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관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65)

상기의 주요 변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본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 기 위한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이 간호사의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 기 위한 각 변인의 독립성과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첫 번째 연구가설인,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은 양질의 간호를 위한 환경 조성 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두 번째 연구가설인 뇌졸중 퇴원 환자 연계사업은 간호사와 의사간의 협력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세 번째 연구가설인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은 간호사에 대한 인 력과 물질적 지원에 영향을 미칠 것임과 네 번째 연구가설인 뇌졸중 퇴원환자 연 계사업은 간호사의 퇴원환자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만족 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파악하고자 한다.

<표 Ⅳ-2> 상관관계 분석 결과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차별성 1

표준화 0.75*** 1

참조비율 0.31*** 0.37*** 1

장점 0.58*** 0.58*** 0.41*** 1

간호사의 참여 0.50*** 0.55*** 0.42*** 0.80*** 1

양질 간호기반 0.47*** 0.52*** 0.43*** 0.75*** 0.84*** 1

간호관리자 리더십 0.46*** 0.46*** 0.46*** 0.65*** 0.70*** 0.78*** 1

인력 물적 지원 0.37*** 0.42*** 0.47*** 0.60*** 0.69*** 0.76*** 0.86*** 1

간호사·의사 협력 0.38*** 0.44*** 0.40*** 0.54*** 0.64*** 0.71*** 0.74*** 0.79*** 1

만족도 0.37*** 0.40*** 0.41*** 0.43*** 0.60*** 0.70*** 0.82*** 0.72*** 0.85*** 1

치료계획 및 수립 0.55*** 0.42*** 0.80*** 0.54*** 0.62*** 0.73*** 0.71*** 0.42*** 0.50*** 0.64*** 1

전반적인 만족도 0.29*** 0.37*** 0.42*** 0.53*** 0.59*** 0.63*** 0.65*** 0.67*** 0.72*** 0.41*** 0.74*** 1 ) *:P<0.1, **:P<0.05, ***:P<0.01

C.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 주요 변인 차이 분석 결과

1.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 분석 결과

본 연구결과는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를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연구가설의

‘개인 배경에 따른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인 배경 특성에 대한 원인 규명을 하면서 이에 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 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차별성 인식도 차이 분석 에 관한 연구결과는 <표 Ⅳ-3>과 같다.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 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는 근무 부서(F=4.55, P=.

000)와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F=4.89, P=. 000), 근속 연수(F=3.44, P=. 001),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중 참조비율(F=4.88, P=. 000)과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 율(F=3.82, P=. 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되었다. 하지만 개 인 배경 중 병상 수와 진료 과목은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기타 병원 양식과 비교 시 차별성 인식도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없었다.

<표 Ⅳ-3>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 분석 결과(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차별성)

요인 변인명 N M SD t/F P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수

30개 이하 2 2.00 0.00

0.23 0.92 50개 이상 35 2.00 0.77

100개 이상 145 1.88 1.12 200개 이상 116 1.93 0.60 300개 이상 25 2.00 0.71

근무 부서

병동 200 1.86 0.84

4.55 0.00***

응급실 38 1.89 0.92

수술실 33 1.94 1.00

중환자실 15 2.53 0.83

외래 31 2.26 0.96

기타 6 1.00 0.00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5명 이상 8 1.50 0.93

4.89 0.00***

10명 이상 4 2.00 0.00

15명 이상 47 2.32 1.18 20명 이상 264 1.86 0.82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2.07 0.97

3.44 0.01**

2년 이상 37 1.97 0.64

3년 이상 36 1.97 1.18

4년 이상 8 1.50 0.93

5년 이상 101 1.71 0.67

진료 과목

내과 38 1.76 0.68

0.65 0.66

가정의학과 23 1.96 0.88

신경과 22 1.91 1.11

재활의학과 187 1.98 0.94

정형외과 25 1.88 1.01

일반의 28 1.79 0.42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비

10% 미만 3 3.00 0.00

4.88 0.00***

10%~30% 미만 11 2.00 0.63 30%~50% 미만 92 2.16 0.76 50%~70% 미만 75 1.89 0.97 70% 미만 142 1.75 0.91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

10% 미만 3 3.00 0.00

3.82 0.00***

10%~30% 미만 10 2.10 0.57 30%~50% 미만 70 2.11 0.91

) *:P<0.1, **:P<0.05, ***:P<0.01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환자 평가 시 다학제 팀의 의학적 평가 및 사회·

경제적 평가, 상담 등을 통해 표준화된 공통양식을 사용한 것에 대한 만족도’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결과는 <표 Ⅳ-4>와 같다.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 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는 병상 수(F=11.83, P=<.0001)'과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F=9.51, P=<.0001), 근속 연수(F=4.51, P=.

