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4-98)

한 연구결과는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에서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이 간호근무환경 중 간호사의 적극적인 병원 정책 참여를 존중하는 환경, 효 율적인 간호 업무수행에 필요한 충분한 인력과 자원의 제공, 간호의 질 향상을 위 한 체계적인 간호기반이 확립된 환경, 간호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과 간호사에 대 한 지지가 가능한 환경, 간호사가 환자 치료를 위해 정보를 공유, 의견을 나누고 상호 존중하는 협력적인 간호사와 의사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유용함을 밝힌 연 구결과(Lake, 2002)와 일맥상통하다. 무엇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의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을 통한 근무환경을 긍정적으 로 인식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고 이직 의도는 낮으며 소진은 적을 수 있음을 추 론할 수 있다. 아울러 뇌졸중 퇴원환자 임상 간호사에게 발생할 수 있는 공감 만족 과 공감 피로, 소진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연구에서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간호사들의 공감 만족이 높아지며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간호대상자 인 환자의 고통에 감정이입이 되어 공감 피로를 경험하게 됨(김현정·염영희, 2014) 을 고려해 볼 때,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참조는 간호근무환경의 긍정성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참고문헌

강민수, 조민우, 임현술, 김상규. (2010). 경주지역 뇌졸중 환자들의 장애정도와 관련요인. 농촌의학· 지역보건, 35(4), 405-416.

김민숙, 소희영, 정미숙. (2013).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질병의 심각도 및 장 애 정도가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16(2), 90-99.

김선미, 김다양, 이광수. (2017). 의료기관별 뇌졸중 유형에 따른 진료비, 재원일 수 이학법료의 차이분석.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1(1). 11-34.

김성은, 김철희. (2014). 비서의 감정노동,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회복탄력성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3(5), 261-283.

김신, 김정혜, 박정윤, 서은영, 양화정, 이수연, 이영신, 전미진, 이순행, 김경옥.

(2010). 일개 종합병원 종양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임상간호연구, 16(3), 145-155.

김애숙. (2011). 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및 자아 탄력성과 정 신건강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조, 한주희 (2008). 서비스 직원의 감정노동 수행과 직무소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2(3), 95-128.

김영희, 서경현. (2011). 병원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스트레 스반응 및 서비스 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2), 329-345.

김원표. (2006).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 서울: 사회와 통계.

김은정, 김동진, 선우덕, 윤성상. (2006). 노인의 의료비 분석을 통한 노인건강관 리체계 구축방안: 뇌졸중 노인의 합리적 의료이용 방안. 서울: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김정희, 한미열. (2005).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대한 사회 적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4(2), 108-117.

김종경, 김명자, 김세영, 유미, 이경아. (2014). 종합병원의 간호업무환경이 간호

사의 직무배태성,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0(1), 69-81.

김준엽, 배희중, 박종무(2018). 뇌졸중 역학보고서, 2018, 주간 건강과 질병 12(43), 78-89.

김하자, 김정희. (2011). 임상 간호사의 감정노동, 사회적지지 및 우울 간의 관 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3), 308-318.

김현정, 염영희. (2014). 공감만족-공감피로(CS-CF) 모델에 근거한 임상간호사의 소진 구조모형. 대한간호학회지, 44(3), 259-269.

김현주, 최희정. (2012).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공감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간호행정학회지, 18(3), 320-328.

김희정. (2012). 콜센터 상담사의 회복탄력성과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광주여 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경희. (2002).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관계. 간호행정 학회지, 8(1), 137-150.

뇌졸중 임상연구센터(2019). 2018. 뇌졸중 진료지침. 서울: 뇌졸증연구센터 대한뇌졸중학회. (2015). 뇌졸중. 서울: 범문에듀케이션 제 2판.

문인오, 박숙경, 정정미. (2013).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열의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9(4), 525-535.

박미주(2018).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연하장애 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광옥, 박성애, 박성희, 이은희, 김명애, 곽월희. (2011). 일반간호사 인사고과도 구수정 및 신뢰도, 타당도 검증. 임상간호연구, 17(1), 70-80.

박동필, 이지연.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53-70.

박미미. (2015). 간호사 극복력 측정도구 개발.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부연. (2012).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련 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2020). 보건복지부 사업 설명자료. 서울: 보건복지부.

염영희, 손희숙, 이현숙, 김명애. (2015).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서울: 병원간호사회.

오진환, 임난영. (2006). 소방대원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소진 및 신체적 증상 의 영향요인 분석. 기본간호학회지, 13(1), 96-106.

위선미, 이여진. (2012). 감정노동의 하부요인이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 이직의 도 및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8(3), 310-319.

유미. (2011).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및 소진에 관 한연구. 간호행정학회지, 17(1), 115-126.

