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부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정책 방향

가. 산‧학‧연‧정의 협력강화

□ 향후 중소기업을 위한 정부지원정책의 핵심은 전략경영형(혁신주도형) 중견‧중소기업 중심의 기술혁신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중소기업의 지식 집약화를 선도할 수 있는 지원체제를 구축함에 있음.

○ 제품의 혁신‧개량을 주도하는 전략경영형(혁신주도형) 중소기업 중 심의 네트워크는 중소기업의 지식집약화를 선도하게 되고 또한 네 트워크에 참여하는 수급기업형 중소기업도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력 이 강화될 것

○ 특히 중소제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전문공급자형 산업과 공 급자 주도형산업에서 지속적인 제품의 혁신‧개량으로 경쟁우위를 확 보하는 기술혁신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함.

□ 기술집약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혁신능력 배양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 며 이의 효과적‧효율적 촉진을 위해서는 산학연정의 협력강화가 필수

○ 지역의 혁신지원기관이 중심이 되어 중앙정부와 유기적으로 협조, 중소기업의 혁신역량과 특성 등에 대한 세부적인 DB구축이 필요하 며 지식이전과정과 중개조직의 역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지원체 계의 구축이 필요

○ 지역 클러스터의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요인 등에 대한 SWOT분 석을 토대로 지역클러스터의 비전과 전략을 반영하는 지역기술지도

(RTRM)를 작성하여 이를 정부지원사업의 추진과정에 적극 활용해 야 할 것임.

○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의 이전과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외부의 기술변화를 인지‧수용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식‧기술 중개기관의 적극성과 밀착된 신뢰관계가 요구 나. 지역혁신체제의 조성

□ 급변하는 기술환경 변화와 치열한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기업 과 다양한 혁신주체들의 집적과 네트워킹을 통해 경쟁우위의 원천인 혁신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불가피

○ 중소기업의 혁신능력 발전과정은 저기술의 중소기업 지원→기술수용 능력을 보유하는 기업으로 한 단계 상승→이들 기업 중 일부가 혁신 지향적 중견‧중소기업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거침.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선진국의 전략은 특정가치연쇄의 생 산주체가 지역 내에 집적되어, 상호학습을 통해 혁신이 가속화되는 산 업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클러스터 접근의 산업정책을 추진

□ 클러스터 접근 산업정책의 본질은 상향식(bottom-up) 정책결정에 있으 며 이에 따라 지역혁신체제의 구축이 정책의 중심을 차지

○ 지역혁신체제의 구축을 위한 클러스터 접근의 산업정책에서 중앙정부 및 지역의 역할은 가치연쇄의 특성(혁신과정의 성격, 세계시장 경쟁구 도 등), 지역 클러스터의 완결성 여부 등이 반영되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체 간 네트워킹에 관한 자율적 지배구조가 정착될 수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 업종의 성격이 강한 가치연쇄에서는 지역완결적 지역혁신 체제의 구축이 더욱 유리

□ 기술혁신 및 기술이전의 하부구조(framework conditions)를 개선하고, 기 업간 네트워크와 산학연 연계의 형성을 유도‧지원하는 클러스터 접근의 지역산업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여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할 필요

○ ‘변화’와 ‘불확실성’을 특징으로 하는 최근의 산업환경변화를 고려할 때, 과거와 같은 형태의 국민경제 단위의 대규모 정책실험은 커다란 위험부담을 감수해야 함.

○ 또한 다양하고 유동적인 기업현장의 구체적인 수요를 중앙에서 정확 히 파악하고 충족하는 데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현장에 밀착 된 지역경제에 현지의 여건과 수요에 부응하는 정책을 개발하고 이 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는 분권적 체제를 더욱 강화할 필요

○ 다만 급격한 지역중심의 분권적 지원체제로의 이행은 지역정부의 정책역 량이나 재정상황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우선은 사업기획과 예산운영에 관한 지역의 재량권을 점차 높여나가는 점진적 방식을 채택 다. 정책기획 및 관리‧평가시스템의 개선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중앙정부의 역할은 기술하부구 조의 확충 및 정비 그리고 기술개발 및 기술지원사업에 있어서의 정 책기획 및 관리‧평가시스템을 개선하는데 있음.

○ 기술혁신정책의 성과는 궁극적으로 정책평가의 방법‧제도‧문화가 정 착‧발전되어 평가결과가 차기의 정책기획에 반영되어 정책효과가 개 선되고 사업예산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기획‧관리‧평

가 시스템의 발전에 의해 크게 좌우

○ 선진국의 경우에도 지식의 창출‧이전‧활용단계에서 그 효율성을 제 고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정책을 입안‧시행‧평가하는 시스템을 구축 하기 위한 노력을 배가

☐ 그러나 우리의 경우 통합조정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기획‧관리‧평가체 계가 미비하며 이러한 점이 정부지원사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주 요 원인으로 작용

○ 인력개발, R&D, 정보화 투자, 벤처육성 등 거의 모든 지원 프로그램 들이 복수의 정부부처에 의해 분산적으로 운영

○ 이러한 행태는 나눠 먹기식 사업선정을 초래, 분산‧중복투자로 인한 사 업성과의 저하, 사업의 최종적 결과에 대한 책임소재의 불분명 등을 초래

○ 정부 각 부처가 관장하고 있는 유관 기업지원기능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조율할 수 있는 통합조정‧관리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통 합조정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기획‧관리‧평가체계의 구축이 시급

☐ 결론적으로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정책은 지역혁신시스템의 완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혁신지향적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지역 내 전문가 집 단에 의해 사업이 수행되고 그 결과에 대해 엄정한 평가가 가능하도 록 관련 제도를 개선하는데 정책의 핵심이 놓여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