00), 진료 과목(F=2.57, P=. 003),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중 참조비율(F=10.74, P=<.0001)과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F=12.32,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되었다. 하지만 개인 배경 중 근무 부서는 퇴원환자연계서 식(Discharge care plan)의 환자 평가 시 다학제 팀의 의학적 평가 및 사회·경제적 평가, 상담 등을 통해 표준화된 공통양식을 사용한 것에 대한 만족도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없었다.

<표 Ⅳ-4>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 분석 결과(환자 평가 시 다학제 팀의 의학적 평가 및 사회·경제적 평가, 상담 등을 통해 표준화된 공통양식을 사용한 것에 대한 만족도)

요인 변인명 N M SD t/F P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30개 이하 2 2.00 0.00

11.83 <.0001

***

50개 이상 35 2.91 0.70

100개 이상 145 2.28 0.85 200개 이상 116 2.60 0.49 300개 이상 25 2.24 0.44

근무 부서

병동 200 2.48 0.69

1.25 0.29

응급실 38 2.37 0.88

수술실 33 2.58 0.83

중환자실 15 2.47 0.83

외래 31 2.42 0.62

기타 6 2.00 0.00

하루 평균 담당 환자

5명 이상 8 2.25 0.46

9.51 <.0001

***

10명 이상 4 1.00 0.00

15명 이상 47 2.60 0.83

20명 이상 264 2.46 0.70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2.58 0.74

4.51 0.00

***

2년 이상 37 2.46 0.69

3년 이상 36 2.53 0.97

4년 이상 8 2.13 0.35

5년 이상 101 2.29 0.61

진료 과목

내과 38 2.32 0.74

2.57 0.03

**

가정의학과 23 2.43 0.79

신경과 22 2.45 0.60

재활의학과 187 2.55 0.74

정형외과 25 2.20 0.82

일반의 28 2.32 0.48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 비율

10% 미만 3 3.00 0.00

10.74 <.0001

***

10%~30% 미만 11 2.00 0.63 30%~50% 미만 92 2.65 0.83 50%~70% 미만 75 2.64 0.78 70% 미만 142 2.26 0.55 나의

업무에 도움이

비율

10% 미만 3 3.00 0.00

12.32 <.0001

***

10%~30% 미만 10 2.10 0.57

) *:P<0.1, **:P<0.05, ***:P<0.01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참조비 율’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결과는 <표 Ⅳ-5>와 같다.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는 근무 부서 (F=5.24, P=. 00)와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F=23.23, P=<.0001), 근속 연수(F=12.03, P=<.0001), 진료 과목(F=2.91, P=. 001),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중 참조비율 (F=63.10, P=<.0001)과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F=58.87, P=<.0001)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되었다. 하지만 개인 배경 중 병상 수는 퇴원환자 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참조비 율 인식도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없었다.

<표 Ⅳ-5>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 분석 결과(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참조비율)

요인 변인명 N M SD t/F P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30개 이하 2 4.00 0.00

0.75 0.56

50개 이상 35 4.03 0.62

100개 이상 145 3.85 1.11 200개 이상 116 3.92 0.94 300개 이상 25 3.92 1.29

근무 부서

병동 200 3.86 0.98

5.24 0.00

***

응급실 38 3.97 1.13

수술실 33 3.88 1.05

중환자실 15 3.67 1.11

외래 31 4.03 1.02

기타 6 5.00 0.00

하루 평균 담당 환자

5명 이상 8 4.50 0.93

23.23 <.0001

***

10명 이상 4 3.00 0.00

15명 이상 47 3.32 1.34

20명 이상 264 4.00 0.91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3.88 1.10

12.03 <.0001

***

2년 이상 37 3.32 1.03

3년 이상 36 3.97 0.81

4년 이상 8 4.00 0.00

5년 이상 101 4.11 0.93

진료 과목

내과 38 3.95 0.70

2.91 0.01

**

가정의학과 23 3.74 1.01

신경과 22 4.27 0.94

재활의학과 187 3.91 1.01

정형외과 25 3.68 1.11

일반의 28 3.82 1.33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 비율

10% 미만 3 2.33 1.15

63.10 <.0001

***

10%~30% 미만 11 2.27 0.65 30%~50% 미만 92 3.37 0.81 50%~70% 미만 75 4.07 0.79 70% 미만 142 4.32 0.96 나의

업무에 도움이

비율

10% 미만 3 2.33 1.15

58.87 <.0001

***

10%~30% 미만 10 2.10 0.32 30%~50% 미만 70 3.37 0.84

) *:P<0.1, **:P<0.05, ***:P<0.01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장점’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결과는 <표 Ⅳ-6>과 같다.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 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는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F=8.84, P=<.0001),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중 참조비율(F=3.79, P=<.01) 과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F=3.87, P=<.00)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되었다. 하지만 개인 배경 중 병상 수, 근무 부서, 근속 연수, 진료 과목은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 장점 인식도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없었다.

