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95)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척추․관절 전문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 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으므로 다기관의 광범위한 대상자의 효과를 검정하 기 위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2)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의 방사선 방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좀 더 다양한 학습방법을 토대로 방사선 방어 교육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침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3) 본 연구는 8주간의 효과 확인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방사선 방어 교육프로그 램의 지속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4) 다양하고 고품질의 영상을 반영 개발하여 웹기반 방사선 방어 교육프로그램 의 학습효과를 검증하기위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5) 정규 과정에 표준화된 방사선 방어 교육을 실시 할 수 있는 제도적인 뒷받침 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강성금(2011).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서에 대한 지식과 방사선 방어행위에 대한 인식 및 수행.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강성금, 이은남(2013).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과 방사선 방어 행위에 대한 인식도 및 수행도.

근관절학회지

, 20(3), 247-257.

강은주, 이경희, 김영임(2005).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에 대한 조사연구.

한 국치위생과학회

, 5(3), 2005.

강은주(2015). 치과 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 실태 및 피폭 불안감 인식.

치위 생학회지

, 15(2), 172-181.

경광현(2002).

진단용방사선안전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경상북도.

곽종혁(2013).

일개 부산지역 3차 의료기관 방사선 관계조사자의 피폭선량 속성 에 관한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국립국어원(2008). 표준국어대사전. retrieved at sep 30, 2011,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ech/list_dic.jsp.

국민정(2003). 지리 교과에서 동영상 자료의 활용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 지리환경학습학회지

,

11

(3), 119-132.

권선주(2003).

웹기반 교육사이트 분석 및 효과적 활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공 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공주.

김근곤, 윤진, 최정윤, 박선영, 배진희(2008). 전공간 협력 프로젝트 학습이 대학생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 회지,

14(2), 252-261.

김봉희, 김효진(2017). 수술실 종사자의 방사선 노출에 대한 방사선 방어관련 지 식, 인식도, 자기효능감 및 수행도에 관한 연구.

산학기술학회

, 18(5), 343-354.

김선주(2004). 치과 의료기관 종사자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한국치위생학회

, 4(1), 15-30.

김성애, 이지영, 황세현, 박정현, 정남영, 유병철(2015). 치위생과 학생들의 학업

관련 특성에 따른 방사선안전관리 교육 후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변화.

한국치위생학회,

15(1), 101-9.

김은경(2017). 네팔 간호사 대상 손위생과 개인보호구 사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과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부산.

김은정, 황선영(2010). 웹기반 사례중심 심폐응급간호 학습 프로그램 개발.

성인 간호학회지, 22

(1), 70-79.

김정훈, 고성진, 강세식, 최석윤, 김창수(2011). 방사선사의 방사선/능에 대한 지 식, 인식, 행위 분석.

방사선기술과학회지

, 34(2), 123-129.

김진, 김진선, 김현례(2016).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성인간호학회

, 28(6) 680-690.

https://doi.org/10.7475/kjan.2016.28.6.680

김현수(2001).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형 태조사.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현진(2018).

간호사의 약물이상반응 모니터링 실천을 위한 웹사이트 활용 학 습콘텐츠 개발 및 효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김형수(2013). 5년간(2008년~2012년) 방사선관계종사자 피폭선량 평가 연구. 식 품의약품 안전처.

도경현(2008). 의료용 방사선 방어에 대한 교육 및 홍보 콘텐츠 개발 연구.

한국 방사선의학재단.

동경래, 김창복, 박용순, 지연상, 김치년, 원종욱, 노재훈(2009). 방사선 취급 작업 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Individual Dose)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환경학회 지

, 6(1), 38-47.

문미영(2017).

웹기반 항암제 투약간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양대학 교박사학위논문, 서울.

박유진(2015).

학습정보제공방식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양상 연구-스트리밍 동영 상과 SPAT자료활용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은희, 황선영(2011). 간호학생을 위한 웹기반 수술간호 학습콘텐츠의 효과.

