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한점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69)

본 연구는 4-6학년의 어휘발달지연아동과 일반아동의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설명 담화를 요약하여 쓰기능력을 조직성(도식 채우기, 도식 사용하기, 구조 인식하기, 총 점), 응집성(중심문장, 문장 간 긴밀성, 결속표지, 총점), 언어적 표지(NDW, MLT-w, MLT-m, MNT)로 살펴보았다. 또한 요약하여 쓰기와 관련된 실행기능(억제, 작업기 억, 계획)과 상관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첫째,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어 설명담화를 요약하여 쓰기와 실행기능 간 상관을 일반화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둘째, 쓰기 특성을 살펴보았 음에도 불구하고 철자 오류와 같이 쓰기에서만 나타날 수 있는 특성을 면밀히 살펴보 지 못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쓰기에서 나타나는 오류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학령기 교과과정에서 다루는 설명담화 유형은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외 에도 수집과 문제/해결 유형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유 형만 사용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유형에서 특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실행기능은 주로 네 가지 하위 능력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전환을 제외한 억제, 작업기억, 계획능력만 다루었다. 또한 이들을 평가하는 방법은 크 게 구어와 비구어 과제로 나뉘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네 가지 능력을 구어와 비구어 두 양식으로 평가하여 어휘발달지연아동의 실행기능 특성을 세세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고학년 어휘발달지연아동이 설명담화를 요약하여 쓰기로 산출 할 때에 대형구조와 소형구조에서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들이 보이는 실행기능 특성과 함께 설명담화를 요약하는 데 어떤 상관을 보이는지 확인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고학년 어휘발달지연아동을 중재할 때 설명담화를 읽기뿐만 아니라 쓰기 측면에서도 고려할 필요성이 있으며 실행기능을 함께 확인해야 할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지은·곽효정·김혜조·유민아·임동선(2020). 학령기 어휘지연 아동과 일반아동의 집행 기능과 읽기이해 비교 및 상관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41(2), 73-88.

곽금주·박혜원·김청택(2004).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Ⅲ)』. 도서출판 특수교육

권유진·배소영(2006). 이야기 다시말하기 과제를 통한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이야기능력.

『언어청각장애연구』, 11(2), 72-89.

김보림·윤효진(2018). 비교/대조와 원인/결과를 중심으로 본 초등 2, 4, 6학년 일반아동 의 설명담화 요약하기 능력. 『언어청각장애연구』, 23(4), 890-901.

김영태·홍경훈·김경희·장혜성·이주연(2009).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서울장애인복지관

김유·안성우·박원경(2007). 단순언어장애초등학생의 학습능력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 연구』, 16(4), 75-102.

김정림·강은희·이지윤(2018). 음운인식 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및 단어재인 능력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27(3), 1-12.

박민해·정경희(2018). 텍스트구조와 질문유형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설명글 읽기이해 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23(1), 83-93.

박혜원(2014). 『한국 비언어 지능검사(Korean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Second Edition, K-CTONI-2)』. 서울: 마인드 프레스

배소영·김미배·윤효진·장승민(2015). 『한국어 읽기검사』.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연구 소

배희숙(2016). 학령기 아동의 담화 유형 특성 탐색을 위한 기술담화 및 서사담화의 미 시구조 요소 사용 능력 분석. 『언어치료연구』, 25(4), 77-96.

신민섭·박민주(2007).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STROOP Color And Word Tes t)』. 서울: 학지사

양윤희·임동선(2015).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및 일반 아동의 간섭에 따른 억제 능력과 애니메이션을 통한 어휘학습 능력의 관계 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 회 논문집, 68-69.

양윤희·임동선(2018). 학령전기 어휘발달지연 및 또래 아동의 어휘습득을 위한 집행기

능의 역할. 『언어청각장애연구』, 23(3), 570-583.

유경·정은희(2008). 이야기쓰기를 통해 살펴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쓰기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13, 63-85..

유지원·임동선(2018). 학령기 어휘취약아동 및 또래 아동의 집행기능과 어휘 및 읽기능 력과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23(3), 570-583.

윤효진(2019). 초등 1학년 어휘발달지연아동과 일반아동의 단어읽기, 읽기유창성, 읽기 이해능력 특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143-158..

