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절차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6)

연구를 시작하기 전 보호자 및 아동에게 서면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하며 소음이 없 고 독립된 공간에서 본 연구자가 아동과 1:1로 검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 선정을 위한 검사를 먼저 실시한 후 선정기준을 충족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과제 수행 시 아동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기록하며 검사가 끝난 후 아동의 쓰기 자료와 함께 채점하였다. 연구과제는 연구 참여자의 주의집중에 따라 하루 혹은 이틀 에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검사 순서가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실행 기능과 요약하기 과제의 실시 순서를 역균형화 하였다.

(1) 대상자 선정을 위한 검사

대상자 선정을 위해 비언어성지능검사(K-CTONI-2), 수용·표현어휘력 검사(REVT) 와 한국어 읽기검사(KOLRA)의 해독검사를 실시하였다. 위 검사들은 모두 표준화된 검사로 각 지침에 따라 검사하였다.

(2) 실행기능 검사

실행기능의 억제, 작업기억, 계획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해당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각 지침에 따라 실시하였다. 억제는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STROOP)에서 간섭점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색상과 색상-색상-단어 소검사를 실 시하였다. 작업기억과 계획은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Ⅲ)의 숫자와 토막짜기 소검사로 검사하였다. 실행기능 검사 간 순서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검사 순서를 역균 형화 하였다.

(3) 요약하기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설명담화를 요약하여 쓰는 과제를 실시하기 전, 과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구조에 해당하는 연습문항을 실시하였다. 이후 본 연구과 제를 제시하여 유형에 따른 설명담화를 읽고 도식을 채운 후 도식만 보고 요약하여 쓰

도록 하였다. 요약하기 과제는 약 60분 동안 진행되었는데, 연습문항 10분, 2개의 설명 담화를 읽는 시간 총 6분(3분 x2), 도식을 채우는 시간 총 14분(7분 x2), 도식을 토대 로 요약하여 쓰는 시간 총 30분(15분 x2)이 소요되었다.

실험 과제의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 참여자에게 실험 과제를 설명한 후 충분히 이해하도록 연습문항을 실시하였다. 연습문항은 본 실험 과제와 동일한 유형으 로 비교/대조는 ‘자전거와 오토바이’, 원인/결과는 ‘눈이 나빠지는 원인’이라는 글을 사 용하였다. 이는 김보림·윤효진(2018)에서 사용된 연습문항이며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 뿐만 아니라 어휘발달지연아동이 포함되기 때문에 길이를 축소하였다.

연구자는 연습문항의 글과 도식을 제시하면서 “선생님이 이제부터 이야기를 2개 보 여줄 거예요. OO이가 읽고 나서 옆에 있는 도식의 네모를 채우는 거예요. 그 다음에 도식만 보고 하나의 이야기로 써주세요.”라고 설명하였다. 연습문항에서는 연구 참여자 가 도식을 채우기 어려워한다면 구체적으로 설명해주거나 연구자가 함께 도식을 채웠 다.

연습문항을 통해 연구 참여자가 요약하기 과제에 대해 충분히 이해한 후 본격적으로 실험 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의 수행 방식은 연습문항과 동일하며, 연구자는 “이제는 OO이가 스스로 도식을 채우고 쓸 거예요. 이야기는 2개이고 연습문제보다는 어려울 수 있어요. 연습문제랑 동일하게 OO이가 읽고 나서 옆에 있는 도식의 네모를 채우는 거예요. 그리고 도식만 보고 아까처럼 하나의 이야기로 써주세요.”라고 설명하였다. 아 동이 단어만 나열하거나 문장으로 쓰지 않을 경우 “하나의 이야기로 써주세요.”라고 한 번 더 설명하였다. 두 유형의 설명담화를 요약하여 쓰기는 순서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역균형화 하였다.

나. 자료분석

요약하기의 채점은 김보림 외(2018)의 채점 기준을 수정·보완하여 적용하였다. 대형 구조의 측면에서 3점 리커트 척도(0=전혀 그렇지 않다, 1=약간 적절하다, 2=적절하다) 를 사용하여 조직성, 응집성을 채점하였으며, 소형구조의 측면에서 어휘와 구문에 대한 객관적 수치를 산출하여 언어적 표지를 살펴보았다.

조직성은 ‘도식 채우기, 도식 사용, 설명담화 구조 인식하기’에 대하여 채점하였으며, 응집성은 ‘중심문장, 문장 간 긴밀성, 결속표지’를 채점하였다. 따라서 조직성과 응집성

의 최고점은 각각 6점(3가지 요소X2점)이었다. 조직성 중 ‘도식 채우기’는 아동이 작성 한 도식을 채점하며, 나머지 채점 기준은 아동이 작성한 글로 채점한다. 언어적 표지는 서로 다른 낱말수(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T-unit당 평균낱말길이(Mean length of T-unit word; MLT-w), T-unit당 평균형태소길이(Mean length of T-unit morpheme; MLT-m) T-unit당 평균종속절수(Mean number of clauses in a T-unit;

MNT)로 분석하여 객관적 수치로 산출하였다. 세부적인 채점기준은 <부록-3>에 제시 하였다.

