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검진, 질병예방 및 관리 등의 흐름 속에서 각 프로그램들이 존재하고 있기는 하지만, 상호간 연계적이지 못하고 분절적이라는 점, 그리고 프 로그램의 대상이 보편적이지 못하고 일부계층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손실을 사전적으로 예방하는데 필요한 건강관리서 비스를 제공 방안으로 건강한 노화 선별검진체계의 구축, 자가건강관리 능력의 향상, 신체적 건강유지를 위한 근력강화 운동, 영양개선프로그램 의 실시,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 실시 등을 제시하였다.

제2절 정책과제

1. 건강한 노화(Healthy ageing)를 확보하기 위한 예방중심의 검진체계 구축

노인의 경우 일반계층과는 다르게 건강상태가 불안정하여 만성질병 등으로 병의원을 수시로 방문하는 계층이다. 현재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관리서비스는 질병치료 이 외에는 이렇다할만한 대책이 부재한 상태이다. 즉, 저소득이 아닌 일반노인의 경우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노인보건사업의 대상에도 포함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 노인 건강진단사업은 질병발견에 집중된 검사항목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신체기능의 장애 위험 보유 노인을 선별하는데 필요한 항목은 포함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노년기 건강검 진에서 인지기능의 저하, 전반적인 일상생활수행을 위한 기능상태, 노쇠 및 전노쇠, 하지 및 상지기능, 낙상, 사회활동 등 건강한 노화 등을 평 가할 수 있는 적절하고 타당한 선별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 건강검 진 사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건강상담과 건강교육을 제공하고, 건

119

5

강행태개선을 통한 질병예방 및 질병악화를 방지하며, 지속적 관리를 통하여 노인 건강수준을 유지‧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지역사회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질병‧요양 예방대상을 선별할 수 있는 일차적인 도구를 개발하여 각 지자체의 보건소를 중심으로 노 인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선별도구의 개발] ⇨ [보건소중 심의 고령자 건강 파악] ⇨ [특화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사업모니터링 및 평가]이라는 일련의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2. 자기기입식 노인건강관리 수첩을 활용한 건강증진 활성화

자기기입식 ‘노인 건강관리 수첩’의 활용으로 노인개인이 자신의 건 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본인의 건강상태를 스스로 기록 함으로써 낙상 및 복약 상황 등에 대해 인지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개인차원의 건강관리가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또한 노인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노인의 건강에 대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건강기록 자료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노인건강정책의 방향으로 치료중심에서 벗어나 건강의 유지‧증진 및 질병의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정기적으로 노 인들의 생활방식 및 건강생활을 점검하고, 체력검사 등 통합적인 노인 건강상태 측정을 통해 신속하게 건강위험 요인을 찾아내어 관리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이러한 자료는 일회성으로 끝 내기보다는 노화과정 자체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 문에 연속적인 자료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방접종 등 일차보건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보건기관이 책 임을 지고 노인건강관리 형태의 자료가 축적된다면 기초자료의 분석을

120

121

5

하여 최소한 매월 1회 이상 낙상예방교육 및 근력강화운동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4. 단백질 및 칼슘 섭취 강화를 위한 영양개선사업 개발 및 활성화

노인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영양과 식생활이 불량해지고 있음을 볼 때 노인의 연령증가에 따른 영양 악화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노인에 대 한 영양관리와 지도가 강화될 필요성이 높다. 기존의 지역 보건소의 방 문건강사업과 건강증진사업 등에서 영양관리 부문을 강화하여 노인의 건강상태 악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이 요구된다.

본 조사자료의 분석에서 간이영양평가(MMA)를 통해 영양불량 위험 으로 선별된 노인들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ADL, IADL)에서 장애가 있 는 경우가 높으며, 중증만성질환 보유, 우울증상, 치매증상 등이 뚜렷하 게 높고, 허약 노인에 속하는 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 때, 이러한 대표적인 노인의 건강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의 영양상태의 개선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사업이나 프로그램, 그리고 이 를 지원하는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노령화가 이미 높으며, 더욱 급속하게 진전되는 농촌지역에서 노인에 대한 장애나 질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노인 영양관리가 노인 건강 유지와 증진을 위해서 매우 필요하다. 영양교육과 조리실습 교육 등을 노인에게 적합한 방법으로 지역사회에서 전개하여 적극적으로 추진될 필요성이 크다.

5. 노인의 지역사회활동 참여 활성화

노인의 건강 유지는 의료적 접근 이외에 사회적 접근에 의해서도 가 능하다. 조사자료의 분석결과에서도 친척‧친구‧이웃과의 연락이 빈번하

122

거나 단체모임에 가입한 경우 건강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참여 활동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현재 노인들의 여가시설로 경로당이 마을단위로 설치되어 있기는 하 지만, 지역에 따라서 운영의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심한 편이다. 이는 지자체의 보건소나 지역복지관 등 공공보건복지기관의 사업역량에 의해 좌우되고 있기는 하지만, 지역주민의 생활습관에 의해서도 좌우되고 있 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부의 지자체 보건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노인대상의 근력강화운동 등의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부족한 실정이어서 노인 복지관 등 노인복지서비스의 이용시설도 사업내용의 조정을 통해서 노 인의 생활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형태의 서비스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노인일자리나 취업, 평생교육활동, 자원봉사활동 등도 생활기능의 유지 차원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지역사회활동의 참 여가 부족한 노인대상으로 사회적 접촉 유도형의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K I H A S

06

A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