윤예섭 (2005). 급성 뇌경색환자의 증상발현과 치료추구행위에 관한 연구. 연 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광수, 최영진. (2012).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경쟁병원이 병원내원 환자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37(4), 211-223.

이미정. (2002). 간호사의 실무능력과 관련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 교 대학원.

이미혜, 김종경. (2013). 병원규모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의 비교. 간호행정학회지, 19(4), 470-479.

이민미(1999). 뇌졸중 입원환자 간호에 대한 질평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신호, 박수경, 황지인, 홍두호. (2004). 응급진료권분석 및 응급의료기관 평 가. 서울: 보건복지부.

이안생, 윤치근, 박진규. (2012).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병원간호사의 간 호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1(3), 283-289.

이윤신. (2002). 목표관리기법을 적용한 간호사 업무수행 평가도구 개발. 박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서린, 유승, 오범진, 김원, 임경수. (2006). 급성 뇌경색 환자의 생존퇴원 시 기 능적 회복에 대한 초기 예측인자. 대한응급의학회지 17(5): 438-446.

정은희(1026). 뇌졸중 집중치료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 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 (2020). 의료통계. 서울: 통계청

홍근식 (2006). 뇌졸중 임상시험에서 치료결과의 측정 및 효과 판정. Korea neurol Assoc 24(5): 411-420.

Joinson, C. (1992). Coping with compassion fatigue. Nursing, 22(4), 116-120.

Killian, K. D. (2008). Helping till it hurts? A multimethod study of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self-care in clinicians working with trauma survivors. Traumatology, 14(2), 32.

Normandale, S., & Davies, J. (2002). Bullying at work. Community Practitioner, 75(12), 474-477.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st clinical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5(6), 879-887.

Polk, L. V. (1997).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3), 1-13.

Potter, P., Deshields, T., Berger, J. A., Clarke, M., Olsen, S., & Chen, L. (2013, March). Evaluation of a compassion fatigue resiliency program for oncology nurses. In Oncology nursing forum, 40(2), 180-187.

Rutter, M. (1985).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 The Journal of Mental Science, 147, 598-611.

Setti, I., & Argentero, P. (2011). Organizational features of workplace and job engagement among Swiss healthcare worker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3, 425-432. http://dx.doi.

org/10.1111/j.1442-2018.2011.00636.x

Sheppard, K. (2015). Compassion fatigue among registered nurses:

Connecting theory and research. Applied Nursing Research, 28(1), 57-59.

Stamm B. H. (2010) The ProQOL Concise manual version 5(Korea). 2nd ed. http://proqol.org.

Westerman, J. W., & Simmons, B. L. (2007).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n the personality-performance relationship: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288-305.

Yang, F. H., & Chang, C. C. (2008). Emotional labour, job satisfaction and Yoder, E. A. (2010). Compassion fatigue in nurses. Applied Nursing Research,

23, 191-197.

[부 록]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N=323)

요인 변인명 빈도(명) 백분율(%)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수

30개 이하 2 0.62

50개 이상 35 10.84

100개 이상 145 44.89

200개 이상 116 35.91

300개 이상 25 7.74

근무 부서

병동 200 61.92

응급실 38 11.76

수술실 33 10.22

중환자실 15 4.64

외래 31 9.6

기타 6 1.86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3명 이하 -

-5명 이상 8 2.48

10명 이상 4 1.24

15명 이상 47 14.55

20명 이상 264 81.73

근속 연수

1년 이상 141 43.65

2년 이상 37 11.46

3년 이상 36 11.15

4년 이상 8 2.48

5년 이상 101 31.27

진료 과목

내과 38 11.76

가정의학과 23 7.12

신경과 22 6.81

재활의학과 187 57.89

정형외과 25 7.74

일반의 28 8.67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 비율

10% 미만 3 0.93

10%-30% 미만 11 3.41

30%-50% 미만 92 28.48

50%-70% 미만 75 23.22

70% 미만 142 43.96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

10% 미만 3 0.93

<표 2>는 간호근무환경 요인을 분석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간호사 의 참여,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간호 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와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의 다섯 가지 하위 요인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표 2> 간호 환경 요인분석 결과

  요인 1 요인 2 요인 3 요인 4 요인 5

간호사의 참여

간호사의 참여 0.850 간호사의 참여 0.844 간호사의 참여 0.825 간호사의 참여 0.821 간호사의 참여 0.788 간호사의 참여 0.768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양질 간호기반 0.844

양질 간호기반 0.825

양질 간호기반 0.820

양질 간호기반 0.802

양질 간호기반 0.783

양질 간호기반 0.781

양질 간호기반 0.779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0.843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0.825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0.823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0.815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0.811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0.805