<표 Ⅳ-6>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 분석 결과(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장점)

요인 변인명 N M SD t/F P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30개 이하 2 3.00 0.00

0.68 0.61 50개 이상 35 2.94 0.94

100개 이상 145 2.65 1.51 200개 이상 116 2.60 1.43 300개 이상 25 2.92 1.63

근무 부서

병동 200 2.66 1.43

1.51 0.19

응급실 38 2.84 1.55

수술실 33 2.55 1.42

중환자실 15 2.87 1.77

외래 31 2.52 1.23

기타 6 4.00 0.00

하루 평균 담당 환자

5명 이상 8 4.25 0.46

8.84 <.0001

***

10명 이상 4 5.00 0.00

15명 이상 47 2.32 1.53 20명 이상 264 2.67 1.38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2.70 1.39

0.58 0.68

2년 이상 37 2.81 1.51

3년 이상 36 2.89 1.67

4년 이상 8 2.38 1.06

5년 이상 101 2.57 1.41

진료 과목

내과 38 2.39 1.44

1.51 0.19

가정의학과 23 3.00 1.48

신경과 22 2.73 1.20

재활의학과 187 2.67 1.41

정형외과 25 2.40 1.38

일반의 28 3.14 1.67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 비율

10% 미만 3 4.33 1.15

3.79 0.01

***

10%~30% 미만 11 1.55 0.93 30%~50% 미만 92 2.85 1.50 50%~70% 미만 75 2.79 1.54 70% 미만 142 2.58 1.32 나의

업무에 도움이

비율

10% 미만 3 4.33 1.15

3.87 0.00

***

10%~30% 미만 10 1.50 0.97 30%~50% 미만 70 2.80 1.38 50%~70% 미만 88 2.86 1.35

) *:P<0.1, **:P<0.05, ***:P<0.01

2.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의 간호근무환경 차이 분석 결과

본 연구결과는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의 간호근무환경 인식도 차이를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결과 는 연구가설의 ‘개인 배경에 따른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간호 환경의 인식도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간호사의 참여’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결과는 <표 Ⅳ-7>과 같다.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 는 병상 수(F=4.19, P=. 00), 근무 부서(F=2.90, P=. 01)와 근속 연수(F=16.44, P=<.0001), 진료 과목(F=7.12, P=<.0001),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중 참조비율 (F=14.31, P=<.0001)과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F=7.87, P=<.0001)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되었다. 하지만 개인 배경 중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는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간호참여 인식도와의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없었다.

<표 Ⅳ-7>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의 인식도 차이 분석 결과(간호사의 참여)

요인 변인명 N M SD t/F P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30개 이하 2 3.50 0.00

4.19 0.00

***

50개 이상 35 2.99 0.63 100개 이상 145 3.23 0.42 200개 이상 116 3.16 0.47 300개 이상 25 3.07 0.35

근무 부서

병동 200 3.14 0.44

2.90 0.01

**

응급실 38 3.31 0.55

수술실 33 3.19 0.41

중환자실 15 3.12 0.53

외래 31 3.27 0.52

기타 6 2.83 0.00

하루 평균 담당 환자

5명 이상 8 3.04 0.39

1.00 0.39

10명 이상 4 3.00 0.00

15명 이상 47 3.12 0.36 20명 이상 264 3.18 0.48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3.27 0.55

16.44 <.0001

***

2년 이상 37 2.73 0.35

3년 이상 36 3.20 0.17

4년 이상 8 3.35 0.49

5년 이상 101 3.17 0.32

진료 과목

내과 38 3.04 0.31

7.12 <.0001

***

가정의학과 23 3.30 0.43

신경과 22 3.23 0.56

재활의학과 187 3.21 0.46

정형외과 25 3.25 0.65

일반의 28 2.83 0.00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 비율

10% 미만 3 3.50 0.29

14.31 <.0001

***

10%~30% 미만 11 2.95 0.21 30%~50% 미만 92 3.01 0.48 50%~70% 미만 75 3.07 0.39 70% 미만 142 3.33 0.45 나의

업무에 도움이

비율

10% 미만 3 3.50 0.29

7.87 <.0001

***

10%~30% 미만 10 2.97 0.22 30%~50% 미만 70 3.10 0.43

) *:P<0.1, **:P<0.05, ***:P<0.01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차이 분석에 관한 연 구결과는 <표 Ⅳ-8>과 같다.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 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는 근무 부서(F=2.11, P=. 05)와 근 속 연수(F=4.29, P=<.00),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중 참조비율(F=7.95, P=<.0001)과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F=5.50, P=<.00)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되었다. 하지만 개인 배경 중 병상 수,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진료 과목은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양질 간호를 위한 기반 인 식도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없었다.

