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절 분석 개요

이 장에서는 2000년대 중반 사회서비스 정책 추진 이후 종사자 고용 변동을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나누어 시계열로 살펴보았다. 고용의 양적 변동 추이는 사회서비스 업종별 사업체와 종사자의 수를 기준으로, 고용의 질적 변동 추이는 업종별 종사자의 임금 수준, 근로시간, 근속 연 수, 고용 형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종사자가 속한 산업과 직종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전국사 업체조사와 지역별고용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먼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의 세세분류까지 포함하는 전국사업체조사를 이용하여 사회서비스 관련 사업체 및 종사자 수의 연도별 변동 규모를 살펴보았다.

사회서비스산업 특수분류(SSISC: Social Service Industrial Special Code)는 산업 분류가 5자리 수준의 세세분류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고 이는 전국사업체조사 코드와 일치한다. 이에 전국사업체조사는 사회서비 스업의 산업적 위상을 진단하기에 용이한 자료로 알려져 있다.

SSISC와 KSIC를 연계하여 사회서비스에 포함되는 산업코드를 정리하 면 〈표 4-1-1〉과 같다. 2017년 KSIC 10차 개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9차 와 10차 분류 코드를 모두 제시하였다.

고용 변동 분석

4

(9)(10) 99 10 1010 1. 1-1 1-1-187299 (*)87292 1-1-294990 94990 2. 2-1 2-1-187111(*) 87111 2-1-2861(*)86105 2-1-39699396993 2-1-497000 97000 2-1-5·인 75110(*) 75110(*)   75120(*) 75121(*)   --75122(*) 2-1-68721087210 2-1-787299 (*)87293 2-2 2-2-18711287112

〈표 4-1-1〉 사회서비스산업 특수분류와 한국표준산업분류(9, 10차) 매칭

(9)(10) 99 10 1010 2-2-2·청87131(*)87131 (*) 2-2-3·가 87131(*)87131 (*) 2-2-487128712 2-2-98713987139 3. ·재 3-1·재 3-1-1·의861(*)861(*)   862(*)862(*) 3-1-2·의861(*) 861(*)   862(*) 862(*)   86902(*) 86902(*) 3-2    -- 3-2-185701(*) 85701 85699(*) ,

85699 87299 (*)87294

(9)(10) 99 10 1010 3-2-2·발85701(*) 85701(*) 85699(*)85699(*) 86902(*) 86902(*) 4. 4-1·의 4-1-1861(*)861(*) 4-1-2862(*)862(*) 4-2 4-2-1863863 4-2-9869869 5. 5-1 5-1-1851851 5-1-2852852 5-1-3853853 5-1-4, 854, 854, 5-2 5-2-18563085640 5-2-28564085650

(9)(10) 99 10 1010 5-2-3 85699(*)85614 - 85699 6. ․체 6-1 6-1-1, 902, 902, 6-1-2901901 6-2 6-2-191139113 6-2-29129291292 7. 7-1 7-1-175110(*) 75110(*) 75120(*) 75121 --75122 7-1-287291 87291 7-1-385669 85669 7-2

: (*), 9 10. : , , , , , . (2018).. : , . pp. 80-85‧보.

(9)(10) 99 10 1010 7-2-09499094990 7-3 7-3-084221(*)84221(*) 8. 8-1 8-1-18421184211 8-1-28421284212 8-1-38421384213 8-1-48421484214 8-1-584221(*)84221(*) 8-1-98421984219 8-2 8-2-08450084500

고용량은 기본적으로 위의 KSIC 산업코드를 활용하여 2008년부터 최

이상의 사회서비스에 포함되는 산업 정보를 KSIC 소분류 기준에 따라

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11) 류(KSCO: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ccupations) 기준 해당 산업에 포함되는 주요 직업은 〈표 4-1-3〉에 제시하였다.

사회서비스산업

seq=20180400090&bbs_id=LOCAL1에서 2019. 9. 9. 인출.

2) 통계청. (2017). 한국표준산업분류. 대전: 통계청.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