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접근성 및 만족도

Ⅳ. 한국의료패널의 기본 조사내용

2. 접근성 및 만족도

가. 의료체계에 대한 만족도와 의료이용 접근성 관련 선행연구

□ 설문항목 선정의 기본 방향: 접근성

- ‘기회의 평등’에 해당하는 접근성의 개념과 ‘적극적 의미에서의 과정적 평등’으로서 의료이용량의 개념을 구분하여 다룸.

□ 설문항목 선정의 기본 방향: 만족도

- 미시적 차원의 만족도: 의료서비스 이용 만족도

․의료이용의 결과지표로서 미시적 차원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H-CAHPS®의 문항 중 우리 의료현실에 적합한 일부 문항을 선정하여 환자자신이나 가족들이 경험한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환자들 의 만족도를 측정하고자 하였음.

- 거시적 차원의 만족도: 의료제도에 대한 만족도

․국외에서 실시된 의료시스템에 대한 대표적인 만족도 조사는 하버드

요약 37

보건대학원과 Commonwealth Fund 가 공동으로 미국, 영국, 캐나다, 뉴 질랜드와 호주의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료시스템 만족도 조사와 EU 국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Eurobarometer 등이 있음.

나. 주요 설문항목 선정 및 근거

□ 설문문항에 관한 연구문제 및 가설

- 우리나라 의료제도의 비용지출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의료서비스나 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조사항목들임.

- 이러한 설문문항들은 의료비 지출의 결과로서 접근성이나 만족도의 증감 추이를 평가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음.

□ 설문문항의 선정

- 접근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 개발을 위하여 MEPS, CTS, NHIS 등의 국 내·외 설문 시스템을 참조하였음.

- 만족도의 경우 미시적 차원의 만족도와 거시적 차원의 만족도를 포괄하 기 위하여 1) 의료제도 전반에 관한 만족도, 2) 국민건강보험제도에 관한 만족도, 3) 응답자 본인이나 가족이 받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의 3 차원으로 구성하였음.

․건강보험연구원에서 실시한 국민건강보험제도에 관한 만족도 조사, KGSS의 문항, 하버드보건대학원과 Commonwealth Fund가 공동으로 실 시한 2001 Commonwealth Fund International Health Policy Survey의 문 항 등을 참조함.

다. 정책적 함의 및 기존조사와의 차별성

□ 접근성 설문

- 접근성 연구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전략 구상에 중요한 의의가 있음.

- 기존의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접근성 문항에 비하여 미충족과 치료의 지연 에 대한 경험을 분리하여 측정하고 각각의 원인을 조사하며, 처방약과 치과진료에 대한 미충족도, 상용치료원의 여부 및 결정요인을 확인하여 의료전달체계에 대한 정책변화의 필요성을 파악하고자 함.

□ 만족도 설문

- 거시적 만족도와 개인이 경험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의 지표는 의료비지출의 증가나 의료제도 변화에 따른 결과를 국민들이 어떻게 체 감하는 지를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임.

라.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국민들이 필요한 시기에 원하는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보장되어 있는 지를 파악하고 접근성을 저해하는 요인들에 대한 정책적 노 력을 수립하는 근거로 활용

- 패널조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또는 집단별 접근성의 현황이 시 간의 흐름에 따라, 또는 의료비지출의 증감, 의료제도의 변화에 따라 어 떻게 변화하는 지를 파악하여 이러한 정책변화의 효과를 추정

□ 향후 의료제도나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지지와 순응을 높을 수 있는 방 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될 것임.

요약 39

관련 문서