실행기능은 억제, 작업기억, 계획능력을 살펴보았으며, 각 영역을 평가할 수 있는 스 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STROOP)와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Ⅲ)의 소검사 를 실시하여 점수를 산출하였다. 세부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조직성(도식 채우기, 도식 사용, 설명담화 구조 인식)

조직성은 도식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설명담화 유형에 따른 구조를 인식하여 글에 드 러나도록 조직화하여 작성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도식 채우기는 도식이 요구하는 바를 이해하여 빈칸을 적절하게 작성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적절한 내용으로 50% 미만 채웠거나 50% 이상을 글 자료 그대로 옮겨 적 었을 경우 0점, 도식의 50-80% 적절하게 작성했을 경우 1점, 80% 이상 적절했을 경우 2점을 부여한다.

도식 사용하여 요약하기는 자신이 작성한 도식의 내용을 글에 모두 기술하였는가에 대하여 평가한다. 도식을 보고 글을 요약하였으나 도식에 작성한 내용을 80% 미만 사 용했을 경우 0점, 도식의 내용을 80% 이상 쓰거나 도식에 작성한 내용 그대로 나열하 기만 했을 경우 1점을 부여한다. 그리고 도식에 작성한 내용을 모두 사용하고 연결어 미나 새로운 단어를 첨가하는 등 스스로 재구조화하여 기술했을 경우 2점으로 채점한 다.

설명담화 구조 인식하기는 설명담화의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구조가 요약하여 쓰 기에 적절하게 드러났는지를 확인한다. 문장들을 무분별하게 기술하여 논리적으로 연 결되지 않았거나 60% 이상이 문장으로 기술되지 않았을 경우 0점, 하위구조에 적절하 게 나열하여 설명담화의 대략적인 구조가 드러났으며 70% 이상을 문장으로 기술하였 을 경우 1점을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설명담화 구조를 뚜렷하게 나타냈으며 모든 문장 이 논리적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2점을 부여한다.

(2) 응집성(중심문장, 문장 간 긴밀성, 결속표지)

응집성은 글의 주제와 내용이 통합되도록 중심문장을 기술하였는지, 주제와 관련된 문장들로 기술하여 글의 흐름이 의미적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갔는지, 응집력 있는 글을 위해 결속표지를 사용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중심문장은 아동이 글을 쓸 때 중심내용을 내포하는 문장을 작성하였는지 채점한다.

중심문장이 없는 경우 0점, 중심문장이 있으나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거나 하위구조마 다 구의 형태로 기술했을 경우 1점, 글의 주제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중심문장을 작 성했을 경우 2점을 부여한다.

문장 간의 긴밀성은 아동이 작성한 문장이 주제와 다른 문장들과 서로 관련이 있어 글의 흐름이 자연스러운지 확인한다. 주제와 응집성 있는 내용의 문장들이 70% 미만 이면 0점, 주제와 응집성 있는 내용의 문장들이 70% 이상이면 1점을 부여한다. 마지막 으로 응집성을 떨어뜨리는 문장이 존재하지 않고 문장들을 적절하게 정교화하여 작성 하면 2점을 부여한다.

결속표지는 아동이 글에서 사용한 결속표지의 수와 적절성을 확인한다. 제시한 글에 서 사용된 결속표지 수의 20% 미만의 수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0점, 20-50%의 수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1점, 50% 이상의 수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2점을 부여한다.

(3) 언어적 표지(NDW, MLT-w, MLT-m, MNT)

언어적 표지는 소형구조의 측면으로 어휘의 다양성과 구문의 복잡성을 평가한다. 어 휘의 다양성은 서로 다른 낱말수(NDW)로 나타냈다. 구문 복잡성은 총 낱말의 수와 총 형태소의 수를 총 T-unit 수로 나누는 T-unit당 평균낱말길이(MLT-w), T-unit 당 평균형태소길이(MLT-m)와 T-unit을 기준으로 한 주절과 종속절을 더하여 총 T-unit 수로 나누는 T-unit당 평균종속절수(MNT)로 산출하였다. 이때 권유진·배소 영(2006)의 기준에 따라 종속절을 분석하였다.

(4) 실행기능(억제, 작업기억, 계획)

실행기능은 각각의 하위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점수 를 산출하였다. 억제는 스트룹 아동 단어 검사(STROOP)의 색상 점수에서 색상-단어 점수를 뺀 간섭점수의 T점수를 사용하였다. T점수는 0점에서 최대 100점까지 산 출된다. 작업기억과 계획은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Ⅲ)의 숫자와 토막짜기로

검사하였다. 숫자는 정반응한 문항에 대하여 1점을 부여하여 0-30점으로 산출된다. 토 막짜기는 완성 시간에 따라 최대 7점을 받을 수 있어 최대 0-69점이 부여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