방정윤, 김주성(2018). 간호사를 위한 모바일 웹기반 심폐소생술 융합교육의 효 과.

한국융합학회

, 9(3), 307-317.

서경선(2002). 웹활용 문제중심학습 모형의 실증적 효과: 초등학교 5학년 사회교 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 14(2), 45-68.

신지연(2015).

간호사 대상 웹기반 신경학적 사정 프로그램 자가 학습의 효과.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서울.

손순영(2006). 진단용방사선분야 안전관리교육 시스템 체계구축. 식품의약품안전 청.

여진동, 고인호, 김혜숙(2015). 방사선과 대학생이 방사선피폭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 9(1), 79-99.

오복자, 김일옥, 신성례, 정회경(2004). 웹기반의 건강사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 발.

대한간호학회지

, 34(6), 994-1003.

오효선(2015).

군병원 방사선관계종사자의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 태도, 실천에 대한 연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충청남도.

우형숙(2016).

건강신념모텔을 적용한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 수행 관련 요인.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천.

유미자, 최영순(2015). 혈액 투석환자의 웹기반 학습프로그램이 자가간호, 스트 레스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간호과학논집, 20

(1), 55-68.

유정민, 강보선, 김설희(2017). 치과위생사의 이동형 구내방사선 촬영에 관한 방 사선 방어 교육, 지식,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 17(6), 1053-1065.

윤수정, 오진아, 임미해(2015). 간호학과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 도와 교육 요구.

한국콘텐츠학회

, 16(10), 563-572.

윤정애, 윤영숙(2014). 수술실 간호사와 치과 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과 태도 및 행위에 대한 비교 조사.

치위생과학회지

, 4(2), 230-239.

의료기관평가인증원(2014). 의료기관 인증 조사기준, 61-62.

이윤주(2014). 대

학병원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가톨 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정은, 김상희(2017).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소책자를 활용한 방사선 안

전관리 교육의 효과.

한국중환자간호학회

, 10(2), 1-13.

이주현(2008).

동영상학습에서 학생의수업참여 검증 기법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향미(2013).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도, 행위

. 한림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춘천.

임경미, 박병기(2008). 지능변화신념 프로그램의 반복적용 효과검증.

교육심리연 구

, 22(4), 743-762.

임선미(2005).

동영상을 활용한 화행교수가 고등학교 학습자의 화행학습 및 정 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 이화여자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전고은(2013).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행태조사.

전 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전인숙(2010).

‘혈액투석 환자간호’ 웹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정봉선(2013).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천 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남.

조세경, 이상민, 김정태, 고범석, 정의석(2008). 웹기반 영어학습 프로그램 개발 모형.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1(1), 213-238.

조지환, 진성진, 박철우(2016). 의료방사선 종사자의 피폭기간 및 피폭선량과 혈 액성분 변화에 대한 조사.

대한영상의학회

, 10(7), 495-502.

조현철(2004).

혈관조영실에서 근무하는 방사선 작업 종사자에 대한 방사선 피 폭선량 측정과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행동 조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질병관리본부(2017). 진단방사선부야 종사자를 위한 방사선 안전가이드 라인.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Link.jsp?fid=21&cid=7 2953&ctry=1.

최귀남, 전주섭, 김용완(2012).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피폭선량에 대한연구.

한국방 사선학회

, 6(1), 27-37.

최아름(2018).

수술실 의료인의 위치와 차폐 유무에 따른 방사선 피폭선량의 관

최영순(2015). 웹기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지

, 13(11), 5284-5291.

최정실, 김금순(2009). 간호사를 위한 웹기반 혈액매개 감염관리 프로그램의 적 용 및 평가.

한국간호과학회지

, 39(2), 298-309.

최정임(2016).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도, 행위.

가야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경상남도.

하루미, 박춘아, 김민정, 라소정, 전효선, 신혜민, 이수진, 김분한(2012).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피폭에 대한 인식.

수술간호학회,

20(1), 62-78.

하병환, 구본희, 이헌철 (2009). 국내 사이버 대학 이러닝 학습동기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학회지

, 16, 289-302.