이명주·홍창희(2006). 실행기능의 차원과 영역별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5(2), 587-602.

이미림·이희란(2014). 설명담화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언어학습장애아동의 말 하기 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19(4), 456-466.

이송희·정경희(2018). 실행기능 및 쓰기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본 1,3,5학년 학령기 아동 의 쓰기능력 예측변인. 『언어치료연구』, 27(4), 41-53.

이현정(2015).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이야기글과 설명글에서의 듣기이해. 『언어 치료연구』, 24(3), 51-62.

이혜연·정경희(2013). 학령기 아동의 설명담화 말하기와 쓰기 발달. 『언어치료연구』, 22(2), 145-161.

주나래·최영은(2015). 실행기능과 읽기 발달 : 억제 및 전환 능력은 어떻게 읽기 발달 에 관여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1), 253-278.

허현숙·곽경미·이윤경(2011). 언어학습부진아동의 구어능력과 읽기·쓰기능력과의 관계.

『언어청각장애연구』, 16, 23-33.

Baddeley, A.(2003). Working memory and language: An overview.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6, 189-208.

Best, J. R., & Miller, P. H.(2010).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executive function.

Child Development, 81(6), 1641-1660.

Best, R. M., Floyd, R. G., & McNamara, D. S.(2008). Differential competencies contributing to children’s comprehension of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Reading Psychology, 29, 137-164.

Brown, A. L., Day, J. D., & Jones, R. S.(1983). The development of plans for summarizing text. Child Development, 54, 968-979.

Cain, K. & Oakhill, J.(2014).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Is vocabulary more

important for some aspects of comprehension?. L’Année psychologique, 4(4), 647-662. https://doi.org/10.4074/S0003503314004035

Chall, J. S.(1983). Stages of reading development. New York: Harcourt Brace.

Diamond, A.(2013). Executive func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h, 64, 135-168.

Dockrell, J. E., Lindsay, G., & Connelly, V.(2009). The impact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on adolescents’ written text. Exceptional Children, 75(4), 427-446.

Evans, J. L., Gillam, R. B., & Montgomery, J. W.(2018). Cognitive Predictors of Spoken Word Recognition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1, 1409-1425.

Garon, N., Bryson, S. E., & Smith, I. M.(2008).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A review using an integrative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34, 31-60.

Ghaith, G. M., & Harkouss, S. A.(2003). Role of text structure awareness in the recall of expository discourse. Foreign Language Annals, 36(1), 86-96.

Gough, P. & Tummer, W.(1986). Decoding, reading, and reading disability.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7, 6-10.

Hayes, J. R., & Berninger, V.(2014). Cognitive processes in writing: a framework. In: Arfê JB, Dockrell JE and Berninger V(eds) Writing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Hearing Loss, Dyslexia or Oral Language Problems: Implication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3–15.

Henry, L, A., Messer, D J., & Nash, G.(2012). Executive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53, 37-45.

Kamhi, A. G., & Catts, H. W.(2012).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New York, NY::

Pearson.

Kapa, L. L., Plante, E., & Doubleday, K.(2017). Applying an Integrative Framework or Executive Function to Preschooler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 2170-2184.

Kieffer, M. J., Vukovic, R. K., & Berry, D.(2013). Direct and indirect roles of executive functioning in reading comprehension or students in urban fourth grade classrooms.

Reading Research Quarterly, 48, 333-348. http://doi.org/10.1002/rrq.54 http://dx.doi/

Kintsch, W. & Rawson, L., A.(2005). Reading comprehension: A conceptual framework

from word meaning to text meaning. Measuring up: Advances in how we assess reading ability, 3-20.

Lara-Jeane, C. C.(2014). The Relations among the development of written language and executive functions in elementary aged students. Ph. D. Thesi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USA

Larson, C., Gangopadhyay, I., Kaushanskaya, M., & Weismer, S. E.(2019).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planning in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 2772-2784.

Lundine, J. P., Harnish, S. M., McCauley, R. J., Blackett, D. S., Zezinka, A., Chen, W.,

& Fox, R. A.(2018)a. Adolescent summaries of narrative and expository discourse:

Differences and predictors. Journal of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49, 551-568.