<표 Ⅳ-8>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의 인식도 차이 분석 결과(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요인 변인명 N M SD t/F P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30개 이하 2 3.57 0.00

1.29 0.28 50개 이상 35 3.16 0.51

100개 이상 145 3.17 0.45 200개 이상 116 3.23 0.36 300개 이상 25 3.29 0.23

근무 부서

병동 200 3.20 0.40

2.11 0.05

*

응급실 38 3.29 0.52

수술실 33 3.19 0.38

중환자실 15 2.93 0.35

외래 31 3.27 0.42

기타 6 3.14 0.00

하루 평균 담당 환자

5명 이상 8 3.14 0.00

0.57 0.63

10명 이상 4 3.00 0.00

15명 이상 47 3.24 0.32 20명 이상 264 3.20 0.44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3.19 0.51

4.29 0.00

***

2년 이상 37 3.01 0.31

3년 이상 36 3.26 0.26

4년 이상 8 3.54 0.63

5년 이상 101 3.24 0.29

진료 과목

내과 38 3.17 0.29

0.40 0.85

가정의학과 23 3.27 0.45

신경과 22 3.25 0.49

재활의학과 187 3.19 0.41

정형외과 25 3.21 0.70

일반의 28 3.24 0.12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 비율

10% 미만 3 3.10 0.08

7.95 <.0001

***

10%~30% 미만 11 3.36 0.10 30%~50% 미만 92 3.04 0.33 50%~70% 미만 75 3.18 0.36 70% 미만 142 3.31 0.47 나의

업무에 도움이

비율

10% 미만 3 3.10 0.08

5.50 0.00

***

10%~30% 미만 10 3.37 0.10 30%~50% 미만 70 3.04 0.29 50%~70% 미만 88 3.18 0.45

) *:P<0.1, **:P<0.05, ***:P<0.01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결과는 <표 Ⅳ-9>와 같다.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 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는 병상 수(F=2.38, P=. 05), 근속 연수(F=10.52, P=<.0001), 진료 과목(F=3.44, P=. 00),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중 참조비율(F=8.54, P=<.0001)과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F=7.18, P=<.0001)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되었다. 하지만 개인 배경 중 근무 부서,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는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인식도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없 었다.

<표 Ⅳ-9>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의 인식도 차이 분석 결과(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요인 변인명 N M SD t/F P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30개 이하 2 3.38 0.00

2.38 0.05

* 50개 이상 35 3.04 0.39

100개 이상 145 3.02 0.34 200개 이상 116 3.08 0.33 300개 이상 25 3.16 0.06

근무 부서

병동 200 3.06 0.33

1.21 0.31

응급실 38 3.13 0.44

수술실 33 2.99 0.26

중환자실 15 2.97 0.35

외래 31 3.04 0.22

기타 6 3.13 0.00

하루 평균 담당 환자

5명 이상 8 3.09 0.06

0.90 0.44

10명 이상 4 3.00 0.00

15명 이상 47 3.12 0.18 20명 이상 264 3.05 0.36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3.04 0.37

10.52 <.0001

***

2년 이상 37 2.81 0.38

3년 이상 36 3.18 0.16

4년 이상 8 3.25 0.51

5년 이상 101 3.11 0.22

진료 과목

내과 38 3.17 0.20

3.44 0.00

***

가정의학과 23 3.17 0.43

신경과 22 3.09 0.25

재활의학과 187 3.01 0.30

정형외과 25 3.08 0.62

일반의 28 3.10 0.17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 비율

10% 미만 3 3.21 0.36

8.54 <.0001

***

10%~30% 미만 11 3.23 0.08 30%~50% 미만 92 2.96 0.33 50%~70% 미만 75 2.99 0.34 70% 미만 142 3.14 0.31 나의

업무에 도움이

비율

10% 미만 3 3.21 0.36

7.18 <.0001

***

10%~30% 미만 10 3.21 0.06 30%~50% 미만 70 2.92 0.21 50%~70% 미만 88 3.03 0.41

주) *:P<0.1, **:P<0.05, ***:P<0.01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간호사에 대한 지지와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 원’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결과는 <표 Ⅳ-10>과 같다.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 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는 병상 수(F=12.14, P=<.000), 근무 부서(F=15.80, P=<.0001)'과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F=23.39, P=<.0001), 근속 연수(F=11.93, P=<.0001), 진료 과목(F=10.86, P=<.001),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중 참조비율(F=14.05, P=<.0001)과 나의 업무에 도움 이 된 비율(F=14.91,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되었다.