  요인 1 요인 2 요인 3 요인 4 요인 5

간호사에 대한 지지와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인력과 물질적 지원 0.779

인력과 물질적 지원 0.801

인력과 물질적 지원 0.778

인력과 물질적 지원 0.721

인력과 물질적 지원 0.718

인력과 물질적 지원 0.786

인력과 물질적 지원 0.742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0.812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0.814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0.812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0.889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0.788

고윳값 0.313 0.353 0.274 0.271 0.222

분산 0.014 0.100 0.013 0.012 0.011

누적 0.950 0.930 0.937 0.912 0.900

신뢰도 0.899 0.908 0.925 0.901 0.912

KMO= 0.903

Bartlett's test=1029.273, df=15, p<.001

<표 3>은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만족도 요인을 분석 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 한 정보에 대한 만족도,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치료계획 및 수 립에 대한 만족도,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을 통한 업무처리 속도 와 전반적인 만족도의 세 가지 하위 요인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표 3>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만족도 요인분석 결과

  요인 1 요인 2 요인 3

퇴원환자연계서식(Disc harge care plan)에

대한 정보에 대한 만족도

정보 0.875

정보 0.870

정보 0.863

정보 0.856

퇴원환자연계서식(Disc harge care plan)의 치료계획 및 수립에

대한 만족도

치료계획 및 수립 0.878

치료계획 및 수립 0.864

치료계획 및 수립 0.860

치료계획 및 수립 0.854

치료계획 및 수립 0.845

퇴원환자연계서식(Disc harge care plan)을 통한 업무처리 속도와

전반적인 만족도

업무처리 속도와

전반적인 만족도 0.831

업무처리 속도와

전반적인 만족도 0.830

고윳값 0.377 0.312 0.296

분산 0.087 0.041 0.025

누적 0.898 0.902 0.913

신뢰도 0.908 0.912 0.897

<표 4> 조사 도구의 신뢰도 검증

유형 변인명 측정 항목 문항 수 Crobach’s ɑ

독립변수

개인특성 배경요인

병상 수

5

-근무 부서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근속 연수 진료 과목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참조비율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된 비율 2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

기타병원 양식과 비교 시 차별성

4

-환자 평가 시 다학제 팀의 의학적 평가 및 사회·경제적

평가, 상담 등을 통해 표준화된 공통양식을 사용한

것에 대한 만족도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

참조비율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

장점

종속변수

간호근무환경

간호사의 참여 6 0.899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7 0.908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8 0.925

간호사에 대한 지지와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7 0.904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5 0.908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만족도

정보에 대한 만족도 4 0.912

치료계획 및 수립에 대한

만족도 5 0.897

업무처리 속도와 전반적인

만족도 2 0.898

-abstact-A Study on the Effects of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gram on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Discharge care plan Satisfaction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on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퇴원환자연 계서식(Discharge care plan).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stroke patients,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and social costs, and the poor re-discharge related medical service for stroke discharged patient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as designated as a medical institution. In this study,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were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viding consistent and systematic medical services to stroke patient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and effects of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on nurses by using these two dependent variables.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gram affects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퇴원환자연계서식 (Discharge care pla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viding quality medical services to stroke patients, improving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for nursing stroke patients, and providing quality nursing services for stroke patients.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1.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will affect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for high-quality nursing care for nurses.

2.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will affect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doctors.

3.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will affect the manpower and material support for nurses.

4.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will affect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integrated linkage form).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itable for this study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nursing for stroke patients, the stroke nursing competency of nurses, an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I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n order to confirm the research purpose and principle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on the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the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odel are presented, and measurement tools and analysis methods are presented. I want to explain about it. Furthermo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of this study are ver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lysis variables are examined in detail. Next,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nurse participation in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when the working department is an emergency room compared to the ward, among the factors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th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nurse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was found to affect Second, as a result of this study, nurses with a larg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per day recognized that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was more necessary. Third, as a result of this stud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ion status of nurses in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s and intensive care units compared to general wards, nurses with a relatively high tenur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referral letters. In the case of nurses with a high reference rate of the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n the foundation for quality nurs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Fifth, as a result of this stud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ion status of nurses in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the working department was a nurse working in the emergency room and intensive care unit compared to the general ward, a nurse with a relatively high tenure, recognition of a referral letter and Among the utilization sub-factors, the effect of nurses with a high reference rate of the 퇴원환자연 계서식(Discharge care plan) (integrated link form for discharge patients) on support for nurses and sufficient manpower and material support among the factors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was found to affect Sixth, as a result of this stud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ion status of nurses in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the number of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room and intensive care unit compared to the general ward, the case of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nurses with an averag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per day, and the letter of referral Among the sub-factors of awareness and utilization, the effect of nurses with a high reference rate of the 퇴원환자연계 서식(Discharge care plan) (integrated link form for discharge patients) o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doctors among the factors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It was understo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ject, the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4-9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