Lundine, J. P., Harnish, S. M., McCauley, R. J., Zezinka, A. B., Blackett, D. S., & Fox, R. A.(2018)b. Exploring summarization differences for two types of expository discourse in adolesc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27, 247-257.

Lundine, J. P., & McCauley, R. J.(2016). A tutorial on expository discourse: Structure, development, and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Jou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25, 306-320.

Mackie, C., & Dockrell, J. E.(2004). The nature of written language deficits in children with SLI.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8(5), 1048-1064.

Miyake, A., Friedman, N. P., Emerson, M. J., Witzki, A. H., & Howerter, A.(2000). The unity and diversity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complex

“frontal lobe” tasks: A latent variable analysis. Cognitive Psychology, 41, 49-100.

McInnes, A., Humphries, T., Hogg-Johnson, S., & Tannock, R.(2003). Listen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are impaired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rrespective of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1(4), 427-443.

Meyer, B. J., & Freedle, R. O.(1984). Effects of discourse type on recall. American Educational Researsh Journal, 21, 121-143.

Montgomery, J. W., Magimairaj, B. M., & Finney, M. C.(2010). Working memory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 update on the relation and perspectives on assessment and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9, 78-94.

Nippold, M. A.(2007). Later Language Development: School-Age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3th ed). PRO-ED, Inc.

Nippold, M. A., & Scott, C. M.(2010). Expository Discourse in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Paul, R., & Norbury, C. F.(2012).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ST. Louis, MOSBY.

Pennington, B. R., & Ozonoff, S.(1996). Executive function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7(1), 51-87.

O’Rourke, L., Connelly, V. & Barnett, A.(2018). Understanding Writing Difficulties through a Model of the Cognitive Processes Involved in Writing. En B. Miller, P.

McCardle & V. Connelly (Eds). Writing Development in Struggling Learners.

(pp.11-28). The Netherlands: Brill

Ouellette, G. O.(2006). What’s meaning got to do with it: The role of vocabulary in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30, 554-566.

Roello, M, F., Ferretti, M. L., Colonnello, V., & Levi, G.(2015). When words lead to solutions: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7, 216-222.

Saenz, L. M., & Fuchs, L. S.(2002). Examining the reading difficulty of second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Expository versus narrative text.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3, 31-41.

Scott, C. M., & Windsor, J.(2000). General Language Performance Measures in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and Expository Discourse of School-Age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3(2), 324-339.

Westby, C., Culatta, B., Lawrence, B., & Hall-Kenyon, D.(2010). Summarizing expository texts.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30(4), 275-287.

부록

<부록–1>. 설명담화 자료

비교/대조: 태양과 달의 공통점과 차이점

우리는 하늘에서 태양과 달을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다르지만 비슷한 점이 많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들이 있을까요?

먼저 태양과 달의 공통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태양계는 지구, 금성, 목성과 같이 태양이 영향을 미치는 천체들의 모임입니다. 태양과 달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또한 태 양과 달에는 물과 공기가 없어 두 곳 모두 생물이 살 수 없다는 점이 비슷합니다. 그리 고 태양과 달은 망원경, 쌍안경과 같은 관측 장비가 없어도 보인다는 점이 같습니다.

그런데 태양과 달은 차이점도 있습니다. 첫째, 태양과 달은 크기가 다릅니다. 지구를 기준으로 봤을 때 태양이 지구보다 100배 더 큽니다. 그렇지만 달은 지구보다 4배 더 작습니다. 둘째, 온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태양의 표면 온도는 6,000℃이며 중심부에 가 까워질수록 온도가 올라갑니다. 반면에 달의 가장 높은 온도는 130℃로 태양보다 훨씬 낮은 온도입니다. 마지막으로, 태양은 항상 동그랗게 보이나 달은 시간에 따라 다르게 보입니다. 달을 바라보면 손톱 모양의 초승달에서부터 둥근 모양의 보름달까지 그 모양 이 다양합니다.