<표 Ⅳ-10>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의 인식도 차이 분석 결과(간호사에 대한 지지와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요인 변인명 N M SD t/F P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30개 이하 2 3.71 0.00

12.14 <.0001

***

50개 이상 35 3.40 0.41 100개 이상 145 3.31 0.45 200개 이상 116 3.47 0.40 300개 이상 25 3.70 0.49

근무 부서

병동 200 3.40 0.39

15.80 <.0001

***

응급실 38 3.41 0.52

수술실 33 3.33 0.42

중환자실 15 3.22 0.48

외래 31 3.45 0.51

기타 6 4.43 0.00

하루 평균 담당 환자

5명 이상 8 4.25 0.33

23.39 <.0001

***

10명 이상 4 3.71 0.00

15명 이상 47 3.35 0.31 20명 이상 264 3.39 0.44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3.36 0.48

11.93 <.0001

***

2년 이상 37 3.18 0.36

3년 이상 36 3.42 0.26

4년 이상 8 3.57 0.72

5년 이상 101 3.54 0.40

진료 과목

내과 38 3.65 0.15

10.86 <.0001

***

가정의학과 23 3.42 0.45

신경과 22 3.39 0.50

재활의학과 187 3.33 0.43

정형외과 25 3.37 0.60

일반의 28 3.64 0.42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 비율

10% 미만 3 3.57 0.25

14.05 <.0001

***

10%~30% 미만 11 3.39 0.07 30%~50% 미만 92 3.24 0.39 50%~70% 미만 75 3.38 0.39 70% 미만 142 3.54 0.48 나의

업무에 도움이

비율

10% 미만 3 3.57 0.25

14.91 <.0001

***

10%~30% 미만 10 3.40 0.06 30%~50% 미만 70 3.23 0.38 50%~70% 미만 88 3.33 0.42

) *:P<0.1, **:P<0.05, ***:P<0.01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결과는 <표 Ⅳ-11>과 같다.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퇴원 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인식도 차이는 병상 수(F=19.79, P=<.000), 근무 부서(F=6.46, P=<.0001)'과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F=2.82, P=<.04), 근속 연 수(F=21.76, P=<.0001), 진료 과목(F=13.86, P=<.001),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중 참조비율(F=17.34, P=<.0001)과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F=18.19, P=<.000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되었다.

<표 Ⅳ-11> 개인특성 배경과 진료 회송서 활용도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의 인식도 차이 분석 결과(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요인 변인명 N M SD t/F P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30개 이하 2 3.80 0.00

19.79 <.0001

***

50개 이상 35 3.35 0.46 100개 이상 145 3.29 0.59 200개 이상 116 3.35 0.44 300개 이상 25 4.00 0.65

근무 부서

병동 200 3.39 0.51

6.46 <.0001

***

응급실 38 3.36 0.58

수술실 33 3.24 0.50

중환자실 15 3.05 0.44

외래 31 3.58 0.84

기타 6 3.80 0.00

하루 평균 담당 환자

5명 이상 8 3.60 0.37

2.82 0.04

*

10명 이상 4 3.80 0.00

15명 이상 47 3.34 0.48 20명 이상 264 3.37 0.58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3.20 0.52

21.76 <.0001

***

2년 이상 37 3.33 0.51

3년 이상 36 3.36 0.37

4년 이상 8 3.88 0.47

5년 이상 101 3.62 0.59

진료 과목

내과 38 3.64 0.45

13.86 <.0001

***

가정의학과 23 3.31 0.50

신경과 22 3.53 0.38

재활의학과 187 3.27 0.57

정형외과 25 3.30 0.70

일반의 28 3.76 0.27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 비율

10% 미만 3 3.20 0.35

17.34 <.0001

***

10%~30% 미만 11 3.76 0.40 30%~50% 미만 92 3.14 0.52 50%~70% 미만 75 3.37 0.57 70% 미만 142 3.52 0.53 나의

업무에 도움이

비율

10% 미만 3 3.20 0.35

18.19 <.0001

***

10%~30% 미만 10 3.78 0.42 30%~50% 미만 70 3.07 0.59 50%~70% 미만 88 3.38 0.50

) *:P<0.1, **:P<0.05, ***:P<0.0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6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