한영희, 박형란, 김은주(2017).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지식과 방사선 방어 행위 수행도,

한국웰니스학회지

, 12(1), 489-502.

https://doi.org/10.21097/ksw.2017.02.12.1.489

한옥성, 우승희, 김서연(2014). 치과의료기관종사자의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 14(6). 849-857.

한은옥(2002),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조사,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은옥(2007),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안전관리에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련성.

방사선방어학회지

, 32(2), 89-96.

한은옥(2009).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장해 방어행위 모형.

이화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은옥, 권덕문(2007).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의 추이분석;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를 중심으로.

방사선기술과학회지

, 30(4), 321-32.

한주, 채정현(2011).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청소년의 성과 친구관계’

단원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23(4), 87-103.

Alex, M. R. (2011). Occupational hazards for pregnant nurse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 111(1), 28-37.

Allessi, S. M., Trollip, S. R. (1985).

Computer-Based Instruction: Methods and Development.

New jersy: Practice-Hall.

Auguste, P., Baton, P., Hyde, C., Robert, T. E. (2011). An economic

evaluation An economic evaluation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for the diagnosis of breast cancer recurrenc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 15(18), 1-54.

Clarijs, T., Coeck, M., Van Bladel, L., & Fremount, A. (2015). Basic radiation protection training for nurses and paramedical personnel: Belgian experience and future perspectives.

Radiation Protestion Dosimetry

, 165(1), 506-509.

Dauer, L. T., Kelvin, J, F., Horan, C. L. & St Germain, J. (2006). Evaluating the effestiveness of a radiation safty training intervention for oncology nurses’; apretest-intervention-posttest study.

BMC Medical Education.

8(6), 32-42.

DOI: http://dx.doi.org/10.1093/rpd/nch539

Dumonceau, J. M., Garcia-Fernandez, F. J., Verdun, F. R., Carinou, E., Donadille, L., Damilakis, J., Mouzas, I., Paraskeva, K., Ruiz-Lopez, N., Struelens, L., Tsapaki, V., Vanhavere, F., Valatas, V., Sans-Merce. M.

(2012). “Radiation protection in digestive endoscopy: European society of digestive endoscopy guideline”.

Endoscopy.

44(4), 408-429.

Hahn, S., Needham, I., Abderhalden, C., Duxbuby, J. A. D., HalfenR. J. G.

(2006). The effect of a training course on mental health nurses’

attitudes on the reasons of patient aggression and its management.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2). 197-204.

DOI: https://doi.org/10.4040/jnas.1994.24.4.635

International Commission Radiological Protection (1996). Radiological Protection and Safety in Medicine.

ICRP Publication 73.

International Commission Radiological Protection (2011). Education and Training in Radiological Protection for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ICRP Publication 113.

theories and models

;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erence Erlbaum Associates.

Keller, J. M. (1984). The uxe of the ARCS Model of motivation on teacher training. In K. Shaw &A. J. Trott (Eds), aspects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ume ⅩⅦ; staff development and career updating.

London: Kogan Page.

Keller, J. 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Khan, B. (1997).

Web-based Instruction

. NJ; ET Publication.

Lahti, M., Hatonen, H., & Valimaki, M. (2014). Impact of e-learning on nurses’ and student nurses knowledge, skills, and satisfaction;

A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 51(1), 136-149.

Doi: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2.12.017

McCutecheon, K., Lohan M., Traynor, M. & Martin, D. (2015). Asystematic review evalulating the impact of online or blended learning vs. face to face learning of clinical skills in undergraduate nurse edu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 71(2), 255-270.

Michael. F., Herbert. M., Alois, S., Klaus, M. S. (1999). “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xposure in the operating room”.

Operative Orthopaedics and Traumatology.

7, (4), 306-311.

Ohno, K. & Kaori, T. (2011). Effective education in radiation safety for nurses.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 147(1), 343-348.

Persliden J. (2005). “Patient and staff doses in interventional X-ray procedures in Sweden”.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 114(3), 150-157.

