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장 연구모형과 조사설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4-99)

본 장에서는 앞에서 분석된 미디어 파사드 사례를 중심으로 앞으로 연구될 미디 어 파사드의 표현특성, 표현기법과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와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 해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연구는 사례를 통한 만족도를 주 가설 H1으로 설정하고 주 가설 H1에서 나타난 만족도가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 향으로서의 상관관계를 주 가설 H2로 설정하였다.

4.1 연구모형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파사드를 감상할 때 이용자마다 각각이 일으키는 만족 도를 분석하여 그러한 만족도가 도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더욱 도 시 정체성을 강화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이론적 배경에서 표현특성과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미디어 파사드를 분류하고, 이렇게 분류된 자료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소로써 본 연구에서는 변수의 축으로 설정하였다.

변수의 축으로 설정된 미디어 파사드는 표현특성(상호작용, 가변성, 예술성), 표 현기법(형태, 재질, 광원 설치방식, 상호작용방식)을 포함하고 있는 미디어 파사드 로 분류하였다. 미디어 파사드 변수들에 따라 만족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도시 이미지에 적용하여 그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도시 이미지는 선행연구의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에 따라 본 연구가 분석할 도시 이미지를 측정하고자 도시의 이미 지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는 인지적 이미지의 구성요소 5개(자연환경, 도시환경, 도시상징물, 도시문화, 도시구조물)와 정서적 이미지의 구성요소 5개(매력성, 역동 성, 전통성, 독특성, 편의성)로 분류를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그림 4-1]과 같다.

[그림 4-1] 연구모형

4.2 연구가설

미디어 파사드가 도시 이미지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졌는지를 알기 위해 미디 어 파사드 사례에 대한 표현특성과 표현기법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를 주 가설 H1 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그 결과로 나온 만족도에 따라 도시 이미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주 가설 H2로 설정하였다.

4.2.1 미디어 파사드와 만족도 사이의 가설

앞서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변수에 의거하여 연구가설 H1은 [표 4-1]과 같다. 미디어 파사드로서 표현특성(상호작용, 가변성, 예술성), 표현기법(형

미디어 파사드

표현특성

상호작용, 가변성, 예술성

표현기법

형태, 재질, 광원 설치방식, 상호작용방식

(독립변수)

도시 이미지

인지적 이미지

자연환경, 도시환경, 도시상징 물, 도시문화, 도시구조물

정서적 이미지

매력성, 역동성, 전통성, 독특성, 편의성

(종속변수)

만족도

(매개변수)

H1 H2

H3

H1-1

H1-2

H2-1

H2-2

태, 재질, 광원 설치방식, 상호작용방식)들이 미디어 파사드를 접하는 유의한 만족 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가설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주 가설 H1은 ‘미디어 파사드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다. 이에 세분화 된 하위가설 H1-1은 ‘미디어 파사드의 표현특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1-2는 ‘미디어 파사드의 표현기법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 이다’ 이다.

[표 4-1] 연구가설 1

구분 연구가설

주 가설 H1 미디어 파사드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1-1 미디어 파사드의 표현특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1-2 미디어 파사드의 표현기법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1-1-1. 미디어 파사드 표현특성의 상호작용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1-1-2. 미디어 파사드 표현특성의 가변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1-1-3. 미디어 파사드 표현특성의 예술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1-2-1. 미디어 파사드 표현기법의 형태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1-2-2. 미디어 파사드 표현기법의 재질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1-2-3. 미디어 파사드 표현기법의 광원설치방식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1-2-4. 미디어 파사드 표현기법의 상호작용방식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2.2 만족도와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 사이의 가설

앞서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변수 간의 관계에 의거하여 연구가설 H2 는 [표 4-2]와 같다. 연구가설 H1을 통해 미디어 파사드 표현특성과 표현기법 각 각에서 나타나는 만족도가 도시 이미지의 구성요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는 것을 연구가설 H2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주 가설 H2는 ‘미디어 파사드 따른 만족도가 도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다.

도시 이미지의 구성요소는 인지적 이미지의 구성요소 5개(자연환경, 도시환경, 도시상징물, 도시문화, 도시구조물)와 정서적 이미지의 구성요소 5개(매력성, 역동 성, 전통성, 독특성, 편의성)의 10가지 요소로 하였다.

따라서 주 가설 H2는 ‘미디어 파사드에 따른 만족도가 도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다. 이에 세분화 된 하위가설 H2-1은 ‘만족도는 인지적 이 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2는 ‘만족도는 정서적 이미지 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다.

[표 4-2] 연구가설 2

구분 연구가설

주 가설 H2 미디어 파사드에 따른 만족도가 도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1 만족도는 인지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2 만족도는 정서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1-1. 만족도는 인지적 이미지의 자연환경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1-2. 만족도는 인지적 이미지의 도시환경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1-3. 만족도는 인지적 이미지의 도시상징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1-4. 만족도는 인지적 이미지의 도시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1-5. 만족도는 인지적 이미지의 도시구조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2-1. 만족도는 정서적 이미지의 매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2-2. 만족도는 정서적 이미지의 역동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2-3. 만족도는 정서적 이미지의 전통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2-4. 만족도는 정서적 이미지의 독특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H2-2-5. 만족도는 정서적 이미지의 편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H3. 만족도는 미디어 파사드와 도시 이미지를 매개할 것이다.

4.3 조사의 설계

4.3.1 조사대상과 자료 수립 방법

본 연구의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미디어 파사드를 방문한 경험이 있 는 대상을 조사 대상으로 설정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증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2021년 10월 8일부터 2021년 10월 28일까지 한국 미디어 파사드를 경험한 이용자를 조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에게 설문조사의 용어 인내와 설명을 이해하게 한 후, 설문지 문항에 대한 응답을 수집 및 확인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립한 데이터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일원 분산분석 (One-Way ANOVA),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확인적 요 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방법을 사용하여 미디어 파사드가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온라인 설문지 320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자 12명을 제외한 총 308부 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4.3.2 자료의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의 부호화(Coding) 후 실증분 석은 SPSS 22.0과 AMOS 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Descriptives),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신뢰성(Reliability) 및 타당성 (Validity) 검증,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