께 각 지역 여건에 맞는 차별 화된 정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농촌 내에서도 읍지역과 면지역 간에 장래 인구 전망 결과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점도 중요하다. 읍지역 인구는 하위 시나리오를 제외하

고 상위, 중위 시나리오에서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면 지역 인구는 시나리오와 상관없이 향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 되었으며, 특히 하위 시나리오에서 면지역 인구는 2008년 대비 절반 수 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읍지역의 경우 귀농·귀촌자의 유입뿐 만 아니라 젊은 층 유입으로 인한 인구의 출생까지 더해서 인구 상승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면지역은 앞서 언급되었듯이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많고, 젊은 층의 유출이 상대적으로 심각해 자연적인 인구 감소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인구 감소가 더해져 인구 과소화가 향후 지속적으 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