DOI: http://dx.doi.org/10.1093/rpd/nch539

Rhim, J. D. (2000).

A comparative analysis of personnel awareness for the

safety management rule in diagnosis-purpose radiation

[Master's

thesis]. Seoul: Univ. of Yonsei.

Sheyn, D. D., Racadio, J, M., Ying. J., Patel, M. N., Racadio, J. M. &.

Johnson. N. D. (2008). Efficacy of a radiation safty education initiative in reducing radiation exposure in the peduatric IR suite.

Journal of the pediatric radiology

, 38(6), 669-674.

Smaldino, S. E., Lowther, D, L., Russell, J, D. (2011).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Media for Learning (10th ed.). London: Pearson.

Wagner, M., Duwenkamp, C., Ludwig, W., Dresing, K., Bott. O. J. (2010).

“An approach to simulate and visualize intraoperative scattered radiation exposure to improve radiation protection training”.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cs

, 160, 625-628.

Yoko, S., Toshiya, N., Mayumi, U., Yu, K., Chieko, l., Shingo, T., Yoichiro, H. (2016). Educational Program for Radiation Emergency Medicine at the Hirosak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s; A Training Course for Medical Personnel.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41(4), 436-441.

http;//doi.org/10.14407/jrpr.2016.41.4.436

Yurt, A., Cavsoglu, B., & Gunay, T. (2014). Evaluation of aqareness on radiation protection and knowlwge about radiological examinations in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use ionized radiation at work.

Molecular

Imaging and Radionuclide Therapy

, 23(2), 48-53.

부록 1.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연구승인 통지서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부록 3. 설문지

부록 4. 학습내용이 기술된 화면

부록 5. 최종 웹기반의 방사선 방어 교육프로그램 제작

부록 6. 방사선 방어 교육프로그램 교육 영상 연동

부록 7. 방사선 방어 교육프로그램 접근

부록 8. 웹 사이트 내 출석 및 학습이력 조회, Q&A 게

시판의 활용

감사의 글

이 논문을 세상에 드러낼 수 있도록 인도해 주신 하나님께 가장 먼저 감사와 영광 을 올려드립니다.

어느덧 대학원 박사학위과정을 마치는 날이 다가오니 마흔, 박사 논문을 진행하는 동안 가장 크게 느낀 점은 세상이 나 혼자 노력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너무나 많 은 사람들이 함께 해준다는 것이었습니다. 너무나 많은 분들의 지도와 조언과 도움, 그 수많은 도움 없이는 이날이 오지 못했을 것입니다. 오늘 이 시간이 오도록 도와 주신 모든 분들게 너무나 감사하며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부족한 저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시고, 훌륭한 교육자이자 연구자의 모습, 교수님의 열정으로 또 다른 배움의 모습을 알게 해 주셨으며, 제 부족한 논문을 박사 논문답 게 발전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신 강희영 교수님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합 니다. 논문의 세밀한 부분까지 조언해주신 김진선 교수님, 항상 다정하게 용기를 주 신 김해란 교수님, 외부에서 기꺼이 심사해 응해주신 송종호 교수님, 항상 긍정적인 모습으로 잘하고 있다고 용기 주신 신성식 원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저 를 학문의 길로 갈 수 있도록 지도해주신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모든 교수 님들께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합니다.

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논문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새우리병원 원장님들과 조 문숙 부장님, 못난 선배 밑에서 잘 챙겨주고, 도와준 수술실 선생님들. . . 흔쾌히 자 료수집에 도움을 아끼지 않으신 윌슨기념병원의 박현진 선생님, 순천우리병원의 강 미나 선생님, 동아병원의 수술실 수선생님, 순천하나병원의 간호과장님께 감사드립니 다. 공부를 시작 때 격려해주셨던 故 고미라 수선생님, 항상 내 옆에서 내 일처럼 챙 겨준 정신적 지주 김순희, 이승희, 김수지, 안은정, 안여진, 송경미 선생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9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