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한점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4-155)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성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입증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이 있어 제언이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 형성과 진로성숙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단기간 실시하여 결과를 입증하였기에 연구 결과의 효과성을 일반화 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연구대상자들의 참여확대와 회기를 늘려 보다 일반화의 가능성을 넓혀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강점 검사, 홀 랜드 검사, 다중지능 검사가 미래 직업선택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자아정체감 척도 중 목표지향성영역, 미 래 확신성영역과 진로성숙도 검사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자아정체감 척도의 주체성, 자기수용성, 주도성, 친밀성 등과 같은 자존감향상 및 대인관계와 관련된 검사를 추가하여 미미 한 변화를 보였던 영역에 대한 변화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천으로 된 매체 를 처음 접해 본 청소년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편안함을 주었으므로 펠트 이외에 섬유재질로 된 천이나 한지매체를 추가로 활용하여 민감한 청소년 의 정서를 안정시켜 자신의 내면을 충분히 느끼고 이해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의 결과와 제언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성숙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술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 지길 바란다.

참 고 문 헌

강원덕(2014).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청희(2016). 미술치료활용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혜영·김봉환·김지현·공윤정·손은령·손진희·유정이·유현실·이제 경·임은미·황매향(2011). 진로상담이론 : 한국 내담자에 대한 적 용. 서울: 학지사.

고미성(2017). 전주지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가 자아정체감 및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통계연보(2016).

김누리·최명구(2007). 청소년의 이해. 서울: 학지사.

김미나(2011).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미술활동 연구 : 중학생 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우철·류수현·이수연·임순선·한상철(2012).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서 울: 정민사.

김유나(2009).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카톨릭 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P6.

김정우(2008).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내외통제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영·정영선(2014). 청소년을 위한 진로상담. 서울: 시그마프레스.

김혜원·설인자·임영식·조아미·한상철(2014). 청소년심리학. 서울: 교 육교학사.

남궁혜정(2012).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진로의식성숙과 자아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대도시학교와 대안학교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은정(2014). 미술치료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들

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박아청(2003).‘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의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 구,17(3),383-392

박아청(2006). 성격발달심리의 이해. 교육과학사.

박은수(2012).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신체 콤플렉스 유형에 따른 인물 화 검사의 상관관계연구.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주(2012).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목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배경희(2015).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나리(2015).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변기흠(2001). 여중생의 자기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 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변세권(2001). 기독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P19.

손보라(2018). 집단 미술치료가 특성화고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태 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이진(2017). 콜라주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 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지윤(2010).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전문계 여자고등학생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진로태도 성숙도,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봉인(2014).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진로 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혜란(2013).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식성숙에 미 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요섭(2009).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

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옥금자(2006). 집단미술치료 방법론Ⅰ: 이론과 기법. 서울: 하나의학사.

유혜림(2015). 전문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지윤(2012). 청소년의 창의적 인성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 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근매·아오키 도모코(2017). 그림과 미술작품의 이해를 돕는 상징사전, 서울: 학지사.

이민지(2018). 욕망 속에 내재된 기형적인 유방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0.

이보배(2012).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여진(2011). 소그룹 미술치료가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자아정체성 및 자 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연구 : 치료사의 반응 작업=(A). 한양 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예린(2017).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차 의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운경(2014). 학교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한양 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영(2008). 학업우수 청소년의 부모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포 부간의 관계 : 남학생과 여학생의 모형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정(2006).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K시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치료학회, 8(1), 69-90.

이효림(2011). 부적응 초기청소년을 위한 창조적 작업 중심의 미술치료 사 례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선숙(2014).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 정체감 및 이중문화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PP.18~24.

임은주(2016). 이야기 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창재, 정신건강, 형설출판사, 2006 장선철, 현대인의 정신건강, 동문사 : 2002 김규수 외 공역(2006),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서울: 나눔의 집. 김동배, 권중돈 (2006)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임현미(2006). 현실요법 적 집단미술치료가 대안학교 청소년의 진로탐색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논 문.

임혜순(2016). 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정체감을 위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논문.

장지원(2013).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

정여주(2003). 미술치료의 이해 :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정옥분(2004). 전 생애발달의 이론. 서울: 학지사.

정율희(2011).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식에 미치 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채기(1991). 자아개념. 자아정체감 및 내외통제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희진(2013). 자기이해를 통한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여자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주리애(2000). 미술치료는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차지영(2014). 사례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1.

초 · 중등 교육법 시행령(2017).

최경희(2012).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교정시설에 수용된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세대학 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규하(2012). 진로 집단 상담이 고등학생의 의사결정유형 및 진로태도성 숙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지원(2015). 창의적 인성과 긍정적 사고가 자아정체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7.

최외선, 전미향(1996). 미술기법을 이용한 집단 상담이 자아정체감에 미치 는 효과와 동적가족화(KFD) 반응특성. 한국미술치료학회, 3(2), 101-115.

최윤정(2010). 현실요법을 적용한 미술치료가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재입원 한 여자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은희(2011).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여성 가구주의 심리적 안녕감 및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2016).

하은경(2010).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 성숙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미술치료학회 (2000).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아문화사.

한수선(2015). 영화를 활용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 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허정철(2009).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8), 433-441.

홍다겸(2014). 거부민감성향의 청소년의 내적표상 재구성 과정에 관한 질 적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Buck, J. N. & Daniels, M. H. (1985).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manual, California: WPS

Creswell, J. W.(2010).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 욱, 김진숙, 권지성역). 서울: 학지사,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CA: Thousand Oaks.(원서출판 2007).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4-15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