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절 노년기 건강수준 측정항목 1)

2. 기능저하 위험 요인

2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만성하기도질환, 당뇨병의 순서를 보이고, 여 성노인의 경우에는 주요사인이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고혈 압성질환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다. 남성에서는 만성하기도 질환과 자살, 운수사고와 간 질환이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에 있어서 아 마도 여성에 비해 흡연과 음주, 사회활동이 여성보다 높은데서 기인하 는 것으로 보이며, 여성에서는 고혈압성 질환과 알쯔하이머병이 상대적 으로 높은 순위에 있다.

2. 기능저하 위험 요인

노년기 건강평가에서는 정기적인 선별검사를 통한 질병의 조기진단(2 차 예방)뿐 아니라, 건강노인 또는 허약노인에서 나타나기 쉬운 기능저 하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이를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포함되 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기능평가의 중요성인데, 이러한 기능의 변화 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에게 기능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이나 요인들이 어떤 것인지를 먼저 확인해 보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Stuck 등(1999)은 1985년부터 1997년까지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노인에 대한 78개 종적연구에서 보고한 신체기능장애의 예측요인을 종 합적으로 분석‧제시한 바 있다. Stuck 등의 분석결과, 노인관련 연구에 서 1차 조사시점의 변수 중 향후 신체기능 변화(기능제한이나 장애)와 높은 정도의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변수로는 인지장애, 우울증상, 만성 질환 복합이환, 체지방지수(BMI)의 증가 또는 감소, 하지 기능제한, 낮 은 사회적 접촉빈도, 낮은 신체적 활동, 비음주군(적당 음주군과 비교하 여 상대적으로 기능저하 높음), 부정적 자기건강인식, 흡연, 시력장애 등이었다(표 2-3 참조).

26

CES-D (Radloff, 1977), Depression Scale of the Hopkins Symptom Checklist (Derogatis et al., 1974), Depressive symptoms (Roberts & O'Keefe), Positive affect score (Veit & Ware, 1983), Nondysphoric depression (Gallo et al., 1997), GDS (Chinese version) (Woo et al., 1994)

+++ 비음주 양×빈도 (Hennekens et al., 1979; Berkman, 1970) +++ 인지장애

MMSE (Folstein et al., 1975), Cognitive performance (Inouye et al., 1993), SPMSQ (Pfeiffer, 1975), AMTS (Hodkinson, 1972), IPALT (Inglis, 1959), Visual memory (Benton, 1994)

+++ 만성질환 복합이환 만성질환수(유병), 만성질환수(발생), Chronic disease score (Von Korff et al., 1992)

+++ 관찰된 하지기능실행 저하

Three chair stands (Tinetti et al., 1993, 1995), Summary performance score (Guralnik et al., 1994), Single items of qualitative performance (Tinetti, 1986; Tinetti & Ginter, 1988), Single items of timed performance(Seeman et al., 1994)

+++ BMI 증가 또는 감소 체중/키(kg/m2) +++ 신체활동 수준 낮음

Estimated total daily energy expenditure (Sallis et al., 1985; Ainsworth et al., 1993), Leisure activity (Paffenbarger et al., 1978; Taylor et al., 1978), Sedentary (Mattiasson-Nilo et al., 1990)

+++ 자기건강인식 불량 Single-item question

+++ 흡연 현재/과거흡연, 양

+++ 사회적 접촉빈도 낮음 Social contacts (Berkman & Syme, 1979)

+++ 자기보고 시력 불량 Single-item question, Multi-item question (Lawrence & Jette, 1996)

++ 과음주 양×빈도

++ 낙상 Single- and two-item question, Fall calendar (Tinetti et al., 1993) ++ 관찰/자기보고 기능저하 Change in musculoskeletal impairment (Eberl et al., 1976), Change in

physical performance score (Guralnik et al., 1994) ++ 상지기능실행 저하 Arm strength impairment (Tinetti et al., 1993, 1995) ++ 과량 약물복용 복용약물 수

++ 체중 감소 체중감소 측정(%)

++ 사회활동 감소 Participation in association activities (Grand et al., 1987), Activities Inventory (Maeda, 1984)

++ 측정시력 저하 Visual acuity (Spaeth et al., 1955; Salive et al., 1992) + 자기보고 청력 저하 Single-item question, Multi-item question (Furner et al., 1995) (+) 불안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pielberger et al., 1970) (+) 자기보고 하지기능 불량 Lower body functional limitation (Nagi, 1976; Johnson & Wolinsky, 1993) (+) 자기보고 상지기능 불량 Upper body functional limitation (Nagi, 1976; Johnson & Wolinsky, 1993) (+) 청력 저하 Single-item question

(+) 측정청력 저하 Whisper test (MacPhee et al., 1988) (+) 시력 저하 Single-item question

〈표 2-3〉 기능저하의 위험요인 : 체계적 고찰 결과

자료: Stuck AE, Walthert JM, Nikolaus T, Bula CJ, Hohmann C, Beck JC. Risk factors for functional status decline in community-living elderly peopl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oc Sci Med 1999;48:445-69.(윤종률 외, 2009 재인용)

27

2

노년기 건강관리 항목 선정의 고려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또 한 가지 측면은, 기능의 변화(저하)가 결국은 노년기 독립성의 저하를 유발 하여 장기요양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는 흐름을 고려한 것으로서, 이는 정기적 평가를 통하여 기능장애 관련요인을 조기에 확인하고 적절한 중 재가 개입된다면 이러한 기능저하가 예방되어 장기요양 단계로의 진입을 지연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다는 가설 하에 분석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한 접근 방법으로 장기요양보험의 서비스 대상자들의 주요 질환을 분석한 결과(2008. 국민건강보험공단)를 보면,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대상자가 지닌 주요 만성질환(주질환)은 장기요양보험 서비스 대상 인정자의 경우 중풍(전체 장기요양보험서비스 대상 인정자의 25.1%)과 치매(22.1%)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치매와 중풍의 동시 복합질환은 전체 인정자의 7.2%를 차지). 중풍과 치매에 이은 다음 순 위로는 관절염(8.6%), 골절 등의 사고 후유증(7.4%), 요통(6.0%) 등으 로 근골격계 질환의 기능장애 관련성의 중요성을 대변하고 있다.

장기요양서비스의 직접대상에서 제외되기는 하지만 장기요양보험서비 스 신청을 한 등급외자의 경우에는 관절염, 요통, 중풍, 치매, 골절 등 의 사고 후유증이 많아서, 역시 근골격계 질환자들의 수발욕구가 높다 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노인들의 장기요양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기능장애의 평가방법으로 흔 히 적용되는 도구는 2008년 노인실태조사에서 적용된 바와 같이 한국 형 일상생활기능평가법인데,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ADL)은 옷 입기, 세수․양치질․머리감기, 목욕․샤워, 차려놓은 음식 식사하기, 이부자 리에서 일어나 방 밖으로 나오기, 화장실 사용하기, 대소변 조절의 7개 문항이 주로 포함되고 있고, 응답유형은 완전자립, 부분도움, 완전도움 으로 구분한다. 또한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 조사항목에는 몸 단장, 집안일, 식사준비, 빨래, 약챙겨먹기, 금전관리, 근거리 외출, 상점

2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