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사 도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8)

1.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 문항은 2019년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 사업 중 수도권·대도시가 아닌 지역은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진료를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 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특히 생명과 직결되지만, 수익성이 낮은 필수의료 분 야의 공급 부족 및 지역 서비스 연계 미흡 등으로 지역 간 건강 격차가 발생하고 의료 공공성 저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고안된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을 활용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퇴원 환자(병원 입원-지역사회 연 계-모니터링)를 수행한다. 단계별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병원 단계에서는 환자 초 기평가를 통한 대상을 분류하고 개인정보 활용 동의한 경우 대상자 최종 선정, 심 층 평가를 통한 대상자 재평가,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관계기관별 사전 협의와 치 료 종료(연계)를 수행한다. 아울러 지역사회 단계에서는 ‘공공 의료연계망’ 통한 유

1) 참조: 부록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형별 연계(지자체 및 모든 연계기관)를 하고, 모니터링 단계에서는 대상 환자 퇴원 후 정해진 주기에 따라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표 Ⅲ-2>는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차별성에서는 ‘타 병원 소견서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304명(79.69%), ‘내용은 자세 히 기록되어 있으나, 기타 상급병원 진료의뢰서와 차이가 없다.’ 14명(4.34%), ‘일반 적인 진료의뢰서(소견서)와 차이를 느낄 수 없다’ 5명(1.48%), ‘타 병원 소견서보다 복잡하여 파악하기가 더욱 힘들다.’ 4명(1.33%)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 평가 시 다학제 팀의 의학적 평가 및 사회·경제적 평가, 상담 등을 통해 표준화된 공통양식을 사용한 것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만족 145명(44.89%), 보통 133명(41.18%), 만족하지 않으면 29명(8.98%), 매우 만족하지 않으면 16명(4.95%), 매우 만족 4명(1.24%) 순으로 나타났다.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참 조비율은 50%~70% 117명(36.22%), 70% 이상 106명(32.82%), 30%~50% 70명 (21.67%), 10%~30% 22명(6.81%), 10% 미만 8명(2.48%) 순으로 나타났다. 퇴원환자 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장점은 ‘이 전 치료사의 퇴원기록이 작성되어 있어 치료계획 수립이 쉽다’ 85명(26.32%), ‘환자의 정보제공이 항목 선택으로 구성되어 있어 간결하다’ 84명(26.01%), 약제 관리 내용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복약 관리에 도움이 된다‘ 62명(19.2%), ’퇴원 후 필요서비스가 항목별로 분류되어 돌봄 계획 수 립에 도움이 된다‘ 60명(18.58%), ’질환 심층 평가(시술 여부, 평가 도구, 시행 일자, 평가 점수)가 보기 편하다‘ 32명(9.91%)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1>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인식도 분석

  빈도(명) 백분율(%)

기타병원 양식과 비 교 시 차별성

① 타 병원 소견서보다 자세하 고 정확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304 79.69

② 내용은 자세히 기록되어 있 으나, 기타 상급병원 진료

의뢰서와 차이가 없다. 14 4.34

③ 일반적인 진료의뢰서

(소견서)와 차이를 느낄 수

없다. 5 1.48

2. 간호사들의 근무 환경

간호근무환경 측정 도구인 PES-NWI는 개발 당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구의 구성 타당도가 검정 되었으며(Lake, 2002), 이후 다수의 연구를 통하여 PES-NWI의 요인구조(factor structure)가 확정되었으나 국가별 의 료전달체계와 경제, 문화 수준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조은희 외 (2011)는 표준화된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간호근무환경 측정 도구인 PES-NWI를

④ 타 병원 소견서보다 복잡하 여 파악하기가 더욱 힘들

. 4 1.33

환자 평가 시 다학제 팀의 의학적 평가 및 사회·경제적 평 , 상담 등을 통해 표준화된 공통양식 을 사용한 것에 대 한 만족도

매우 만족 4 1.24

만족 145 44.98

보통 133 41.18

만족하지 않음 29 8.98

매우 만족하지 않음 16 4.95

퇴 원 환 자 연 계 서 식 (Discharge care plan)

참조비율

10% 미만 8 2.48

10%-30% 22 6.81

30%-50% 70 21.67

50%-70% 117 36.22

70% 이상 106 32.82

퇴 원 환 자 연 계 서 식 (Discharge care plan)