원인/결과: 지진의 발생 원인과 그 결과

한국, 일본, 중국 등 전 세계적으로 지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진이 발 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지진이 발생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요?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첫째, 두꺼운 암석들로 이루어진 판들 때문입니다. 이 판 들은 땅속에서 수평으로 조금씩 움직입니다. 그러다가 서로 부딪히게 되면 땅이 충격을 받습니다. 그래서 땅이 흔들리고 지진이 발생하게 됩니다. 두 번째 원인은 화산폭발 때 문입니다. 지구의 깊숙한 곳에는 마그마가 있는데 마그마가 땅의 표면과 가까워지면 밖 으로 나가려는 힘이 생깁니다. 이 힘이 강해지면 마그마가 땅의 약한 부분을 뚫고 나와 화산이 폭발하게 됩니다. 그래서 큰 진동이 일어나 지진이 발생하게 됩니다. 마지막으 로 지진은 지뢰, 수류탄과 같은 폭탄의 폭발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지진의 결과로 우리는 많은 피해를 입게 됩니다. 우선 학교, 병원, 아파트와 같은 큰 건물들과 도로, 철도, 터널과 같은 교통시설이 파괴됩니다. 또한 지진으로 인해 많은 곳 에서 불이 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피해들은 사람들을 위험에 빠뜨리게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다치거나 죽게 됩니다.

<부록–2>. 도식 자료

<부록–3>. 설명담화 요약하여 쓰기 채점 기준

채점기준 점수

영역 하위영역 0점 1점 2점

도식 채우기

① 글 자료에 제시된 내 용을 도식에 적절하게 50% 미만으로 채웠음

-비교/대조: 4개 이하 -원인/결과: 2개 이하

② 50% 이상의 항목을 글 자료 내용 그대로 옮 겨 적음

-비교/대조: 5개 이상 -원인/결과: 3개 이상

① 글 자료에 제시된 내용을 도식에 적절하 게 50%-80% 채웠음

-비교/대조: 5-7개 -원인/결과: 3-4개

① 글 자료에 제시된 내 용을 도식에 적절하게 80% 이상 채웠음

-비교/대조: 8개 이상 -원인/결과: 5개 이상

도식 사용하여

① 도식에 작성한 내용 을 80% 미만으로 사용

① 도식에 작성한 내용 을 80% 이상 사용하여

① 도식에 작성한 내용을 모두 사용하여 문장으로

요약하기 하여 기술함

기술함

② 도식에 작성한 내용 그대로 나열하여 기술

기술함

② 도식에 작성한 내용을 연결어미나 새로운 단어 를 첨가하는 등 재구조하 여 기술함

설명담화 구조 인식하기

① 문장들을 무분별하게 기술하거나 문장 간 논 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음

② 작성한 글의 60% 이 상을 문장으로 기술하지 못한 경우

① 정보들을 하위구조 에 따라 나열하여 설명 담화의 대략적인 구조 가 드러나도록 기술

② 작성한 글의 70% 이 상을 문장으로 기술한 경우

① 설명담화 구조가 뚜렷 하게 드러나도록 서두 사 용하여 명시적으로 기술

-비교/대조: ‘공통점은 -’

-원인/결과: ‘그 결과로-’

② 모든 문장이 논리적으 로 기술되어 글이 전반적 으로 조직화되었음

중심문장

① 중심문장이 없음

② 중심문장과 문장들이 연결되지 않음

① 중심문장이 있으나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 거나 하위구조마다 구 의 형태로 기술함

-비교/대조: ‘태양과 달의 공통점은-’, ‘태양 과 달의 차이점은-’

② 종결어미를 사용하 지 않았으나 중심문장 의 형태를 띄는 경우

-비교/대조: ‘태양과 달의 공통점은 … -됨’

① 서두에 중심문장을 제 시하여 글의 흐름에 대하 여 나타냄

-비교/대조: ‘태양과 달 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 해 알아볼까요?’

-원인/결과: ‘지진이 발 생하는 원인과 결과를 알 아봅시다.’

문장 간의 긴밀성

① 주제와 응집성 있는 내용의 문장들이 70%

미만인 경우

① 주제와 응집성 있는 내용의 문장들이 70%

이상인 경우

① 응집성을 떨어뜨리는 문장이 존재하지 않음

② 문장들이 주제와 관련 되어 명확하고 정확하게 기술되었으며, 적절하게 정교화되었음

-원인/결과: ‘마지막으로 지진은 지뢰, 수류탄과 같 은 폭탄의 폭발 때문에 발생합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6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