장점

① 환자의 정보제공이 항목 선 택으로 구성되어 있어 간결

하다. 84 26.01

② 이 전 치료사의 퇴원기록이 작성되어 있어 치료계획 수

립이 쉽다. 85 26.32

③ 약제 관리 내용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복약 관리에 도움

이 된다. 62 19.2

④ 질환 심층 평가(시술 여부, 평가 도구, 시행 일자, 평가

점수)가 보기 편하다. 32 9.91

⑤ 퇴원 후 필요서비스가 항목 별로 분류되어 돌봄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된다. 60 18.58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33개 문 항 5개 하부영역으로 이루어진 한국어판 PES-NWI를 개발하였다. 이 도구는 병원 운영에 간호사의 참여,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간호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 호사에 대한 지지,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로 분류 되며, 국내에서 간호근무환경 측정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도구이다. 이전의 근무환 경에 관한 국내 연구에서는 간호근무환경을 병동의 침상 수, 입원 환자 수, 시간 외 근무, 밤번 순환일수 등으로 측정하거나(박혜자 외, 2002), 간호사 1인당 평균 환자 수, 초과근무 수와 같은 간호업무량과 간호보조 인력 확보수준 등의 물리적 측면의 간호근무환경으로 평가하였다(고유경·김병진, 2008). 본 연구는 조은희 외 (2011)는 표준화된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간호근무환경 측정 도구인 PES-NWI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도구를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반영하였다.

3.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만족도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만족도는 2019년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 사업의 주요 내용 중 공공의료 협력 강화를 위한 협력모델 발굴 및 업무 프로토콜 마련 등이 주요 골자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지역의료기관 등과의 연계방안 및 원내 센터·부서 간 협력모델 발굴, 퇴원환자 연계 등 공공의료 협력사 업 수행을 위한 원내 프로토콜 논의와 환자 스크리닝 및 평가결과 공유, 다학제 진 료 등을 위한 치료계획 협의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공공보건의료계획 수립 협의 및 계획 이행 추진·관리의 수월성을 위한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에 대한 정보에 대한 만족도, 치료계획 및 수립에 대한 만족도,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을 통한 업무처리 속도와 전반적인 만족도를 구분하여 적용 하였다.

4. 조사 도구의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서 활용될 변수들의 유형화 작업을 위하여 여러 개의 문항에서 공통 적 요인을 추출하고 변수화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하였다. 요인추출을 위해 주성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요인회전 방식은 베리맥스(Verimax)회전 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주요 연구 변인들의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Cronbach’s ɑ 값을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내적 일관성을 살펴보면서, 조사 도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종속변수측정을 위한 도구들의 신뢰도 결과는 간호근무환경의 간호 사의 참여 0.899,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0.908,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0.925, 간호사에 대한 지지와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0.904,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0.908로 나타났다.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만족 도 중 정보에 대한 만족도 0.912, 치료계획 및 수립에 대한 만족도 0.897, 업무처리 속도와 전반적인 만족도 0.898로 나타났다(부록 참조).

5. 분석방법

먼저, 본 연구대상인 간호사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 인식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만 족도가 간호근무환경과 만족도의 차이 검증을 위해 t 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을 한다. 둘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인식도, 간호근무환경, 만족도와의 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 분석 (Correlation Analysis)을 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퇴원환자 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인식도, 간호근무환경, 만족도 변인 간의 인과관계 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다.

Ⅳ. 연구결과

A. 간호사들의 일반 특성

먼저, 우선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활용한 변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 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선정한 변인들의 정규성 여부를 검증한 결과를 <표 Ⅳ-1>에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323개의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인에 대한 응답자 의 분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Ⅳ-1> 기술통계 분석 결과

(N=323)

요인 변인명 명수 분포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수

30개 이하 2 0.62

50개 이상 35 10.84

100개 이상 145 44.89

200개 이상 116 35.91

300개 이상 25 7.74

근무 부서

병동 200 61.92

응급실 38 11.76

수술실 33 10.22

중환자실 15 4.64

외래 31 9.6

기타 6 1.86

하루 평균 담당 환자

3명 이하 -

-5명 이상 8 2.48

10명 이상 4 1.24

15명 이상 47 14.55

20명 이상 264 81.73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43.65

2년 이상 37 11.46

3년 이상 36 11.15

4년 이상 8 2.48

5년 이상 101 31.27

진료 과목

내과 38 11.76

가정의학과 23 7.12

신경과 22 6.81

재활의학과 187 57.89

정형외과 25 7.74

일반의 28 8.67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비율

10% 미만 3 0.93

10%~30% 미만 11 3.41

30%~50% 미만 92 28.48

50%~70% 미만 75 23.22

70% 미만 142 43.96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

10% 미만 3 0.93

10%~30% 미만 10 3.1

30%~50% 미만 70 21.67

50%~70% 미만 88 27.24

70% 미만 152 47.0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